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10 Download: 0

경력개발에서 여성의 자신감에 관한 연구

Title
경력개발에서 여성의 자신감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f Women's self-confidence in Career Development : Focusing on the Experience of Participants in a Mentoring System
Authors
이진아
Issue Date
2003
Department/Major
대학원 여성학과
Keywords
여성의 자신감경력개발멘토링시스템여성학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This study aims to show that it is most important to consider the lack of self-esteem for women derived from the sexist social structure in developing women's career, that an independent support system is required to contribute to women's career as well as the established career development systems, and that the support system needs to have the function of self-esteem recovery as the utmost premise. Furthermore, this study explores the ways in which the support system of women's career development should be constructed. The matter of women's advancement into society is not only necessary for the improvement of international competitive power, but it also concerns women themselves that explore various career paths to develop their own careers with the strong will. Fixed ideas about gender division of labor distinction have negative influence on the formation of identities for women, thus it is not surprising that women's ideas and attitudes concerning career development are very different from those of men. This often makes women to be regarded as inferior to men in an androcentric society, causing problems for women: women lose self-esteem, become very passive, wander about, and abandon their paths toward career development. This study analyzes the characteristics and goals of women's career development, and the conditions for the women's career development support system from a feminist perspective, and attempts to find an alternative. For this purpose, this study examines the experiences of women who participate in Womennet cyber-Mentoring adopted as a career development support system, and analyzes the process of mentoring, the methods of making connections with one another through an active interaction of participants, and the effects of such interactions on the participating women. As for the study methods, participatory observation and the qualitative method of in-depth interviews were us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women face the situation of the so-called 'absence of social support', while the social expectations for women's roles have influence on the overall society, and women are suffering from the dual burdens of taking care of home and work In such a situation, women lose self-esteem, become rather passive or negative in terms of career development consciousness and attitudes, and go through the hardship of continuing their career development. Therefore, the departing point and essential condition for women's career development would be the recovery of self-esteem, and for this it is vital that women are provided with role models and the psychological base for support through connections with other women. Second, women recover their self-esteem by establishing new relationships with other women through the mentoring system. In the process, women come to trust other women further, and be provided with clear motivations for career development. The formation for connections with other women allow socially isolated women to be consoled and encouraged by sharing information and isolated women to be consoled and encouraged by sharing information and hardship that they experience while working. In this process of forming connections women show the fact that their social isolation is derived from their being women as well as their will to form a new women's network. Third, women learn from mentoring that the most important part in career development is the recovery of self-esteem as a resource. This is because women play a role as supporters to each other as a mentee or a mentor, and have their energy concentrated among them through the process of self-reflection. Those who experienced mentoring realize the necessity of women's connections and plan their empowerment through such connections. Fourth, the mentoring system is required to be reconstructed based on the consciousness of sex distinction, in order to play the role of a significant support system of women's career development This means that the mentoring system has to be constructed as a meaningful support system, in terms of its subjects, forms, and assessment methods. Given the current situation of South Korean women, the form of 'systematic cyber mentoring among women' seems very effective. A few complementary approaches are required m constructing the mentoring system, with which such discussions would influence the actual career development of women, and the establishment of positive identities for women. 1) A genuine mentoring for girls is required. It would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girls in terms of their career development consciousness, prevent them from losing their self-esteem, and let them understand the possibility of women's connections early in their lives. This would be a very beneficial plan, in terms of the aspects of society's responsibilities for rearing and education, and the distribution of social resources. 2) The expansion of mentoring system into multilateral systems is required to help women in various classes and social positions that are relatively deprived of resources for career development. 3) The mentoring system as a women's career development support system demands the construction of the most effective system for each category of subjects and purposes. For this, it needs to secure finance, which can be sought in many ways, such as the sponsorship and consent of diverse organizations, groups and enterprises. 4) It is necessary to educate and supervise the steering committees of mentoring systems suitably, and to discuss matters beforehand sufficiently through orientations and intermediate inspections.;여성의 사회진출이라는 문제는 여성 뿐 아니라 국가 경쟁력 향상의 차원에서 필수적인 일이지만 여성에 대한 여러 가지 제한 때문에 이것은 실질적으로 이루어지지는 못하고 있다. 여성의 경력개발을 위해서는 여성인력에 대한 사회적 관심과 고정관념의 탈피가 우선적으로 요구된다. 여성 역할에 대한 고정관념과 이로 인한 여성에 대한 사회적 역할기대는 가정과 학교, 매체 등을 통한 사회화 과정에서 여학생에게 내면화되어 여성 스스로도 자신의 역할과 능력에 대해 과소평가하면서 자신감을 상실한다. 자신감을 상실한 여성들이 직업세계에 진출하였을 때 나타내는 특성은 남성의 그것과는 다를 수밖에 없다. 그것은 경력개발에서 여성적인 특성으로 분류될 뿐 아니라 잘못된 것으로 치부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여성을 직업세계에 적합하지 않은 존재, 열등한 존재로 인식하게 한다. 그러므로 여성의 경력개발에서 가장 중요한 문제는 자신감의 회복이다. 이에 본 연구는 여성의 자신감이 상실될 수밖에 없는 사회적 여건과 그것이 경력개발에서 어떤 형태로 드러나는지를 밝히고, 여성경력개발지원체계가 갖추어야 할 조건이 여성의 자신감 회복이라는 전제 하에 기존의 경력개발제도가 여성경력개발지원체계의 역할을 담당할 수 있는가 그렇다면 그것은 어떤 과정을 통해서 이루어지고 있는가를 살펴보았다. 지금까지 경력개발에 대한 연구는 주로 남성 조직원이나 남성중심적 조직의 시각에서 이루어졌기 때문에 여성은 경력개발의 주체가 되지 못했고, 여성경력개발에 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못했다. 여성의 노동에 대한 많은 연구들 중 여성경력개발 연구와 맥을 같이 하는 연구들을 살펴보면 주로 여성의 사회진출의 어려움에 대한 사회구조적, 제도적 모순을 다루지나 직업세계에서 드러나는 여성의 특성과 어려움, 그 원인에 대한 연구가 주를 이룬다. 최근 들어 특정 직종에 종사하는 여성들의 경력개발을 분석하거나 직장여성의 경력개발 의식을 분석하는 등의 연구가 이루어지기도 하였다. 그러나 여성경력개발의 근본적인 문제, 즉 성역할고정관념과 사회화 과정에서 그것이 여성의 정체성 형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고려하지 않음으로써 여성과 남성이 다른 경력개발의 출발점에 위치해 있다는 것을 지적하지 못하였다. 이것은 결국 여성과 남성의 다른 경력개발 경로를 인식하지 못함으로써 여성을 위한 경력개발지원 체계가 지녀야 할 방향성을 제시하지 못하는 한계를 지닌다. 따라서 본 연구는 여성 경력개발이 여성의 긍정적 자기정체성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이라는 의미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져야 하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여 여성의 자신감 상실은 피억압 집단인 여성이 가질 수밖에 없는 특성이며, 그런 의미에서 여성의 경력개발을 위해서는 자신감의 회복이 필수적이라는 것을 밝히고자 하였다. 그런 의미에서 여성을 위해서는 여성만의 경력개발지원체계가 독자적으로 필요하므로 기존의 경력개발제도 주 여성부의 위민넷 사이버멘토링을 분석의 대상으로 삼아 그 가능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여성 경력개발 방안으로써 자신감의 회복이 가능한가 그것을 가능하게 하는 사이버멘토링의 과정은 어떤 특성을 지니는가하는 문제를 중심으로 그 가능성을 살펴보았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위해 본 연구는 위민넷 사이버멘토링에 참여한 여성들의 경험을 중심으로 멘토링에 진행되는 과정과 참여자들의 역동적 상호과정과 관계맺기 방식을 중심적으로 살펴보았으며, 연구방법은 참여관찰과 심층면접을 통한 질적방법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밝혀진 바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여성에 대한 사회적 역할기대가 여성과 기업이나 조직 등 사회전체에 영향을 미치고, 여성이 가정과 직장이라는 이중부담에 시달리는 현실에서 여성은 사회적 지위의 부재라는 상황에 놓여있다. 결국 여성은 자신감을 상실하고 경력개발의식과 태도에서 적극성을 가지지 못하며, 경력개발의 연속성에 문제가 나타난다. 그러므로 여성경력개발의 출발점이자 필수조건은 자신감감의 회복이고 이를 위해서는 여성간의 관계맺기를 통한 역할모델 제시와 심리적지지 기반의 제공이 확보되어야 한다. 둘째, 여성들의 멘토링시스템을 통해 여성들과 새로운 관계를 형성하면서 자신감을 회복한다. 이 과정에서 여성들은 여성에 대한 신뢰를 쌓고, 역할모델을 제공받으며 서로에게 심리적인 지원세력이 되어주면서 경력개발에 있어 동기부여되는 경향이 있다. 여성은 사회적 고립 속에서 이전에 경험해 보지 못했던 다른 여성과의 관계 형성을 통해 위안받고 힘을 얻었다. 이 과정에서 여성들은 자신들이 여성이기 때문에 사회적으로 고립되었다는 것과 새로운 여성 네트워크를 구성하고자 하는 의지를 드러낸다. 셋째, 여성들은 멘토링을 통해 경력개발에 대한 초기의 기대와는 달리 자신의 경력 개발에서 가장 중요한 것이 자신감의 회복이었다는 것을 깨닫고 자신감이 여성경력개발의 자원이 된다는 것을 인식한다. 이것은 여성들이 멘티, 멘토로서 서로에게 지지기반의 역할을 함과 동시에 그 과정에서 자아성찰의 과정을 거쳐 여성 내부로 에너지를 집중시키게 되기 때문이다. 멘티는 멘티이면서 동시에 멘토이고, 멘토는 멘토이자 멘티이다. 멘토는 자신의 멘티를 돕는 과정에서 자기 자신 역시 성장한다. 여성은 서로에게 지지기반임을 확인하면서 여성연대의 필요성을 절감하고 그것을 통한 세력화를 도모하게 된다. 넷째, 멘토링시스템이 진정한 의미의 여성경력개발지원체계로서 역할을 담당하기 위해서는 몇 가지 전제되어야 할 조건들이 있다 기존의 멘토링 효과와 기능에 의거하기보다 여성경력개발의 출발점이 자신감의 회복이라는 전제하에 멘토링시스템이 그러한 기능을 제대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 구축이 필수적이다. 즉, 멘토링의 목적에 따른 대상과 형식, 평가 방법 등을 차별화해야 한다. 현재 우리나라 여성들이 처한 현실을 고려한다면 '여성 간 조직적인 사이버멘토링이'라는 형식이 여성경력개발 지원체계로세 멘토링시스템이 갖추어야 할 조건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여성경력개발이라는 문제를 여성학에서 다루어야 하는 본격적인 논의로 끌어들여 결과적으로 이것이 여성 세력화의 필요성과 방안을 제시하고 사회적 불평등을 해소하는 데 기여한다는 의의를 가진다. 이러한 논의가 실질적인 여성경력개발과 여성의 긍정적 자기정체성 수립에 영향을 미치기 위해서는 멘토링시스템을 구성하는데 몇 가지 보완책이 필요하다 첫째, 여성의 정체성과 경력개발의식 형성에서 가장 중요한 시기에 있는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하는 본격적인 멘토링이 필요하다. 이로써 여학생들의 경력개발의식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자신감 상실을 방지하며, 여성들간의 연대에 대한 가능성을 일찍부터 인식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이것은 육아나 교육의 사회화와 사회적 자원의 배분이라는 측면에서도 매우 유익한 방안이 될 것이다. 둘째, 다양한 계층과 지위의 여성에 대한 다각적일 멘토링시스템 확대가 요구된다. 전업주부, 빈곤계층이나 소외계층 여성, 지역 여성 등 경력개발에 대한 의지에 비해 자원접근성이 떨어지는 여성들을 대상으로 하는 멘토링이 다양한 형식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셋째, 경력개발지원체계로서 멘토링이 제 기능을 하기 위해서는 대상과 목적에 가장 적합한 방식의 시스템 구축이 필수적이며 이것을 위해서는 재정의 확보가 이루어져야 한다. 정부의 재정적 지원만으로는 많은 여성들이 참여할 수 없으므로. 여러 기관과 단체, 기업 등의 후원과 협찬이라는 방식으로 재정적 지원을 확보하는 것도 하나의 방안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넷째, 우리나라에서 아직 멘토링에 대한 의식이 보편화되지 못하였으므로 멘토링시스템을 운영하는 운영자에 대한 관리와 교육이 필수적이며, 참여자들을 대상으로 하는 오리엔테이션과 중간점검 등에 대한 충분한 사전 논의가 필요하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여성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