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3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이주영-
dc.creator이주영-
dc.date.accessioned2016-08-25T06:08:03Z-
dc.date.available2016-08-25T06:08:03Z-
dc.date.issued2003-
dc.identifier.otherOAK-00000002922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193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9222-
dc.description.abstract성희롱은 일상생활이 이루어지는 곳 어디에서나 발생할 수 있으나 가장 전형적인 형태로 빈번히 일어나는 곳은 직장이다. 특히 성희롱의 피해자는 남성보다는 여성에게 발생한다고 보고되며, 직장여성의 일할 의욕은 물론 여성들의 건강과 경제적 안녕 및 직장 생활의 전반적인 부분에 악영향을 끼쳐 이로 인해 여성들은 개인적 측면에서는 정신적, 육체적, 경제적 피해를 받을 뿐만 아니라, 조직적 측면에서는 업무 생산성의 감소, 이미지 손상등의 부정적 결과를 초래하게 된다. 대표적인 여성 전문직으로 간호직은 여성의 비율이 남성보다 현저히 높아 성희롱 관련 상황 발생률이 높으나 이에 대해 체계적으로 조사된 바가 없다. 따라서 본 연구는 자신이 성희롱을 당했거나, 또는 목격했거나, 경험한 사람의 이야기를 바탕으로 성희롱의 기준과 발생원인, 실태, 직장 내 성희롱이 간호사의 근무환경에 미치는 영향, 직장 내 성희롱 해결방안 여부에 관하여 어떠한 상황에 이르고 있는지를 조사 하고자 시도하였다. 이를 위한 자료 수집은 구조화된 자가보고형 설문지를 사용하여 2003년 6월2일부터 6월14일까지 서울시에 소재 한 4개 대학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를 대상으로 연구목적을 설명하고 연구에 참여를 수락한 총 227명을 편의 추출하여 수행하였다. 성희롱 실태 조사를 위해 사용한 연구도구는 1998년 한국 여성민우회가 개발한 남녀 직장인 성의식 및 성문화에 관한 설문지를 기반으로 하여 본 연구자가 문헌 조사를 통해 병원이라는 특수 상황을 고려하여 어휘와 문항을 일부 수정·보완하였으며 타당도 검증을 통해 본 연구를 위한 설문지를 작성하였다. 문항내용은 일반적인 특성 7문항, 성희롱 기준과 발생원인 2문항, 성희롱 실태 13문항, 성희롱이 근무환경에 미친 영향 4문항, 성희롱 해결방안여부 8문항, 총 34문항으로 이루어졌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자료는 SPSS WIM 10.0 Program으로 전산통계처리 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본 연구 대상자의 연령은 20대 74.8%, 30대 20.7%로 나타나 20, 30대의 응답비중이 대부분을 차지하였으며, 학력은 3년제 졸업 41.0%, 4년제 졸업 40.5%로 나타났다. 그리고 직책은 일반 간호사 86.8%이었고, 고용형태는 정규직이 96.9%로 나타났다. 근속년수는 2년 차가 48.9%, 1년 차가 11.0%로 나타나 3년 이하의 근속년수가 과반수이상을 차지하였다. 결혼여부는 미혼 63.0%, 기혼 37.0%로 나타났다. 2. 직장 내 간호사가 인지하는 성희롱 기준과 발생원인 성희롱 기준은 복수응답으로, 원하지 않는 말이나 행동 12.6%, 원하지 않는 신체 접촉 12.7%, 회식자리에서의 남성의 취중 추태 11.9%, 여성에 대한 비하 10.9%, 폭언과 욕설 9.3%, 원하지 않은 사적인 만남 강요 9.8%, 음담패설 11.1%, 여성의 몸에 대한 품평 11.4%, 외설적인 사진, 그림 보여 주기 10.1%로 나타났다. 직장 내 성희롱이 발생하는 가장 주요한 원인은 위계적이고 권위적인 직장문화 48.0%, 여성을 성적인 존재로만 인식 19.8%, 남성들의 성적인 충동, 욕망 15.4% 순으로 응답하였다. 3. 직장 내 간호사가 직·간접적으로 경험한 성희롱 실태 직장 내 성희롱 실태조사에서는 직접적으로 경험한 성희롱에 대해 언어적 성희롱 경험과 신체적·시각적 성희롱 경험으로 나누어 살펴보았으며, 언어적 성희롱 경험이 있다 60.4%였으며, 이때의 느낌에 대해서는 약간 불쾌하다 45.3%로 나타났다. 그 대응 방법은 무시한다 46.7%, 그만하라고 얘기한다 16,8%로 나타났다. 신체적·시각적 성희롱 경험이 있다 25.6%로, 이때의 느낌에 대해서는 불쾌하고 화가 났다가 56.9%로 나타났다. 또한 간접적 성희롱 경험에 대해서는 자신의 병원에서 간호사가 성희롱을 당하거나 목격했거나 혹은 그런 경험에 대해들은 경험이 있다 53.7%로 나타났다. 성희롱이 일어난 부서로는 수술장이 39.3%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성희롱 시기로는 최근 12개월 이내 61.5%, 가해자는 의사 90.2%로 나타났다. 최근 1년 간 성희롱 경험 빈도는 대부분 5회 이하 85.3%로 나타났 다. 본인이 성희롱을 당했을 경우 도와주려는 동료가 있었는지 여부는 있다 43.4%, 없다 39.3%, 기타 17.2%로 나타났으며 성희롱 예방을 위한 노력 경험은 있다 12.8%로 나타났다. 4. 직장 내 성희롱이 근무환경에 미친 영향 성희롱이 직장 내 근무환경에 미친 영향으로는 성희롱을 거부했거나 불만을 제기함으로써 보복적인 피해를 입은 적이 있거나, 목격했거나, 그런경험에 대해들은 경험은 있다 16.7%였고, 피해의 내용에 대해 살펴보면, 업무상 불이익, 차별이 68,4%로 가장 많았다. 언어적, 신체적, 시각적 성희롱이 자신이나 간호사의 근무환경에 미치는 영향으로는 같은 공간에서 함께 일하기가 싫어진다 67.9%로 가장 많은 응답을 보였다. 5. 직장 내 성희롱 해결 방안 여부 성희롱의 발생 시 대처방안을 살펴보면, 자신이 피해자일 경우 상사에게 불만을 털어놓고 해결해줄 것을 요청하겠다 45.4%로 나타났으며, 타인의 성희롱 발생 시 대처방안은 병원 차원에서 단체 협약으로 가해자를 처벌한다 57.7%로 나타나 자신의 경우의 해결방법과 차이를 보여주었다. 직장 내 성희롱을 담당하는 곳이 있는지의 여부는 있다 27.3%로 나타났다. 성희롱 문제를 담당하는 곳에 대해 살펴보면 노동조합이라고 응답한 경우가 전체의 59.7%로 과반수이상을 차지하였다. 직장 내에서 성희롱 예방 교육을 받은 경험은 있다 79.3%로 나타났다. 직장 내에서 받은 성희롱 예방교육의 교육 유형으로는 비디오교육이 55.6%, 강사의 강의식 교육 21.7%, 책자 배포 12.8%, 상사의 지침전달 5.6%, 문서공지 2.8%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1. 간호연구 측면 간호사를 대상으로 한 체계적인 병원 내 성희롱 분석 연구가 필요하며 이를 위해 성희롱 경험에 대한 심층적 질적 연구가 이루어져야 하며, 이를 토대로 한 구조화된 성희롱관련 도구 개발이 절실히 요구된다. 2. 간호실무 측면 직원을 대상으로 한 성희롱 예방교육 프로그램이 성희롱 예방의 최상의 수단으로 요구되므로 직장 내 성희롱 예방교육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며 여성만이 아닌 남성도 함께 교육에 참여하토록 해야한다. 3. 간호교육 측면 성희롱 예방교육 프로그램의 교육방식에 따른 효과 검증 연구를 통해 실효성 있는 교육이 실시될 수 있도록 할 뿐 아니라 지속적인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수정보완이 필요하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quire into the conception and reality of sexual harassment, as perceived by nurses who were employed in some university hospitals, to examine whether there were any schemes to solve workplace sexual harassment in the hospitals, and to provide basic data to similar studies in the future. Participants for this study were 227 nurses who were employed in four university hospitals in Seoul area. The purposes of study were explained to them in advance and they were agreed to take part in the study. Data for this study were collected from June 2 to 14, 2003. For a study tool. The investigator developed a survey questionnaire on the basis of the questionnaire of male and female employees' sexual awareness and sexual culture developed by Korean Womenlink in 1998. The survey questionnaire was modified and complemented through literature examination. The questionnaire contained 34 questions: 7 items for the demographical features; 2 items for the standard and origination cause of sexual harassment; 13 items for the harassment reality; 4 items for the influence of sexual harassment; and 8 items for whether or not there were certain countermeasures to solve the sexual harassment. Data were analyzed with the frequency analysis, chi-square analysis. And SPSS WIN 10.0 program was used for the statistical proces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Demographic features of participants 74.9% of participants was in their twenties, and 20.7% was thirties. So responses were mainly collected from participants in their twenties and thirties. 41.0% had attended some colleges, and 40.5% had a degree from a 4-year university. 86.8% of respondents was general floor area nurses. For the state of employment, 96.9% was regular employees. So the portion of regular employees was very high. 48.9% had a 2-year job career, and 11.0% was worked as a nurse for less than one year. So more than half of respondents had less than 3-year nursing careers. As for the marital status, 63.0% was married, and 37.0% unmarried. 2. Nurses' perception of the standard and cause of workplace sexual harassment 1) The standard of sexual harassment, as perceived by nurses, was unwelcome verbal and physical advances, unwanted physical contacts. 2) The most common cause of sexual harassment, as perceived by nurses, was the hierarchical and authoritarian workplace cultures (48.0%). 3. The state of sexual awareness and the reality of sexual harassment as perceived by nurses in workplace 1) 60.4% of respondents experienced sexualized jokes and obscene comments in a hospital, while 39.6% did not. Most common type of coping strategies with such situations was ignoring(46.7%). 2) To the question of their having the experience of unwelcome attention to certain physical parts or of intentional touch by men, 74.4% answered they had, and 25.6% did not. For the cause of such attention or touch, 45.8% thought it was a sexual urge. For their feeling of such experience, 56.9% was displeased and annoyed. 3) Witnessing or hearing the incident of sexual harassment of other nurses in their hospital, 53.7% of respondents had such experience, while 46.3% did not. For the experience of their trying to prevent sexual harassment or providing some help to the victims of sexual harassment, not having such experience was 87.1%, and having was 12.9%. For the place of sexual harassment, the operating room was most frequent(39.3%). 61.5% was experienced sexual harassment within last 12 months, 27.9% was experienced it more than 12 months before. The harasser was doctors(90.2%). Whether there were any colleagues who were trying to help him or her when he or she was experiencing such sexual harassment, 43.4% answered there were someone, but 39.3% there were none, and 17.2% otherwise. 4. The influence workplace sexual harassment had on 1) For the experience of retaliatory victimization due to the refusal of sexual harassment or making a complaint about it, of witnessing such occasions of sexual harassment, or of hearing such experience, 83.3% of respondents answered they had not, but 16.7% had. As for the type of victimization, job related disadvantage and discrimination was most common(68.4%). 2) Looking into the influence, sexualized jokes, intentional physical contacts, and devaluating comments on women had on the working environments of nurses, 67.9% of respondents answered they didn't want to work together with such perpetrators in the same workplace. 5. Whether or not there were any schemes to solve workplace sexual harassment 1) Looking into how they would act when they were the victim of sexual harassment, 45.4% of respondents answered they would report it to their senior officials in order to have them solve it. As for how they would act when they encountered or witnessed the incident of sexual harassment, 57.7% of respondents answered that they would punish the harasser through a collective agreement in the context of hospitals, showing much difference from their own solving the problem. 2) Whether or not they had any departments in charge of sexual harassment, 72.7% answered they had not, but 27.3% had. As for the department in charge of sexual harassment, 59.7% of respondents was answered it was labor union. 3) As for the preventive education of sexual harassment, 79.3% answered they received such education in the workplace, but 20.7% was never received it. 4) The most common type of preventive education of sexual harassment received in the workplace was by video materials(55.6%).-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ⅷ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 1 B. 연구의 목적 = 4 C. 용어정의 = 5 Ⅱ. 이론적 배경 = 6 A. 성희롱의 개넘과 발생원인 및 실태 = 6 B. 성희롱의 영향 및 해결 방안 = 19 Ⅲ. 연구방법 = 30 A. 연구 설계 = 30 B. 연구 대상 = 30 C. 연구 도구 = 30 D. 자료수집 방범 및 절차 = 31 E. 자료분석 방법 = 31 F. 연구의 윤리적 측면 = 32 Ⅳ. 연구결과 및 논의 = 33 A.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 33 B. 직장 내 간호사가 인지하는 성희롱의 기준과 발생원인 = 35 C. 직장 내 간호사가 직·간접적으로 경험한 성희롱 실태 = 38 D. 직장 내 성희롱이 근무환경에 미치는 영향 = 49 E. 직장 내 성희롱 해결방안 여부 = 51 F. 연구의 제한점 = 55 Ⅴ. 결론 및 제언 = 56 A. 결론 = 56 B. 제언 = 62 참고문헌 = 63 부록 = 68 ABSTRACT = 8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59868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대학병원 간호사-
dc.subject성희롱-
dc.subject직장내 성희롱-
dc.title대학병원 간호사에 대한 성희롱 실태 조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n) Inquiry into the Realaties of Sexual Harassment of Nurse, Employed in University Hospital-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간호과학과-
dc.date.awarded2003.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