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40 Download: 0

셰익스피어의「The Tempest」무대의상 연구

Title
셰익스피어의「The Tempest」무대의상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Stage Costume of Shakespeare's「The Tempest」: focusing on the color symbolism
Authors
조은희
Issue Date
2000
Department/Major
대학원 의류직물학과
Keywords
셰익스피어The tempest무대의상색채 상징성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This study examines the color sumbolism as the center base of Shakespeare's work, 「The Tempes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illumination of the stage costume by applying the study of a subject of human expression, which establishes identity of dramatic characters. This study was conducted by referring a variety of theses, an extensive national and international literature. The relationship between stage costume designs and colors as well as the historic period of Shakespeare were considered in depth. At the same time, the color symbolic representation on Shakespears's thirty-seven collections of drama works, including 「The Tempest」 were carefully studied to examine the expression of human will. These studies as a foundation, distinctive reviewed through sight-seeing of theatrical performances and videos and internet informations. Through this research, the stage costumes that were alternatively corresponded with characters of the play were designed illustrated. Moreover, among the illustration, the costumes for two main heroines, Miranda and Ferdinand were produced in practice. The importance of the stage costume is there by undertaking the catalytic role of visual signal system to deliver the information on the play as well as actors and actresses that is transformed from the text, which is presented by the writer. In this perspective, color adds more significance in the stage costume because of its immediate communication ability of psychological and symbolic meaning that is also derived from the depth of human consciousness. The color symbolism that is depicted in Shakespeare's work manifests the transition period of old days, which was influenced by the Renaissance and the Religious Reformation. In those days, white reflected divinity, angel, virtue, and purity. Black symbolized condolence, death, hell, and devil. Violet represented sovereignty and nobility. Yellow expressed jealousy, debauchery, or fertility. Color preferences and the meanings we attach to them in his play, definitely reveal the Middle Ages Christian way of thinking which was obsessively dominated their mind. We also determine that the color preferences and use in Elizabeth Era also distinctively separate the social status, which were also influenced by its social conditions. For instance, black symbolized intelligence or simplicity. Red reflected high social status or the plague. Blus manifested servant or pregnancy. Besides this, colors that were depicted in Shakespear's work also shown many similatities from Italian Commedia dell'arte, which were also shown many similarities from Italian Commedia dell'arte, which were in vogue all over the Europe. Such as, yellow was used for express jealousy and debauchery, red for frankness, green for lover, and black for intelligent. Customary color symbolisms which from natural color experiences were also applied in 「The Tempest」 that white and red was used to symbolize beauty, green to hope and freshness, and brown to infertility. 「The Tempest」 was presented on the first day of November in 1611 for the first time. Following this, many plays and films have been produced in foreign countries. In this study, the distinctive features of the stage costume of Peter Greenaway's 「Prospero's Books(1991)」, and England's Shared Experience Theatre's 「The Tempest(1996)」 in Korea were examined. And the distinctive features of the stage costume of theatrical company, Du-re(korean)'s Korean style of 「The Tempest」 in 1992, and Seoul Arts Troop's musical 「The Tempest」 in 2000 were examined. The role of dramatics personae in 「The Tempest」 was sectionalized by three groups: the Young Lovers and Helpers, the Courtiers, and the Fools. The stage costume was designed by applying its color symbolism into each group of characters. In fact, white color was mainly used for the Young Lovers and Helpers group to materialize the purity, hope, and divinity that are intrinsically human. Shiny fabric was used to express the splendid and worldly image of the palace for the second group, the Courtiers. Finally, black was set up for last group, the Fools in order to manifest its malignancy of human nature and mysteriously defiant image. Therefore, eleven costume designs from each sectionalized group from the play, 「The Tempest」 were illustrated at the end. At the same time, the costumes for Miranda and Ferdinand, the lover of 「The Tempest」 were made in real through the illustration that was mentioned earlier. These costumes were mainly considered to express pure love and vigorous youth of two lovers, symbolizing the image of the theme love, forgiveness, and reconciliation. Through this study, we could reconfirm that the color symbolism, which was reflected from Shakespeare's work, is still able to undertake the role as a visualized signal in the modern age. We also found that it is significant to the mutual communication between the audience and the actors or actresses. It also helps to establish dramatic identity of characters in the play by applying the symbolic color image of 「The Tempest」 as the expression of human will to the stage costume for modern theatre.;본 연구는 영국의 대문호인 월리엄 셰익스피어(William Shakespeare, 1564-1616)의 희곡 작품 『The Tempest』를 색채 상징성을 중심으로 하여 각 등장인물의 극적 정체성을 확립시켜주는 인간 표현의 문제를 심도 있게 연구하고, 이를 무대의상에 적용하여 재조명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연구 방법은 연구논문, 국내외 문헌 등을 참고로 하여 무대의상 디자인과 색채와의 관계와 셰익스피어 당시의 배경에 대해 고찰하였으며, 『The Tempest』를 비롯한 그의 희곡 작품 37편에 나타난 색채의 상징성을 고찰하여 인간의지의 표현에 대해 연구하였다. 또한 이를 토대로 하여 이전에 국내외에서 공연된 『The Tempest』무대의상에 나타난 특징을 관람하거나 비디오, 인터넷 등의 자료를 통해 살펴보고, 등장인물들의 성격에 부합하는 무대 의상을 디자인하고 일러스트로 제시하였으며, 이들 중 극의 주제를 상징하는 두 인물인 Miranda와 Ferdinand의 배역을 위한 의상을 직접 실물로 제작하였다. 무대의상의 중요성은 작가가 제시한 언어체계로서의 텍스트를 변용하여, 관객들에게 극과 배우에 대한 정보를 전달하는 시각적 기호체계의 역할을 담당하는 데에 있다. 이러한 무대의상에서 색채는 인간 심층을 파고드는 그 심리적 · 상징적 의미의 즉각적 전달력으로 인해 한층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셰익스피어가 활동을 한 시기는 주로 엘리자베스 1세의 통치기로, 이 시기의 영국은 르네상스와 종교개혁, 그리고 국내의 과도기적 상황으로 인한 일대 혼란기를 맞이하고 있었다. 셰익스피어의 작품은 이처럼 모순되고 혼란스러운 시대적 상황의 부산물로서, 그의 희곡 작품 속에 나타난 색채의 상징성은 당시 영국의 시대상을 여실히 드러내고 있다. 흰색은 신성 · 천사 · 죄사함 · 순결의 상징으로, 검정색은 애도 · 죽음 · 지옥 · 악마의 상징으로, 자주색은 왕권과 존귀함의 상징으로, 노란색은 질투 · 방탕 혹은 풍요의 상징으로 사용되는 등, 중세 기독교적 영향이 그대로 나타나 아직도 중세적 사고방식이 이 시대 사람들의 사고에 자리잡고 있었음을 보여준다. 또한 검정색을 지성 혹은 수수함의 상징으로, 붉은색을 고귀한 신분 혹은 당시 전유럽에 만연했던 페스트(plague)의 상징으로, 파란색을 하인 혹은 임신의 상징으로 표현한 것 등에서는 색채로 사회적 신분과 계층을 표시하고 색채를 당시의 사회현상과 결부하여 상징적으로 표현했던 엘리자베스 시대의 색채 상징과 풍습을 볼 수 있다. 이 외에도 노란색은 질투심과 방탕함을, 붉은색은 솔직함을, 녹색은 애인을, 검정색은 지성을 상징한 것 등은 당시 전유럽에 유행했던 이탈리아의 Commedia dell'arte 극과 많은 유사점을 보여주며, 흰색과 붉은색을 아름다움의 상징으로, 녹색을 희망과 싱싱함의 상징으로, 갈색을 척박함의 상징으로 사용한 것에서는 자연에서의 색 경험에 유래한 관습적인 색채 상징의 영향이 나타난다. 『The Tempest』 는 1611년 11월 1일 궁정에서의 상연을 시초로 하여 국외에서는 다양한 연극과 영화가 제작되었는데, 본 연구에서는 그 중 국외 2편, 국내 2편의 충 4편의 작품을 선정하여 이에 표현된 구체적인 무대의상의 사례를 살펴보았다. 피터 그리너웨이(Peter Greenaway) 감독의 1991년 영화 『Prospero's Books』는 르네상스 시대의 의상 스타일을 극대화하여 매우 화려하고 섬세한 디테일의 무대의상을, 영국 셰어드 익스피어리언스 극단 (Shared Experience Theatre)의 1996년 내한 공연작 『The Tempest』는 이와는 대조적으로 미니멀(minimal) 스타일의 간결한 현대풍의 무대의상을 선보였다. 극단 두레가 1992년 직업극단 최초로 국내에서 공연한 『태풍』 에서는 배우들이 모두 한국풍의 마직 의상을 착용하고 등장하였으며, 2000년 서울 예술단의 뮤지컬 『태풍』은 서양풍과 한국풍이 혼합된 절충형의 무대의상을 선보이기도 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The Tempest』의 등장인물을 그 극적 역할에 의해 Young Lovers and Helpers, Courtiers, Fools의 3그룹으로 분류하고, 앞에서 살펴본 색채 상징성의 결과를 각각의 그룹과 인물들에 적용하여 무대의상을 디자인하였다. 즉 Young Lovers and Helpers는 순수함과 희망, 인간에 내재된 신성(神性)의 구현을 디자인 컨셉으로 하여 흰색을 주색채로 사용하고, Courtiers는 화려하고 세속적인 궁정의 이미지라는 컨셉을 표현하기 위해 광택있는 자주색과 푸른색을 주색채로 사용하였으며, 마지막으로 Fools는 인간의 본능적 악성(惡性)과 기괴하고 반항적인 이미지의 컨셉에 맞춰 검정색을 주색채로 설정하였다. 따라서 이들 11명의 디자인을 일러스트로 제시함과 동시에, 극의 주제인 사랑과 용서, 화해의 이미지를 상징하는 두 연인 Miranda 와 Ferdinand의 배역을 위한 무대의상 2벌을 앞서 제시한 일러스트를 토대로 실물 제작하였다. Miranda의 무대의상은 길게 올라오는 칼라(collar)와 짧은 소매가 달리고, 스커트의 힙(hip)에서부터 끝자락까지 트임을 넣고 헴(hem) 라인을 다르게 한 프린세스(princess) 라인의 원피스이며, Ferdinand의 무대의상은 긴 칼라와 어깨 장식이 달리고, 가슴 부분을 깊게 파 활동력을 강조한 원피스와 블리오(bliaud) 스타일의 튜닉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poly vinyl과 poly urethane 소재를 사용하여 현대적인 감성을 표현하고자 하였다. 이상의 연구를 통해 인간 의지의 한 표현으로서 셰익스피어의 작품 속에 사용된 각 색채의 상징성을 현대 연극무대를 위한 무대의상에 적용함으로써, 그의 작품에 나타난 색채의 상징성이 현대에도 그 시각적 기호로서의 역할을 담당, 관객과 배우의 상호 커뮤니케이션을 원활케 하며 등장인물들의 극적 정체성을 확립하는데 기여할 수 있음을 재확인할 수 있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의류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