View : 78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진영-
dc.creator김진영-
dc.date.accessioned2016-08-25T06:08:10Z-
dc.date.available2016-08-25T06:08:10Z-
dc.date.issued2003-
dc.identifier.otherOAK-000000028976-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200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8976-
dc.description.abstract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production of sentence-final rising and falling intonation contours of profoundly hearing-impaired and normally hearing children at school age. Twenty hearing-impaired and 10 normally hearing children, matched with their mean chronological age, participated in this study. Hearing-impaired subjects were grouped into two subgroups, those who are able to perceive sentence-final intonation contours accurately and those who perceive them inaccurately. Sentence reading task bracketed by a cartoon bubble and imitation task were used as the experimental materials. Correct production points of contours and Two acoustic measurements, terminal change of F_(0) and terminal change duration, were made on each sample.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ing: (1) Correct production points of contours of both hearing -impaired subgroups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normally hearing children, (2) In the reading task the terminal change duration and the terminal change of F_(0) of rising contour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groups, (3) In the imitation task, the terminal change duration and the terminal change of F_(0) of both rising contours and falling contour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groups.;말에 있어서 운율적 요소는 단순히 발소리의 리듬이 아니라 한 언어를 통합하는 요소이다. 이는 발소리의 음소적인 요인 즉, 분절적인 요인에 광범위하게 적용되기 때문에 초분절적 요소라고도 한다. 이러한 초분절적 특징들은 어휘, 문법, 감정을 구별하는 신호로서의 기능을 하며 산출된 정보의 명료도에도 영향을 준다. 또한 정상적인 말-언어발달에서 초분절적 요소는 분절적 요소의 출현에 앞서 나타나기 때문에 분절적 언어의 발달을 촉진시킨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감각신경성 청각장애아동은 언어발달 초기부터 다른 사람이 산출한 말소리를 정확하게 지각하지 못할 뿐 아니라 자신의 말을 지각적으로 적절하게 피드백 받지 못하기 때문에 분절적 요소 뿐 아니라 초분절적 요소에서도 비정상적이고 부적절한 패턴을 보인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청각장애에 관한 연구는 말명료도를 방해하는 주된 요인인 분절적 요소에 관심이 모아져 있고 상대적으로 의문과 진술의 문법형태를 구별하는 억양과 같은 초분절적 요소는 강조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최중도 청각장애이동을 억양지각 정확 정도에 따라 두 집단으로 나누어 억양지각 정확 청각장애아동 10명, 억양지각 부정확 청각장애아동 10명과 생활연령을 맞춘 건청아동 10명, 총 3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는 (1) 각 집단(억양지각 정확 청각장애, 억양지각 부정확 청각장애, 건청)은 억양의 유형(올림조, 내림조)에 따라 억양 산출정확도에 차이가 있는가, (2) 억양지각과 무관한 산출과제인 읽기과제 시, 각 집단(억양 지각 정확 청각장애, 억양지각 부정확 청각장애, 건청)은 억양의 유형(올림조, 내림조)에 따라 각 음향학적 측정치(문장끝 기본주파수 변화범위, 문장 끝 억양면화 지속기간)에 차이를 나타내는가, (3) 억양지각과 관련된 산출과제인 모방과제 시, 각 집단(억양지각 정확 청각장애, 억양지각 부정확 청각장애, 건청)은 억양의 유형(올림조, 내림조)에 따라 각 음향학적 측정치(문장 끝 기본주파수 변화범위, 문장끝 억양변화 지속기간)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읽기과제는 어휘 및 배열 순서가 동일하고 억양에서만 차이가 나는 3어절로 된 10방의 평서문과 의문문이었으며 모방과제는 읽기과제에서 사용한 10개의 문장을 듣고 모방하는 것이었다. 수집된 발화는 Computerized Speech Lab(CSL)의 음도 곡선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마지막 어절의 최고 또는 최저 기본주파수에서 마침 기본주파수까지의 변화가 정방향(올림이나 내림)으로 적어도 10㎐이상 변화를 보인 문장에 1점을 주고 읽기과제와 모방과제를 합산하여 각 억양별로 15점 만점의 억양 산출정확도를 계산하였다. 또한 억양 산출정확도에서 정반응을 보인 문장만을 선별하여 각 과제별로 나누어 문장끝 기본주파수 변화범위, 문장끝 억양변화 지속기간의 음향학적 측정치를 분석하였다. 통계 처리에는 kruskall-Wallis H 비모수통계를 사용하여 억양 산출정확도, 문장끝 기본주파수 변화범위, 문장끝 억양변화 지속기간에 대해 세 집단을 비교해 보고 유의미한 차이를 확인하기 위하여 Mann-Whitney U 모수통계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세 집단은 두 개의 과제를 합산하여 산출한 억양 산출정확도에서 집단간에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집단간 질적인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여 각 과제별로 음향학적 측정치를 분석하였다. 읽기과제 시, 올림조의 문장끝 기본주파수 변화범위와 문장끝 억양변화 지속기간에서 집단간 차이가 있었다. 모방과제 시, 올림조와 내림조의 문장끝 기본주파수 변화범위와 문장끝 억양변화 지속기간에서 집단간 차이를 나타냈다. 본 연구 결과에서, 청각장애아동과 건청아동은 집단간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그러나 음향학적 측정치 분석을 통한 질적인 연구에서 억양지각 정확 청각장애아동은 건청아동에 유사한 억양패턴을 보이는데 반하여 억양지각 부정확 청각장애아동은 억양지각 정확 청각장애아동이나 건청아동에 비하여 더 비정상적인 억양패턴을 보였다. 그 차이는 내림조에서보다 올림조에서 보다 명확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억양지각 정확 정도가 억양산출에 미치는 영향을 부분적으로나마 설명해 주었으며 초분절적 요소와 관련있는 치료 프로그램을 통해 청각장애아동의 억양지각 능력을 향상시켜, 이것이 올바른 억양산출에까지 이어지도록 해야함을 제시하였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ⅹ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질문 = 3 C. 용어정의 = 4 Ⅱ. 이론적 배경 = 5 A. 올림조와 내림조 억양의 발달 = 5 B. 청각장애아동의 내림조와 올림조 억양의 지각과 산출 = 8 C. 억양산출의 음향학적 분석 = 11 Ⅲ. 연구방법 = 14 A. 연구대상 = 14 B. 검사도구 = 15 C. 연구절차 = 18 D. 자료분석 = 19 E. 통계처리 = 22 F. 신뢰도 = 22 Ⅳ. 연구결과 = 24 A. 심도 청각장애아동과 건청아동의 억양 산출정확도 비교 = 24 B. 심도 청각장애아동과 건청아동의 음향학적 측정치 비교 = 26 Ⅴ. 결론 및 논의 = 39 A. 결론 및 논의 = 39 B. 연구의 제한점 및 제언 = 45 참고문헌 = 47 부록 = 5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21417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최중도 청각장애아동-
dc.subject건청아동-
dc.subject올림조-
dc.subject내림조-
dc.subject억양-
dc.title최중도 청각장애아동과 건청아동의 올림조와 내림조 억양의 산출 비교-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Production of Sentence-Final Rising and Falling Intonation Contours of Children with Profoundly Hearing Impairment and Normally Hearing Children-
dc.format.pagexii, 63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언어병리학협동과정-
dc.date.awarded2003.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언어병리학협동과정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