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500 Download: 0

마크 로드코의 색면회화에 나타난 탈모더니즘적 특성

Title
마크 로드코의 색면회화에 나타난 탈모더니즘적 특성
Other Titles
Post-Modernistic Characteristics on Mark Rothko's Color-Field Painting
Authors
안경화
Issue Date
2001
Department/Major
대학원 미술사학과
Keywords
마크 로드코색면회화탈모더니즘미술사학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analyze and examine Mark Rothko(1903-1970)'s color-field paintings. His paintings were considered to be the most advanced form of painting, and yet they were overlooked by formalism-modernists at first. Since World War Ⅱ, Clement Greenberg's formalist modernism dominated the art trends in New York and his ideas emphasized the need to preserve purity of arts, which translated into avoiding mixture of different areas and pursuing original nature of the medium itself. As a result of this new assertion, the abstract expressionists, who emphasized the independence of the painting medium such as flatness and color of painting, began enjoying tremendous success. However, Greenberg's works were limited only to minor characteristics of abstract expressionism that corresponded to his own ideas such as diffusion of light, flatness of objects, and extreme abstract forms. Therefore, Rothko's color-field paintings also are usually discussed and reviewed based on these characteristics. Rothko, however, insists that his works differed from that of normal abstract arts. He claims that his use of abstract form in his works was solely to transcend the color and flatness of paintings. His paintings actually reveal that his claim holds true since they possess characteristics that cannot be explained by mere application of Greenberg's abstract expressionism. Rothko's use of colors, which Greenberg claimed of containing a sole and unique characteristic, produces a three-dimensional effect, which was created by contrasting brightness, warmness and areas. Through effects produced by converging and contrasting colors, Rothko constantly attempted to develop new ways to portray new forms of color- field paintings. His new attempts resulted in creating a three-dimensional effect and proved Greenberg's idea that Rothko's color-field painting fails to incorporate perspectives and sculptural illusions incorrect. The fact that Rothko's color-field paintings produce specific forms of art proves that his paintings contain real contents unlike Greenberg's claims that Rothko's painting was a mere form of abstract expressionism. Furthermore, Rothko supported that his painting was not a form of mere abstract arts by depicting religious icons such as entombment, pieta and crucifixion in his color-codified paintings. By incorporating tragic ideas taken from Nietzsche's 「The Birth of Tragedy」, Rothko further departs from the theories of formalism. Rothko, who noticed human's tragic irony of yearning for eternal life in the Cosmo created by the co-existence of Apollo and Dionysus powers, incorporated duality aspects of light and darkness, existence and non-existence, parallel and perpendicular, infinite and finite into his color- field paintings to illustrate human's tragic fate. Rothko, who considered each color as a performer, concentrated on creating a theatrical space consisted of painting, spaces and spectators. His efforts to create the best physiological environment to review arts for better communications with spectators assisted the spectators to accept his color-field paintings whole-heartily. His apparent efforts to accommodate spectators as a part of his arts affirms that he tried to deviate from the main stream modernism, which argued that art objects should be able to represent themselves as arts independently of external factors such as spectators. As illustrated-above, Rothko's works should not solely be described as works of a modernist or a colorist but rather be praised for his admirable effort to express abstract arts from new perspectives. One can find this thesis unique and different from previous works done on Rothko in that it attempts to analyze Rothko's paintings from a new approach that his works contain aspects that differ from a mere abstract art.;본 논문은 모더니즘의 가장 진보된 형식으로 평가 받았던 마크 로드코(Mark Rothko, 1903-1970)의 색면회화(color-field painting)에서 형식주의 모더니스트들이 간과했던 측면을 재조명하고 이를 구체적으로 점검해 보고자 쓰였다. 제 2 차 세계대전 이후 뉴욕의 미술계에서는 장르의 순수성을 유지하기 위해 다른 영역과의 교류를 금기시하고 매체 자체의 본성을 탐구해야 한다는 클레멘트 그린버그(Clement Greenberg)의 형식주의 모더니즘이 막강한 영향력을 행사하게 되면서, 그가 평면성이나 색채와 같은 회화매체의 독자적 성격을 탐색 한다고 언급한 추상표현주의 작가들이 그린버그의 휘하에서 국내외적인 성공을 거두었다. 하지만 그린버그가 추상표현주의 회화에서 주목한 점은 빛을 발산하는 색채, 원근감이 사라진 평평한 표면, 구체적 소재를 감지하기 힘든 추상 형태 등과 같이 자신의 이론에 부합하는 소수의 특성들에 한정되었다. 따라서 추상표현주의의 일원이었던 로드코의 색면회화 역시 색채, 평면성, 추상이라는 몇 개의 핵심어를 중심으로 논의되었다. 그러나 자신은 추상화가가 아니고 색채와 평면은 주제를 전달하기 위한 부가적인 수단에 불과하다는 로드코의 일관된 주장에서 보여지듯이 그의 색면회화에는 형식주의 모더니즘으로 설명할 수 없는 요소들이 존재한다. 먼저 로드코의 색면회화에서 그린버그가 회화의 고유한 특성으로 간주한 색채는, 캔버스의 평면에 한난·명도·채도·면적대비를 유발하며 색채 간의 팽창과 수축에 의한 공간감을 생성한다. 로드코는 색상의 기본적인 언어를 구성하는 대비와 동화의 효과를 통해서 색채를 형성하는데 관심을 갖고 새로운 기법을 탐구했다. 하지만 이는 오히려 작품의 표면에 공간감을 연출하면서 그의 색면회화가 원근법을 제거하고 조각적 일루전을 벗어났다는 그린버그의 평가에 반증을 제기하는 결과를 초래했다. 한편 로드코의 색면은 단순한 형태의 감축이 아닌 구체적 형상의 대체물로서, 그린버그가 추상미술의 원형으로 간주한 로드코의 작품에 구체적 소재가 존재한다는 사실을 입증한다. 또한 인간의 유한성을 타파하는 초월적인 경험을 표현하기 위해, 매장, 피에타, 십자가에 못박힘 등의 기독교 도상을 몇 개의 색면으로 코드화한 로드코의 색면회화는 자신의 작업이 추상이 아니라는 주장을 뒷받침하는 예이기도 하다. 니체의 「비극의 탄생」으로부터 형성된 비극적 주제를 색면회화에서 발견할 수 있다는 사실도 형식주의 이론과 색면회화의 상반되는 측면이다. 아폴론적인 힘과 디오니소스적인 힘의 대결이라는 이원성의 대립으로 형성된 우주의 구조 속에서 모순과 고통을 초월하며 영원을 지향하는 인간의 비극에 주목한 로드코는 빛과 어둠, 현존과 부재, 수평과 수직, 유한과 무한 등과 같은 이원성의 개념을 색면회화에 도입하여 인간의 숙명인 비극을 제시하였다. 각각의 색면 또는 작품을 배우(performer)라고 지칭했던 로드코는 특정 장소를 위해 제작된 벽화 시리즈에서 회화, 공간, 관객으로 구성된 연극적 공간을 창출하는데 전념했다. 관객과의 의사소통을 위해 작품 감상에 적합한 최적의 물리적 환경을 설정한 그의 노력은 색면회화가 전시된 공간으로 관객을 수용하였고, 이처럼 관객과의 일치를 목적으로 제작된 그의 작업들은 작품 자체가 완결된 대상으로 존재해야 한다는 모더니즘의 강령을 이탈한 것으로 보여진다. 이와 같은 특성들을 통하여 본 논문은 모더니스트 또는 색채주의자로 한정되었던 로드코를 새로운 시각으로 조망하고 추상표현주의의 공통된 특성 내에서 평가받아 왔던 로드코의 색면회화에서 독자성을 부각시키고자 하였다. 이는 추상표현주의의 일부분으로서의 로드코를 연구 대상으로 설정한 그에 대한 다수의 선행 연구들과 본 연구를 구분짓는 특성으로 볼 수 있고 여기에 본 논문의 의의를 두고자 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미술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