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8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백미애-
dc.creator백미애-
dc.date.accessioned2016-08-25T06:08:02Z-
dc.date.available2016-08-25T06:08:02Z-
dc.date.issued2001-
dc.identifier.otherOAK-000000029391-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192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9391-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 between emotional expressiveness of parents' and affective perspective-taking or emotion regulation of children according to children's sex and age as intrapersonal variance. For this purpose, the research questions established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1.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children's affective perspective-taking according to children's age? 2.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children's affective perspective-taking according to children's sex? 3.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children's emotion regulation according to children's age? 4.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children's emotion regulation according to children's sex?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250 parents at the kindergartens in Taegu and their 4 and 5-year old 125 kindergarten students. To measure parents' emotional expressiveness, the Self - Expressiveness in the Family Questionnaire by Halberstadt, Cassidy, Stifer, Parke, and Fox(1995) was translated and revised. Children's affective perspective-taking was assessed through the test basing on version of Borke(1971) modified by Krudek & Rodgon(l975). And children's emotion regulation was evaluated through 5 items related to personal emotion regulation ability that is an extract from 3 categories in 'The test for children's pro-social behavior' which Wonyoung Lee, Chanok Park, & Younghee No(1993) revised and supplemented 'Skill Situation Measure' of McGinnis & Goldstein(l990).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the questionnaires for parents and the individual interviews for children. In the process of analyzing the data, SPSS(for Window) statistics program were used in dealing with frequency,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s correlation. Followings are the result of this study: First,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children's affective perspective- taking according to children's age, the affective perspective-taking of both 4 and 5-year-old children had significant relations with parents' positive emotional expressiveness. That is, the affective perspective-taking of 4 and 5-year-old children was increased according to frequency of parents' positive emotional expressiveness. Secon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children's affective perspective-taking according to children's sex, the affective perspective-taking of both sexes had significant relations with parents' positive emotional expressiveness. Especially, children's affective perspective-taking had more strong relations with parents of the same sex. That is, fathers' positive emotional expressiveness had strong influence upon boys' affective perspective-taking, and mothers' positive emotional expressiveness upon girls' affective perspective-taking. Thir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children's emotion regulation according to children's age, the emotion regulation of both 4 and 5-year-old children had significant relations with parents' positive emotional expressiveness. That is, the emotion regulation of 4 and 5-year-old children was increased according to frequency of parents' positive emotional expressiveness. Fourth,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children's emotion regulation according to children's sex, boys' emotion regulation had significant relations with only fathers' positive emotional expressiveness, but girls' emotion regulation had significant relations with both parents' positive emotional expressiveness. That is, boys' emotion regulation was increased according to frequency of fathers' positive emotional expressiveness, but girls' emotion regulation was increased according to frequency to both parents' positive emotional expressiveness.;본 연구의 목적은 본 연구는 부모의 정서표현과 유아의 감정조망수용능력 및 감정조절능력간의 관계를 알아보고, 이것이 정서발달의 내적 변인인 유아의 성·연령에 따라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부모의 정서표현과 자녀의 감정조망수용능력의 관계는 어떠한가? 1-1. 부모의 정서표현과 자녀의 연령에 따른 감정조망수용능력의 관계는 어떠한가? 1-2 부모의 정서표현과 자녀의 성에 따른 감정조망수용능력의 관계는 어떠한가? 2. 부모의 정서표현과 자녀의 감정조절능력의 관계는 어떠한가? 2-1. 부모의 정서표현과 자녀의 연령에 따른 감정조절능력의 관계는 어떠한가? 2-2 부모의 정서표현과 자녀의 성에 따른 감정조절능력의 관계는 어떠한가? 본 연구의 대상은 대구시에 위치한 Y유치원에 다니는 만 4, 5세 유아 125명과 부모 250명이다. 부모의 정서표현 빈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Halberstadt, Cassidy, Stifter, Parke와 Fox(1995)이 제작한 가정에서 자기표현 질문지(Self-Expressiveness in the Family Questionnaire)를 번안·수정하여 사용하였다. 유아의 감정조망수용능력은 Kurdek과 Rodgon(1975)의 감정조망수용능력 검사도구를 사용하였다. 또한 유아의 감정조절능력은 이원영·박찬옥·노영희(1993)가 McGinnis와 Goldstein(1990)의 'Skill Situation Measure'를 수정·보완한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검사'에서 개인정서 조절능력, 대인관계 형성능력, 학교적응능력의 3가지 범주 중 개인정서 조절능력 5문항을 발췌하여 사용하였다. 자료수집은 부모들에게는 질문지로 알아보았으며 유아들은 개별면접방식을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평균, 표준편차 및 Pearson의 단순상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의 정서표현과 유아의 감정조망수용능력의 관계를 유아의 연령에 따라 살펴본 결과, 만 4세, 만 5세 유아 모두 어머니와 아버지의 긍정적 정서표현에서 유의미한 상관을 나타내었다. 즉 만 4세와 만 5세 유아의 감정조망수용능력은 어머니와 아버지가 긍정적 정서표현을 자주 할수록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모의 정서표현과 유아의 감정조망수용능력의 관계를 유아의 성에 따라 살펴본 결과, 남녀유아 모두 어머니와 아버지의 긍정적 정서표현에서 유의미한 상관을 나타내었다. 특히 유아의 감정조망수용능력은 같은 성의 부모와 더욱 강한 상관을 나타내었다. 즉 남아의 감정조망수용능력은 아버지의 긍정적 정서표현에 더욱 강한 영향을 받고, 여아의 감정조망수용능력은 어머니의 긍정적 정서표현에 더욱 강한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부모의 정서표현과 유아의 감정조절능력의 관계를 유아의 연령에 따라 살펴본 결과, 만 4세, 만 5세 유아 모두 어머니와 아버지의 긍정적 정서표현에서 유의미한 상관을 나타내었다. 즉 만 4세와 만 5세 유아의 감정조절능력은 어머니와 아버지가 긍정적 정서표현을 자주 할수록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부모의 정서표현과 유아의 감정조절능력의 관계를 유아의 성에 따라 살펴본 결과, 남아는 아버지의 긍정적 정서표현에만 유의미한 상관이 있었고, 여아는 어머니와 아버지 모두의 긍정적 정서표현과 유의미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남아는 아버지가 긍정적 정서표현을 자주 할수록 감정조절능력이 높아지고, 여아는 어머니와 아버지가 긍정적 정서표현을 자주 할수록 감정조절능력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ⅵ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문제 = 4 Ⅱ. 이론적 배경 = 5 A. 감정조망수용능력 = 5 1. 감정조망수용의 개념 = 5 2. 감정조망수용능력과 관련된 변인 = 7 B. 감정조절능력 = 12 1. 감정조절의 개념 = 12 2. 감정조절능력과 관련변인 = 14 Ⅲ. 연구방법 = 19 A. 연구대상 = 19 B. 연구도구 = 22 1. 부모의 정서표현 = 22 2. 감정조망수용능력 = 23 3. 감정조절능력 = 25 C. 연구절차 = 27 1. 예비연구 = 27 2. 본 연구 = 28 D. 자료분석 = 29 Ⅳ. 연구결과 및 해석 = 31 A. 부모의 정서표현과 유아의 감정조망수용능력의 관계 = 33 B. 부모의 정서표현과 유아의 감정조절능력의 관계 = 35 Ⅴ. 논의 및 결론 = 37 A. 논의 = 37 B. 결론 및 제언 = 41 참고문헌 = 44 부록 = 54 ABSTRACT = 7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40638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부모-
dc.subject정서표현-
dc.subject유아-
dc.subject감정조망수용능력-
dc.subject감정조절능력-
dc.title부모의 정서표현에 따른 유아의 감정조망수용능력과 감정조절능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Children's affective perspective-taking and emotion regulation to parents' emotional expressiveness-
dc.format.pageviii, 78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유아교육학과-
dc.date.awarded2002.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유아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