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4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정윤희-
dc.creator정윤희-
dc.date.accessioned2016-08-25T06:08:07Z-
dc.date.available2016-08-25T06:08:07Z-
dc.date.issued2001-
dc.identifier.otherOAK-00000002950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197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9507-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general perception of negative emotion of young children by investigating the cause, the expression and the reason for expression, and coping responses to negative emotions. For this purpose, the research questions have been setup as follows: 1. What is the perception of young children on the cause of negative emotion? 2. What is the expression and the reason for expression of young children of negative emotion? 3. What is the coping response of young children to the negative emotion of other people? The subject of this study was 136 children of five years old from three kindergartens located in Seoul. For research tools, categories by Dunn and Hughes(1998) was used for the cause of negative emotion, and categories by Zeman and Gerber(1996) was used for reason expression of negative emotion. On coping responses of negative emotion, a new categories - a collaborative work of the researcher and a professor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based on the categories by Murphy and Eisenberg(l996) and Causey and Dubow(1992)- was used. All interviews with young children were taperecorded, and frequency analysis and x^(2) test was used for data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cause of negative emotion perceived by young children are as follows. For emotions such as anger and sadness, the primary cause were commonly perceived as 'interpersonal events' that occurs through relationship with other people, but for emotion of fear, ' fantasy/scary events' were the primary cause. Also, there were partially different perceptions for the cause of anger and sadness, and compared to the emotion of anger, 'loss/rejection' and 'accidents/physical hurt' were shown to be more prominent causes of sadness. Also, according to the subject of study, the child perceived himself and his/her friend as almost the same, but for the cause of negative emotions by his/her mother, the child perceives it differently Second, the expression and reason for expression of negative emotion by young children are as follows. For the most part, there were more children who responded that they will not express negative emotion, and showed a tendency to express their emotions to their mother than to their friend, and this tendency was more prominent in the emotion of fear. Analyzing the cause of selection of expression for negative emotion, the children especially expected a negative result for expressing the negative emotion and thus not expressing their emotions was to their friends. Specifically on the emotion of anger, there were many responses which said that they expected negative results from both their friends and mother and thus not express their anger to both. On the emotion of sadness, there were more responses that they would not express their emotions in regards to their friends because they expected negative results, but in regards to their mother, the same result but with different reason- pro-social tendencies that their mother would feel sorrowful or be heart breaking. On the emotion of fear, in regards to their friends, - because they again expected negative results - there were more responses that they would not express their emotions, but for their mother there were more responses that they would express their emotions because they expected to get more positive help from her. Third, the coping response of young children to negative emotion of other people are as follows. The children have responded that they generally cope with the negative emotions of friends and mother by 'problem-solving focused responses' and 'emotion focused responses'. For the emotion of anger and fear, more children responded to 'problem-solving focused' responses, and for sadness 'emotion focused responses'. This was especially prominent on the mother's part. In terms of subject, there were more children that coped with problem-solving focused response against their friends, and emotion focused responses to their mother.;본 연구는 부정적 정서에 대한 유아의 전반적인 인식을 알아보기 위하여 부정적 정서를 일으키는 원인, 부정적 정서의 표현 및 표현 이유 그리고 부정적 정서에 대한 유아의 대처반응을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에 따라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부정적 정서의 원인에 대한 유아의 인식은 어떠한가? 2. 부정적 정서에 대한 유아의 표현 및 표현이유는 어떠한가? 3. 타인의 부정적 정서에 대한 유아의 대처반응은 어떠한가?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시내에 소재한 3곳의 유치원에 재원하고 있는 만 5세 유아 136명이었다. 연구도구로 부정적 정서의 원인에 대해서는 Dunn과 Hughes(1998)의 범주를 사용하였고, 부정적 정서의 표현 및 표현이유에 대해서는 Zeman과 Gerber(1996)의 범주를 사용하였다. 부정적 정서의 대처반응에 대해서는 Murpy와 Eisenberg(1996)의 범주와 Causey와 Dubow(1992)의 범주를 기초로 하여 본 연구자와 유아교육 전문가 1인이 협의하여 범주화하였다. 유아와의 면접 내용은 모두 녹음 기록되었으며 자료분석은 빈도 분석과 x^(2)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들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가 인식하고 있는 부정적 정서에 대한 원인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유아는 분노와 슬픔을 일으키는 원인에 대하여 공통적으로 다른 사람들과의 관계에서 일어나는 '상호관계적 사건'을 가장 큰 원인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나, 두려움을 일으키는 원인으로는 '공상이나 무서운 사건'을 가장 큰 원인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분노와 슬픔의 원인에 있어서 유아들은 부분적으로 다르게 인식하고 있었는데, 슬픔의 원인에서 '손실/거절'이나 '사고/부상' 등의 원인이 분노에 비해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대상에 따라서 살 펴보면 유아자신과 친구에 대해서는 비슷하게 인식하는 경향이 나타났으나 어머니의 부정적 정서를 일으키게 하는 원인에 대해서는 유아 자신과 다르게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유아의 부정적 정서에 대한 표현 및 표현 이유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대체적으로 유아 자신의 부정적 정서에 대해 표현하지 않겠다는 유아가 많았으며, 표현 대상에 따라서는 친구보다는 어머니에게 정서 표현을 더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경향은 두려움의 정서에서 두드러졌다. 부정적 정서의 표현 결정에 대한 이유를 살펴보면 특히 친구에 대해 부정적인 결과를 예상하여 정서를 표현하지 않겠다는 결정이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분노에 있어서는 친구와 어머니와의 관계에서 모두 부정적인 결과를 예상하여 분노를 표현을 하지 않겠다는 결정이 많이 나타났다. 슬픔에 있어서는 친구에 대해서 부정적인 결과를 예상하여 표현하지 않겠다는 결정이 많았으나 어머니에 대해서는 어머니가 슬퍼하거나 속상할 것을 예상하는 친사회적 경향으로 자신의 슬픔을 표현하지 않겠다는 결정이 많았다. 두려움에 있어서 친구에 대해서는 역시 부정적인 결과를 예상하여 표현하지 않겠다는 결정이 많았으나 어머니에 대해서는 보다 긍정적인 도움을 받을 것을 예상하여 자신의 정서를 표현하겠다는 결정이 많이 나타났다. 셋째, 타인의 부정적 정서에 대한 유아의 대처반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친구와 어머니가 보이는 부정적 정서에 대해 유아는 전반적으로 '문제해결적인 반응'과 '정서중심적인 반응'으로 대처한다고 언급하였다. 분노와 두려움에 대해서는 문제해결적으로 대처한다는 유아가 많았으며, 슬픔에 대해서는 정서중심적으로 대처한다는 유아가 많이 나타났고 특히 어머니에 대해서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대상에 따라서는 대체적으로 친구에게는 좀 더 문제해결적으로 대처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어머니에게는 좀 더 정서중심적으로 대처하는 경향을 보여주었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문제 = 6 Ⅱ. 이론적 배경 = 7 A. 유아의 부정적 정서 = 7 B. 유아의 부정적 정서에 대한 이해 = 10 1. 유아의 정서에 대한 이해 = 10 2. 부정적 정서의 원인에 관한 선행연구 = 12 C. 유아의 부정적 정서에 대한 표현 = 16 1. 사회적 맥락에서의 부정적 정서 표현 = 16 2. 부정적 정서의 표현에 관한 선행연구 = 17 D. 유아의 부정적 정서에 대한 대처 반응 = 21 1. 부정적 정서에 대한 대처반응 전략 = 21 2. 부정적 정서의 대처반응에 관한 선행 연구 = 23 Ⅲ. 연구방법 = 26 A. 연구대상 = 26 B. 연구도구 = 26 C. 연구절차 = 31 D. 자료분석 = 34 Ⅳ. 연구결과 및 해석 = 35 A. 부정적 정서의 원인에 대한 유아의 인식 = 35 B. 부정적 정서에 대한 유아의 표현 및 표현이유 = 40 C. 타인의 부정적 정서에 대한 유아의 대처반응 = 46 Ⅴ. 논의 및 결론 = 50 A. 논의 = 50 B. 결론 및 제언 = 59 참고문헌 = 63 부록 = 72 ABSTRACT = 7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63713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유아-
dc.subject부정적 정서-
dc.subject인식-
dc.subject반응-
dc.title유아의 부정적 정서에 대한 인식과 반응-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Young Children's Perception of the Cause, Expression, Reason for Expression, and Coping Response to the Negative Emotion-
dc.format.pageviii, 79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유아교육학과-
dc.date.awarded2002.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유아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