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57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영아-
dc.creator김영아-
dc.date.accessioned2016-08-25T06:08:57Z-
dc.date.available2016-08-25T06:08:57Z-
dc.date.issued2001-
dc.identifier.otherOAK-00000002959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187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9599-
dc.description.abstract라울 뒤피(Raoul Dufy : 1877-1953)는 19세기 말에서 20세기 중반에 이르기까지 예술의 중심지였던 프랑스에서 등장한 여러 경향을 두루 섭렵하며 독자적 예술세계를 구축했음에도 불구하고, 오늘날 미술사에서는 야수파의 일원으로서의 이름 조차 어렵게 이어가고 있는 잊혀진 작가 중의 한 사람이다. 그에 대한 연구를 시작하는데 있어서도 작품 자체에 대한 심층적인 분석없이 단지 소재나 기법 만으로 경쾌하다 못해 가볍다고 치부되던 그간의 편협된 시각에서 벗어나는 것이 하나의 과제가 되었다. 그리하여 그의 작품세계에는 겉으로 드러난 모습으로만 예단할 수 없는 또 다른 가능성이 자리하고 있음을 목격하였다. 즉 부단히 시도되고 있는 상이한 두 세계의 만남을 '통합'의 관점에서 바라보게 된 것이다. 본고에서의 통합은 '여러 요소들이 조직되어 하나의 전체를 이룸'이라는 사전적 뜻의 연장선상에서, 서로 다른 두 요소가 각자의 속성을 잃지 않은 채 작품 속에서 상호 영향을 주면서 자연스럽게 조화된다는 의미로 사용했다. 비슷한 개념을 가진 여러 용어 중에서 '통합'을 선택하게 된 것은 화합과 조화의 뜻을 강하게 내포해야 할 필요에 의한 것이며 다만 일반적 통합과 다른 것은, 통합에 이르는 개체들이 다수가 아니라 둘이라는 점이다. 이제까지의 뒤피 연구에서 조명되지 않았던 세기말 경향인 상징주의와 아르누보(Art Nouveau)를 이원론이 통합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에서 작품속에서의 통합성의 근거로 제안하였다. 특히 보들레르(Charles Baudelaire)가 결코 하나가 될 수 없지만 함께 있으므로써만 각기의 존재 의미를 획득하는 두 세계를 화해시키고자 했다고 본다면, 상징주의는 뒤피 의 '통합된 세계'에 어떤 실마리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그 구현하는 바에 있어서도 일맥상통한다고 할 수 있다. 구체적인 통합의 양상에 들어가서는 바다 풍경, 창, 음악 주제별로 각각 현실과 상상, 외부와 내부 그리고 시각과 청각세계의 통합을 관찰할 수 있었으며, 조형적인 측면에서는 꽃이나 잎의 표현이 자연의 재현과 장식성이라는 두 요소의 통합으로 드러나는 경우를 살펴볼 수 있었다. 통합의 명제를 작품속에 실현해 나가는데 있어서 상이한 두 세계는 그 경계선을 모호하게 흐려놓거나 명확하게 구분짓는 세부적인 차이를 보이면서도 결국은 삶의 외면적 요소와 내면적 요소로 환원되며 통합의 축을 넓혀갔다. 각자의 특성이 확고하여 따로 존재할 수 밖에 없다고 생각되던 요소들이 통념의 벽을 넘어 하나의 울림으로 다가오는 이러한 양상은 뒤피가 음악 주제에서 자주 선보였던 오케스트라에서 각 악기가 고유의 음색을 내면서도 교향곡의 화음에 동참하는 원리에 비유될 수 있다. 뒤피의 그림들에서 무엇보다 주목해야 할 것은 그의 작업실 정경에서조차 파레트로 대체되는 작가의 부재인데, 이는 그가 구현하려고 하는 통합의 필연성을 설명해 주는 것이 된다. 뒤피는 그가 겪은 삶의 고난이나 시련을 작품에서까지 보여주지 않으려는 의도에서 자신의 모습 대신 그 분신으로서의 파레트를 그려넣은 것이다. 즉 어린 시절의 곤궁함과 노년의 투병 그리고 전쟁으로 얼룩진 세상을 살아내면서 뒤피는 자신의 예술속에서 만큼은 현실과 다른 이상적인 세계를 이루고자 꿈꾸었고 그 방법론으로 통합을 도입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뒤피의 작품세계를 연구하면서 통합의 과정을 통해 조화로운 세계를 구축해가는 또 다른 면모가 있음을 발견하기에 이르렀다. 비록 주제의 범위가 즐거움의 표현에 한정된 측면이 있긴 하지만 그 안에서는 부단히 현실과 이상을 통합시키며 균형된 미학을 추구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그러므로, 생의 달콤함과 같은 표피적 문제나 장르의 다양성에 집착한 기존의 시각에서 벗어나, 자신이 인생의 어려움을 모르지 않으면서도 끊임없이 삶의 아름다움과 낙관주의를 지향한 뒤피의 예술을 이 논문에서 통합이라는 스펙트럼을 통해 들여다 본 점을 필자는 강조하고자 한다. 또한, 통합의 화두에 일정한 질서를 적용하여 볼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므로써 뒤피가 미술사 속에서 새롭게 자리매김할 수 있는 가능성을 모색해 보았다는 것에 본 연구의 보다 큰 의의를 둘 수 있다.;Working from the late 19th through the mid 20th century in France, which at the time was the center of the art world, Raoul Dufy (1877-1953) studied various trends in art. Although he is a creator of his own artistic style, he is one of the less recognized Fauve artists in contemporary art history today. In studying his works, an essential task is to overcome the narrow-minded perception of considering his works as overly cheerful, therefore too light, thus only focusing on subject and technique, without analyzing his work more deeply It is clear that there are other salient features, which we cannot explore without probing deeper beneath the surface of Dufy's work. In other words, his work can also be viewed as a continuous struggle at the junction of two different worlds of integration. The meaning of integration, in this thesis, refers to the joining of two aspects so as to form a whole in the sense of combining naturally without losing the properties of either aspect but influencing each in his work. Although there are other words with a similar sense, the reason why I choose integration is that it is necessary to imply the conception of unity and harmony clearly. The only difference between this and general integration is that two objects are conceptualized as achieving integration instead of a large number. Although it has not been previously mentioned in studies of Dufy, Symbolism and Art Nouveau as the end of a century trend, imply duality in itself and are suggested as the base of integration in this thesis. Because we could observe that Charles Baudelaire as a Symbolism poet, attempted to accommodate in his poems two different worlds, whose unity is impossible but also whose togetherness is the means of recognizing each others existence, it can be said that Symbolism has provided some kind of clue to 'The World of Integration' in Dufy's work and at the same time, has a common area in terms of this realization as well. In terms of concrete integration, works presenting ocean view, window and music, can be classified by themes that can be seen respectively as the integration of reality and imagination world, outside and inside world, and the visual and audio world. In the aspects of formative arts, we can learn that the expression of the flower and the petal is the integration of two ingredients, which are the representation of nature and decorative function. In the process of achieving the subject of integration in Dufy's work, two different worlds whose border is either dimmed or classified clearly have managed to widen the sphere of integration, eventually restoring the external and internal elements of life, although they differ in detail. The generally accepted idea that individual features are fixed and therefore exist separately is changed in Dufy's work. It can be compared to the principle of the orchestra, in which each instrument produces its own tone to contribute to the symphony's accord, which was often mentioned in Dufy's theme of music. The most important aspect to keep close attention to in the artist's paintings, is the replacement of the painter by the palette, even in his atelier scene. The reason why the palette features as Dufy's alter ego, is not to show his actual life experiences in his work. Dufy - who grew up as an underprivileged child, experienced war, and suffered from illnesses as an old man - dreamed of an ideal world in his art, distinct from his reality and introduced the conception of integration as a methodology. While studying Dufy's work, another aspect of establishing the world in harmony through the process of integration has been found. Although the scope of his subjects is limited to the expression of happiness, Dufy pursued balanced aesthetics through the integration of reality and ideality Therefore, I would like to emphasize the view of integration in this thesis, avoiding conventional views that focus merely on superficial matters, such as the sweetness of life or the variety of genre. Although he understood life's difficulties, Dufy continuously pursued the beauty of life and optimism through integration in his work.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re-examining Dufy's work and position in the history of art as providing an opportunity to be able to apply certain rules to the issue of integration.-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Ⅰ. 서론 = 1 Ⅱ. 뒤피의 작품에 나타난 통합성의 형성배경 = 6 A. 상징주의 문학과 종합주의 회화 = 6 B. 아르누보 (Art Nouveau) = 17 Ⅲ. 통합의 표출 양상 = 24 A. 현실세계와 상상세계 = 24 B. 외부세계와 내부세계 = 47 C. 시각세계와 청각세계 = 60 D. 재현적 요소와 장식성 = 74 Ⅳ. 결론 = 81 참고문헌 = 87 도판 = 94 ABSTRACT = 12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503207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라울 뒤피-
dc.subjectRaoul Dufy-
dc.subject통합의 세계-
dc.subject미술사학-
dc.title라울 뒤피(Raoul Dufy)의 작품에 나타난 통합의 세계-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f the World of Integration in Raoul Dufy's Work-
dc.format.page125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미술사학과-
dc.date.awarded2002.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미술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