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30 Download: 0

댄 플래빈(Dan Flavin) '이미지-오브제'와 그 설치의 양면성

Title
댄 플래빈(Dan Flavin) '이미지-오브제'와 그 설치의 양면성
Other Titles
(The) Ambivalence in "image-object" and it's installation by Dan Flavin
Authors
김근화
Issue Date
2001
Department/Major
대학원 미술사학과
Keywords
댄 플래빈Dan Flavin이미지-오브제양면성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Dan Flavin, who is started off as an artist in New York in the Late 50's, opened a new horizon in his path of art by adopting exclusively fluorescent tubes and their flxtures in 1963. Individually it turned the direction of his art away from Neo Dada and Abstract Expressionism, unfolding his own creative stage of art and thereafter, from the viewpoint of art history, it bid farewell to the era of modernism disrupted by Minimalism. This is a study on "ambivalence" represented in fluorescent lamp and its installation by Dan Flavin. The research firstly sets eyes on ambivalence of "image-object" in it self which Flavin named for fluorescent lamp as hir art medium. Flavin excluded hand-crafted work by choosing industrial object, fluorescent lamps and presenting them literally as they are. On the other hand, its original intrinsic function still maintained over the course of presentation from commodity to the art piece created a wide range of colorful images, optical illusion. Thereby such ambivalence brought about another set of ambivalence, such as sculpture as object and painting as image, "secular" as commodities and "sacred" as light. Fluorescent lamp, one of typical readymades was chosen in search of new and creative art medium, not just in pursuit of conceptual attitude originated from Marcel Duchamp's gestures, and its ambivalence of literality and illusion suggest a viewpoint that looks over his plastic experiment as a whole. Through the installation of fluorescent lamps, Flavin proposed literal space as a field for viewers' experiences. the objects, extended to whole space, revealed a variety of ambivalence out of Flavin's interest in viewers as subjects. Flavin attracted attention of viewers to both literality of space and optically happend illusion at the same time. This optical illusion, ranging variously from illusionary effect to virtual images created by light, tells the difference between what they how and what they see and highlights body and eye of viewers. And the art completed by viewers tells that he denies the concept of subject of modernism while he holds the phenomenal stance of minimalism. The concept of reproduction he applied to installation of fluorescent lamps also put an end modernism. He showed "site-specificity" that the art piece was built and taken apart on the same spot and at the same time any art pieces could be reproduced anywhere in variations. Installation and disruption of art pieces break through customary and traditional expectancy of perpetual constant art piece and repetitive reproduction brings up an issue on the idea of "original", resisting the aesthetics of autonomy of modernism. The ambivalence of object vs light, material vs non-material, and literality vs illusion finally shows reconciliation between commodity and high art. And this whole process makes him stand out as an artist with his feet firmly on his own creative ground among a lot of minimalists. He did not only put focus on (이후 원문 누락);1950년대 말, 뉴욕에서 미술가로 활동하기 시작한 댄 플래빈(Dan Flavin 1933-1966)은 1963년에 형광튜브(flourescent tube)와 그 고정판(fixture)만을 단독으로 사용하면서 하나의 전환점을 마련하였다. 그것은 개인적으로는, 그의 미술이 추상표현주의나 네오 다다의 영향으로부터 벗어나 독자적으로 전개되기 시작하는 출발점이며, 미술사적으로는, 미니멀리즘의 등장을 통해 모더니즘의 종국을 예고하는 것이었다. 본 논문은 댄 플래빈이 사용한 형광등과 그 설치에 나타난 '양면성'에 관한 연구이다. 이를 위한 출발점이 된 것은, 플래빈이 미술에 도입한 형광등 자체가 지니는 양면적 속성이었다. 플래빈은 형광등이라는 산업생산품을 선택하여 즉물적으로 제시함으로써 수공예인 작업을 배제하였다. 반면, 형광등의 본래 기능을 박탈하지 않고 그대로 사용함으로써, 그는 빛에 의 해 생성되는 다양한 색채의 이미지, 시각적 일루젼(optical illusion)을 창조할 수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양면성은 다시 오브제로서의 조각과 이미지로서의 회화, 일상용품으로서의 통속성과 빛의 신성함 등과 같이 다른 양면성들을 초래하였다. 즉, 형광등이라는 기성품은 마르셀 뒤샹(Marcel Duchamp)으로부터 비롯된 개념적 태도가 아니라 새로운 미술매체를 모색하는 과정에서 선택된 것으로서, 미술매체가 갖는 오브제의 '즉물성'과 빛에 의한 '환영'이라는 상반된 특성은 그의 조형 실험 전체를 조망할 수 있는 하나의 관점을 제공해준다. 플래빈은 형광등 설치를 통해 실제 공간을 관람자에 의해 시각적으로 경험되는 장(場)으로 제시하였다. 이렇게 공간 전체로 확장된 오브제들은 관람주체에 대한 작가의 관심 속에서 다시 다양한 양면성을 드러내었다. 플래빈은 설치된 오브제를 통해서, 관람자로 하여금 실제 공간의 즉물성과 시각적 환영을 동시에 주목하도록 하였다. 시각적 환영은 착시효과에서부 터 빛에 의해 발생되는 가상의 이미지들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시각적 경험을 제공하면서, 아는 것과 보는 것의 차이를 경험하도록 하며, 이러한 경험은 곧 관람자의 신체와 시각에 대한 강조이다. 이와 같이 관람자에 의해 완성되는 미술은 그가 동시대의 미니멀리스트들의 현상학적 입장을 공유하면서 모더니즘의 주체 개념을 거부하고 있음을 말해준다. 플래빈이 형광등을 설치하는 데 있어서 복제의 개념을 적용하였다는 것 또한, 모더니즘과의 결별을 의미하는 것이었다. 플래빈은 형광등 설치를 통해, 작품이 현장에서 만들어지고 또한 그곳에서 해체되는 '장소-특수성(site-specificity)'을 드러낸 한편, 어떤 작품도 모든 장소에 조금씩 수정되어 복제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즉, 설치와 해체를 통해 영구불변하는 작품에 대한 전통적인 기대를 허물고, 반복적인 복제를 통해 원본의 개념에 대한 문제를 제기하면서 모더니즘의 자율성의 미학에 저항하였다. 따라서 오브제와 빛, 물질과 비물질, 실재(實在)와 환영의 양면성은 일상성과 고급미술의 화해를 보여주는 것이기도 하다. 그리고 이러한 전 과정은 미니멀리스트들 가운데에서도 플래빈의 독자적 면모를 보여주는 것이라 하겠다. 그는 실제 공간의 즉물성만을 강조하지 않고 환영을 수용하였으며, 형광등의 세속적 기능을 강조하면서도 다른 한편으로는, 오히려 빛의 혼합에 의한 신비스런 정경을 연출함으로써 공리적 미술에 대한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플래빈의 형광등과 그 설치는, 이와 같이 모더니즘이 와해되고, 그것이 다양한 형태의 미술들로 분열해 가는 1960년대 미국 미술계의 특수한 상황을 한눈에 보여준다. 따라서 본 논문은 플래빈의 작품과 작업개념 등에 나타난 양면성들을 통해 모더니즘을 극복하려는 작가의 혁신적 면모를 살펴보며, 미니멀리즘과의 관련성 속에서도 그것에 국한되지 않는 작가의 독창적 면모를 지적한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고자 한다. 플래빈은 자신의 작업에 대해 이론적 근거를 제시하는 일이 거의 없었기 때문에, 그가 1965년에 발표한 자전적 에세이 "...태양빛 그리고 차가운 흰 빛 속에서(‥‥in daylight or cool white)"는, 본 연구를 진행하는 데에 있어 중요한 길잡이가 되었다. 플래빈의 미술에는 다양한 상반적 요소들이 교차한다. 그리고 이러한 상반적 요소들은 플래빈의 일차적 관심사였던 '시각'의 문제로 귀결된다. 세속적인가 초월적인가, 회화인가 조각인가, 디자인인가 미술인가 등의 이분법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미술은 단지 본다는 것, 시각적 경험이라는 사실이 그에게는 핵심적인 문제였다. 이러한 시각적 경험은 비미술(non-art)이나 키치의 모습을 가장한 채, 관람자를 시각적으로 매료시키면서 다른 한편으로, 관람자 스스로 실체를 파악하도록 유도하고 미술제도에 대한 검토를 촉구함으로써, 주체의 지적 능력에 호소한다. 플래빈의 형광등과 설치에 나타난 양면성은 전통적인 관람자의 개념으로부터 새롭게 태어난 대중과 모더니즘의 제약으로부터 자유로워진 새로운 미술, 그 둘이 서로 소통하는 장을 형성하는 것이라 하겠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미술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