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5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이소은-
dc.creator이소은-
dc.date.accessioned2016-08-25T06:08:58Z-
dc.date.available2016-08-25T06:08:58Z-
dc.date.issued2000-
dc.identifier.otherOAK-00000002950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188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9502-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일생에 있어 자아와 외모, 의복의 관심이 다른 연령층보다 큰 시기인 청소년기 남·녀 고등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여 교복이 만족할 수 있는 의복으로 자리 매김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현행 교복에 대한 평가와 만족도, 청소년의 신체 이미지와 만족도의 관계를 연구하여 마케팅에 적용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시 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남녀고등학생이 지각하고 이상적으로 생각하는 신체이미지를 조사한다. 둘째, 남녀고등학생의 신체만족도를 살펴본다. 셋째, 남녀고등학생의 교복만족도를 조사한다. 넷째, 남녀고등학생이 신체이미지와 교복만족도, 신체이미지와 신체만족도, 신체만족도와 교복만족도의 관계를 분석한다. 연구대상으로 서울시내 남녀공학을 대상으로 강남의 2개교와 강북의 2개교를 편의 추출하였다. 자료수집은 먼저, Focus Group Interview를 실시하여, 고등학생의 교복태도에 관한 기본 특성을 파악하고, 문헌과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연구자가 수정·보완하여 설문지법을 이용, 2학년 남녀고등학생 800명을 대상으로 하여 최종 734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SAS Package를 이용하여 요인분석, 신뢰도 검증, 분산분석, t-test, 다중희귀분석, 산술평균,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남학생은 45.7% 여학생은 84.1%가 주관적으로 인지하는 신체보다 더 마른 체형을 선호하였고, 남학생의 경우 주관적 신체이미지와 이상적 신체이미지가 일치하였다. 지역별로 나누어 보면, 강남의 남학생들은 18.1%, 강북의 남학생들은 20.9%가 주관적인 신체이미지와 이상적인 신체이미지가 일치하였다. 여학생의 경우 강남의 여학생은 11.6%가 강북의 여학생은 9.2%가 주관적 신체이미지와 이상적인신체이미지가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나 남녀학생 모두 실제보다 더 날씬해지기를 원하 둘째, 신체만족도를 살펴 본 결과, 남학생과 여학생 모두 하체에 불만족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남학생과 여학생의 신체불만족 부위에 차이를 보여, 남학생은 키를, 여학생은 몸무게를 불만족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체충실지수에 따른 남학생의 분포는 저체중군이 48.3%, 정상군이 44.2%, 비만군이 7.5%로 나타났으며, 여학생은 저체중군이 41.7%, 정상군이 52.3%, 비만군이 6.0%로 나타났다. 셋째, 교복만족도는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교복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하위요인은 심미성, 신분상징성, 관리 및 세탁성, 가격, 기능성의 5개의 요인으로 추출되었다. 여학생이 심미성요인과 신분상징성요인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였고, 남학생은 기능성요인을 중요하게 생각했다. 넷째, 비만수준과 교복만족도는 남학생의 경우 정상군이 교복만족도가 가장 높았으며, 여학생은 저체중군의 교복만족도가 가장 높았다. 비만수준과 교복만족도의 차이를 살펴보면, 성별간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나 지역별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강남의 남학생 중 정상군이 기능성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였으며, 강남의 여학생은 저체중군이 신분상징성과 기능성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다섯째, 교복이 신체 각 부위를 만족시켜주는지를 살펴본 결과, 남학생과 여학생 모두 교복이 다리길이, 키, 몸매 등을 커버해주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The goal of this research was to investigate high school boy and girl students' body images and satisfaction with and evaluation of the present school uniform and provide basic data applicable to marketing. Since the youth have more concern about their appearance, self-image and clothes than any other age group, school uniform should be put in a position satisfactory to them. For this research, issues were set up as main subjects to be dealt with as follows: First, high school students' objective and subjective corpulence levels, degrees of body distortion and subjective body images in relation to body image, and their satisfaction with school uniform based on the ideal body image. Second, high school students' satisfaction with school uniform following their body cathexis Third, the actual circumstances of school uniform As the subject of research, 2 coeducational schools in Kangnam-gu, and another 2 schools in Kangbuk-gu, Seoul were randomly sampled. In collecting data, first Focus Group interview was carried out to identify the basic characteristics in high school students' attitude toward their school uniform, and next documents in literature and precedent studies were revised and supplemented to make up a questionnaire, which was distributed to 800 second graders of coeducational high school. And total 734 answers returned were used in analysis. In analyzing data, Factor Analysis, Validity test, ANOVA, T-test, multiple range test, the arithmetic mean and Frequency Analysis were carried out through SAS Package. And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were as follows: First, 45.7% of boy students and 84.1% of girl students preferred a slenderer body shape to their subjective body image. In the case of boy students, when their subjective body image coincided with the ideal body image, aesthetic quality, price and status symbolism of school uniform were regarded as more important than anything. In the case of girl students, they regarded price as the most important factor when their subjective body image coincided with the ideal body image. Second, the objective corpulence level didn't make an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sexes, while it did between the regions. Function made significant differences in Kangnam boy students' satisfaction, while status symbolism and function did in kangnam girl students' satisfaction. Third, the subjective corpulence level made significant differences in boy students' concern about aesthetic quality, while it did in girl students' concern about status symbolism and function. Seen by the regions, aesthetic quality made significant differences in Kangbuk boy students' satisfaction with school uniform, while function did in Kangnam boy students' satisfaction. In the case of girl students, Kangbuk girl student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aesthetic quality, while Kangnam girl students did in function. Fourth, the degree of body distortion didn't make any significant differences in boy students' satisfaction, while it did in girl students' satisfaction by price and function. Kangbuk girl students regarded price and function as important factors than Kangnam girl students. Fifth, Variables that determined students' satisfaction with school uniform were aesthetic quality, status symbolism, cleaning and cave convenience, price, and function.-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ⅴ Ⅰ. 서론 = 1 A. 연구의 의의 = 1 B. 연구의 목적 = 2 Ⅱ. 이론적 배경 = 3 A. 청소년과 의복행동 = 3 B. 신체만족도 = 6 C. 교복의 특성 = 9 Ⅲ. 연구문제 및 방법 = 13 A. 연구문제 = 13 B. 용어의 정의 = 13 C. 연구 대상 및 자료 수집 = 14 D. 측정도구 및 절차 = 16 E. 분석방법 = 18 Ⅳ. 연구결과 및 논의 = 19 A. 신체이미지 = 19 B. 신체만족도 = 34 C. 교복만족도 = 48 D. 교복관심도 = 52 E. 신체이미지 고양을 위한 행동 = 57 Ⅴ. 결론 및 제언 = 62 참고문헌 = 66 부록 = 70 ABSTRACT = 8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418175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남녀고등학생-
dc.subject신체이미지-
dc.subject교복만족도-
dc.subject남녀공학-
dc.title남녀고등학생의 신체이미지와 교복만족도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서울시내 남녀공학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High School students' Body Images and Satisfaction with School Uniform : centering around coeducational schools in Seoul-
dc.format.pagevi, 88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의류직물학과-
dc.date.awarded2001.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의류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