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90 Download: 0

유아의 부정적 정서에 대한 부모의 반응 유형과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Title
유아의 부정적 정서에 대한 부모의 반응 유형과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about Parents' Reactions to Children's Negative Emotions and Children's Daily Stress
Authors
안정현
Issue Date
2003
Department/Major
대학원 유아교육학과
Keywords
유아부정적 정서부모반응 유형일상적 스트레스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parents' reactions to children's negative emotions and children's daily stress in their usual life, an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m. For this purpose, the research questions were set up as follow: 1. How are the parents' reactions to children's negative emotions? 1-1. How are the general trends of parents' reactions to children's negative emotions? And are there differences between father's reactions and mother's reactions? 1-2. Are there differences in parents' reactions to children's negative emotions according to children's variables such as child' age, gender, sibling order? 1-3. Are there differences in parents' reactions to children's negative emotions according to parents' variables such a s parents' age, income level and yes or no of mothers' working? 2. How are the children's daily stress? 2-1. How are the general trends of children's daily stress? 2-2. Are there differences in children's daily stress according to children's variables such as child' age, gender, sibling order? 2-3. Are there differences in children's daily stress according to parents' variables such as parents' age, income level and yes or no of mothers' working? 3. How is the correlation between parents' reactions to children's negative emotions and children's daily stress? The research population for this study includes 100 children(41 aged four years, 29 aged five years and 30 aged six years) who attend a private kindergarten and children house in Seoul, Korea and 200 their parents. In this study, a modified and Korean translated Coping with Children's Negative Emotions Scale: CCNES(1994, Kim, Hee Jung) originally developed by Eisenberg, Fabes & Bernzweig(l990) was used to examine parents' reactions to children's negative emotions. The Korean Preschool Daily Stress Scale: KPDSS(1998, Yoem, Hyun Kyung) was used to examine children's daily stress. Through SPSS WIN 10.0 ver., the data were analyzed by mean, percentage, standard deviation, t- test, one-way ANOVA and Pearson's correlation.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 s follow: 1. To children's negative emotions, mothers most used emotion focused reactions and fathers most used problem focused reactions. In differences between father's reactions and mother's reactions, especially mothers were higher than fathers on the encouragement expression of emotions and positive mode of reactions. 2. There were differences in parents' reactions to children's negative emotions according to children's and parents' variables. fathers used encouragement expression of emotions to child aged six more than five. Mothers used problem focused reactions to first child more than the only child. And father used distress reactions to child under second more than the only child. 30-34 aged mothers used negative mode of reactions than other groups. Over 40 aged fathers used problem focused reactions and positive mode of reactions than other groups. Mothers of monthly income not exceeding 1,500,000 won were higher than mothers of over 2,500,000 won in punitive reactions and negative of reactions. Finally, working mothers were higher than no working mothers in encouragement expression of emotions and positive mode of reactions. 3. The mean of children's daily stress was 1.08 and stress of uneasiness- setback experience was highest in three factors of children's daily stress. There were differences in children's daily stress according to children's and parents' variables. Children aged six were higher than five in stress of blame- attack condition and whole daily stress. Not exceeding second children of sibling order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only children and first in stress of hurt seif-respect. Especially children of monthly income not exceeding 1,500,000 won were sharply higher than the other two groups in all daily stress factors. Finally, working mothers' children were higher than no working mothers' ones in stress of blame-attack condition. 4. There was a correlation between parents' reactions to children's negative emotions and children's daily stress. Especially, A positive relationship was found between parents' punitive and negative reactions and all factors of children's daily stress. Whereas a negative relationship was found between parents' emotion focused reactions to children's negative emotions and children's stress of uneasiness-setback experiences.;본 연구는 일상생활 속에서 부모와 유아의 상호작용 속에 나타나는 유아의 부정적 정서에 대한 부모의 반응 유형과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의 일반적 경향을 살펴보고, 그 관련성에 대한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하여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 감소를 위한 단서를 제공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 본 연구에 사용된 연구 문제는 아래와 같다. 1. 유아의 부정적 정서에 대한 부모의 반응 유형은 어떠한가? 1-1. 유아의 부정적 정서에 대한 부모의 반응 유형의 일반적 경향은 어떠하며 이는 부-모 간에 차이가 있는가? 1-2. 유아 변인(연령, 성별, 형제 순위 등)에 따라 유아의 부정적 정서에 대한 부모의 반응 유형에 차이가 있는가? 1-3. 부모 변인(부모 연령, 소득수준, 어머니의 직업 유무 등)에 따라 유아의 부정적 정서에 대한 부모의 반응 유형에 차이가 있는가? 2.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는 어려한가? 2-1.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의 일반적 경향은 어떠한가? 2-2. 유아 변인(연령, 성별, 형제 순위 등)에 따라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에 차이가 있는가? 2-3. 부모 변인(부모 연령, 소득수준, 어머니의 직업 유무 등)에 따라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에 차이가 있는가? 3. 유아의 부정적 정서에 대한 부모의 반응 유형과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와의 관계는 어떠한가?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에 위치한 사립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재원 중인 100명의 유아(만 4세 41명, 만 5세 29명, 만 6세 60명)와 그들의 부모 200명이다. 유아의 부정적 정서에 대한 부모의 반응 유형을 알아보기 위하여 Eisenberg 등(1990)에 의해 개발된 유아의 부정적 정서에 대한 부모의 반응 유형 척도 CCNES(Coping with Children's Negative Emotion Scale)를 김희정(1994)이 번안·수정한 72문항을 사용하였다.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의 정도를 파악하기 위하여 염현경(1998)이 우리나라 실정에 알맞게 개발한 한국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 척도 KPDSS(Korean Preschool Daily stress scale)를 사용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SPSS WIN 10.0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모아진 자료에 대한 기술통계, t-검증.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 Pearson의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연구문제에 따라 연구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유아의 부정적 정서에 대한 부모의 반응 유형의 일반적 경향을 살펴본 결과 어머니는 정서중심적 반응, 아버지는 문제중심적 반응을 가장 많이 사용하였다. 부-모간 반응 유형의 차이는 특히 감정표현의 격려, 정서중심적 반응, 지지적인 반응에서 어머니의 반응이 더 높게 나타났다. 2. 각 변인에 따른 부모의 반응 유형을 살려본 결과 아버지는 만 5세 유아와 비교해 만 6세 유아에게 감정표현의 격려를 더 많이 사용하였다. 유아의 형제 순위와 관련하여 어머니는 외동인 유아에 비해 첫째, 유아에게 문제중심적 반응을 더 많이 사용하였고, 아버지는 외동인 유아에 비해 둘째 이하 유아에게 스트레스 반응을 더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0-34세 어머니가 비지지적 반응을 가장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아버지의 연령이 40세 이상인 경우 문제중심적 반응 및 지지적 반응이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의 소득수준에 따라 월 소득 150만원 미만 어머니가 다른 집단에 비해 처벌적 반응과 비지지적인 반응을 더 많이 사용하였다. 마지막으로 어머니의 직업 유무에 따라 직업을 가진 어머니가 직업을 갖지 않은 어머니에 비해 감정표현의 격려 및 지지적 반응을 더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의 일반적 경향을 살려본 결과 전체 평균은 1.08점으로 나 타났고, 유아는 비난·공격적 상황에서 일상적 스트레스를 가장 많이 경험한다고 응답하였다. 각 변인별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를 살펴본 결과 만 6세 유아는 만 5 세 유아에 비해 비난-공격적 상황 및 전체 일상적 스트레스의 정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이하인 유아는 자존감 상함의 스트레스에서 첫째, 외동인 유아에 비해 더 높은 스트레스를 경험한다고 응답하였다. 부모의 소득수준에 따른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는 월 소득 150만원 미만 가정의 유아가 150-250만원 미만, 250만원 이상의 두 집단 유아에 비해 모든 일상적 스트레스의 범주에서 높은 스트레스를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직업을 가진 어머니의 유아가 직업을 갖지 않은 어머니의 유아에 비해 비난·공격적 상황에 접하는 스트레스가 매우 높게 나타났다. 4. 유아의 부정적 정서에 대한 부모의 반응 유형과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 간 상관 관계를 알아본 결과 다음의 경우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의 처벌적 반응과 비지지적인 반응은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의 모든 범주에서 정적 상관이 있었다. 또한 아버지의 최소화반응은 유아의 자존감 상함 스트레스와 정적인 상관이 있었다. 이에 반해 유아의 부정적 정서에 대한 부모의 정서중심적 반응은 유아의 불안·좌절감 경험의 스트레스와 부적인 상관이 있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유아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