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83 Download: 0

라디오 방송의 메시지 형태가 청취성에 미치는 영향

Title
라디오 방송의 메시지 형태가 청취성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Affect of Radio Message Form on Audibility
Authors
임연옥
Issue Date
1986
Department/Major
대학원 신문방송학과
Keywords
라디오 방송메시지 형태청취성신문방송학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Many prior researches have shown that the message form of television programs affect the audience's attention, comprehension and interest. There remains the issue of whether the message form of radio programs also affect the degree of attention and comprehension which are the two dimensions of audibility. This research attempts to classify the sound elements which make up the message form of a radio program and to examine the unit structure and sequence structure through which sound elements compose a message form. The theoretical framework underlying this research is that the message form and listening situation (whether some other activity is simultaneously executed while listening to the radio) will affect the audibility of that program. Content analysis of the message forms of various radio programs were carried out and the results of these analyses form the foundation for the experimental research to measure the affect of message form on the audibility. A systematic analytical scheme was formulated through a preliminary content analysis which was carried out from 1986 Feb. 20 through 24 on message forms and AM radio programs for housewives broadcast on 1986 kug . 20(Wednesday) and 23(Sunday) from 9:00 A.M. to 12:00 A.M. were used for the actural content analysis. The analyzed material was processed through the computer program in PASCAL for sequence structures. Results of the content analysis are as follows; 1. In the unit structure, five basic sound elements(narration, music, effect , noise, response and vocalization) excluding the element of dialogue were used without any significant difference throughout the channels and days of the week. 2. Only particular combination sound elements were repetitously used in a unit structure excluding many possible combination sound elements which brought about the limited diversity of a message form. 3. Particular sequence structures were used more extensively than others. Thus the changeability of a message form was limited in sequence structures. 4. Based on the above results it could be predicted that habituation is formed among housewife listeners to combination sound elements and sequence structures. Based the results of the content analyses two experimental programs of the same content were produced using different message forms. One program used a structure habituated among housewives and another used a structure entirely unhabituated. These two programs were played to housewives in two listening situations. In one situation, the housewives were engaging in other activities while they were listening to the radio. In another situation, the housewives were not engaging in other activities while listening to the radio. Audibility was calculated by the score of answers to questions. measuring the degree of attention and comprehension. The experimentess were 72 subjects selected among Housewives Club Association and Legal Information Center of Family Affairs. Results of the experiments were: 1.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attention for different message farms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comprehension for different message forms. 2.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noted in attention and comprehension because of different listening situations showing that the listening situation did not affect the audibility of a radio program.;텔리비젼의 메시지 형태가 시청자의 주의집중도와 이해도 그리고 흥미도에 영향을 준다는 것은 이미 여러 선행연구들의 결과에서 밝혀지고 있다. 그러면 라디오 방송의 메시지 형태 또한 청취성의 두차원인 주의집중도와 이해도에 영향을 줄 수 있지 않는가 하는 문제가 제기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라디오 방송의 메시지 형태를 구성하는 음향요소들을 나레이션, 대화, 음악, 효과, 잡음, 반응의 6개 기본음향요소로 분류하고, 이것을 다시 16개 음향요소로 세분하여 음향요소의 분류체계를 세웠다. 그리고 이 음향요소들이 메시지 형태를 구성하는 과정을 프로그램에서 사용될 음향요소들을 선정, 조합하는 '단위내의 구조화'와 이들 음향요소들이 배열되는'단위들간의 구조'의 두단계로 나누어 설명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메시지 구조화 과정에서 작용하는 변화(다양성과 전환성)와 반복 두원리에 따라 메시지 형태가 청취성 즉 주의집중도와 이해도에 영향을 준다라는 이론 체계를 세웠다. 본 연구에서는 메시지 형태가 청취성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하기 위하여 먼저 라디오 방송의 메시지 형태를 내용분석하고, 분석결과를 토대로 메시지 형태가 청취성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하는 실험연구를 실시하였다. 내용분석은 가정주부 대상 AM 라디오 방송 프로그램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컴퓨터 프로그램(PASCAL)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내용분석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단위내의 구조화 과정에서 대화를 제외한 나레이션, 음악, 효과, 반응, 잡음의 5개 기본음향요소는 요일과 채널 별로 유의적인 차이없이 사용되었다. 2. 단위내의 구조화 과정에서, 가능한 모든 조합음향요소들이 골고루 사용되지 않고 특정 조합음향요소들만이 반복 사용되어 다양성이 제대로 발휘되지 못하고 있었다. 3. 단위들간의 구조화 과정에서, 특정 단위들간의 구조가 반복 사용되어 전환성이 이뤄지지 못하고 있었다. 4. 이상의 결과들을 바탕으로 가정주부들은 대화를 제외한 5개 기본음향요소의 사용에 대하여 요일과 채널에 관계없이 습관화가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을 것으로 평가되었다. 그리고 특정 조합음향요소와 특정 단위들간의 구조에 대해 습관화가 형성되어 있을 것으로 평가되었다. 이러한 내용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동일한 내용이지만 가정주부들에게 습관형성이 되어있는 구조를 갖는 메시지 형태와 전혀 습관형성이 되어 있지 않는 구조로 된 메시지 형태의 두가지 프로그램을 제작하였다. 그리고 이 두가지 프로그램을 가정주부들에게 중복청취와 단순청취의 두가지 상황에서 각각 들려준 후 청취성을 측정하였는데 이 청취성은 주의집중도와 이해도를 측정하는 질문들에 대해 답한 점수들로 계산하였다. 피험자는 임의로 주부클럽연합회와 가정법률상담소 교육원에서 수강 중인 가정주부들을 추출하여 총72명으로 하였다. 실험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메시지 형태에 따라 주의집중도는 유의적인 차이가 있으나 이해도에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아 메시지 형태가 청취성의 한 차원인 주의집중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밝혀졌다. 2. 청취상황에 따라 주의집중도와 이해도의 차이가 나타나지 않아 청취상황은 청취성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밝혀졌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언론홍보영상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