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38 Download: 0

韓國 阿彌陀如來像의 硏究

Title
韓國 阿彌陀如來像의 硏究
Other Titles
(A) Study on Amitabha Images of Korea : Centering Around Works in the Periods of the Three Kingdoms and Unified Shilla
Authors
金炫廷
Issue Date
1999
Department/Major
대학원 미술사학과
Keywords
한국아미타여래상삼국시대통일신라시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Buddha images represent the doctrine and type of Buddhism and social, cultural and artistic situations when they were made. Amitabha images were one of the most frequently formed Buddhist images under the Mahayana Buddhism. In the period of the unified Shilla, the capability of the religion as accumulated along with the Amitabha faith was reflected in formative arts and active exchanges with China allowed the creation of a new iconography and the formation of many Amitabha images. The Amitabha faith was created by Mahayana Bodhisattva in the region of Gandhara of India around the Christian era in an effort of New Buddhism Movement and influenced the Buddhist Elysium faith of both China and Shilla in the same period. Amitabha images which were actively formed over a long period in East Asian countries including India, China and Korea over were common basically but developed differently among the countries. Amitabha images of India do not have clear examples of formation, leaving their original form uncertain. Works which were identified by literatures a s such images a r e few in number, Although their interpretation is doubtable, those literatures allow predicting the existence of Amitabha images in India. In China, many Amitabha images were made as Amitayur-dyana- sutra was interpreted and the Amitabha faith was popularized since the third century A.D. But their pattern had little uniqueness until the Sui dynasty. In the period of Sui, the pattern of a combination of three Buddhist images which adapted Abhaya-Vara-mudra was prevailed. In the period of T'ang, the Amitabha faith was changed significantly. But Amitabha images in the same period were discriminated from other Buddhist images mainly by mudra and their pattern employed a combination of Abhaya-mudra and similar-Bhumisparsa-mudra. Amitabha images with no Dharmacakra-mudra can be often found in sculptures made during the periods of middle-T'ang and late-T'ang. This was probably because mudra was perceived a s pictorial in the two periods, unlikely in India. Amitabha images of ancient Shilla used older patterns, but their shapes became different among places due to new attempts following the introduction of similar shapes of the early T'ang. Abstract techniques of image sculpture were converted into techniques emphasizing real and rich massiveness. The focus of the sculpture moved from the front side to active features. Three Buddhist images a s combined showed different postures, differently, due to the influence of China. In the period of the unified Shilla, Amitabha images were more sophisticated and balanced sculptures than in the previous period. Clothes of sculptured figures seemed more realistic and cubic, which indicates strong influences by Chinese T'ang when it was prosperous. It should be also noted that Amitabha-mudra established its position firmly as the end of the united kingdom came near.;佛像은 제작 당시의 불교 敎理와 신앙 형태, 사회 · 문화 · 예술의 전반적 상황을 반영한다. 阿彌陀如來像은 대승 불교의 尊像 중에서 가장 빈번히 조성되었던 像의 하나로 통일신라시대에는 阿彌陀淨土信仰과 더불어 축적된 불교의 역량이 조형미술에도 반영되었으며 중국과의 활발한 교류로 인하여 새로운 圖像이 창안되고 많은 阿彌陀如來像이 조성되었다. 기원전후 무렵에 大乘普薩들에 의하여 新佛敎運動의 일환으로 인도의 간다라 지방에서 아미타 신앙이 성립하였고 이는 동일문화권에 있는 중국과 신라의 淨土信仰에도 영향을 미쳤다. 인도를 비롯하여 중국, 한국 둥 동아시아에서 오랜 시기에 걸쳐 활발히 조성된 阿彌陀如來像은 공통성에 기초하면서도 각기 다른 독자적 발전 경로를 거쳐왔다. 인도의 阿彌陀如來像은 확실한 造像例를 남기지 않아 그 始原的 형태에 관한 의문이 남아 있다. 즉, 銘文을 통해 阿彌陀如來像으로 판별된 작품은 그 일부만 남아 있거나 銘文 해석의 신빙성에 문제가 있지만, 불확실하나마 阿彌陀如來像의 존재를 추측할 수 있다. 중국에서는 3세기 이래 淨土三部經이 譯涇되고 阿彌陀信印이 대중화되면서 阿彌陀如來像이 다수 제작되었으나 隋代까지 형식면에서 고유성을 지닌 예는 그리 많지 않다. 또한 隋代까지는 주로 施無畏 · 與願印을 취한 三尊像 구성이 유행하였다. 唐代에 들어 阿彌陀淨土信印이 본격적으로 변모하였으나 다른 尊名의 像들과 구별되는 요소 手印에 의한 것이었고 施無畏印 · 類似觸地印을 결합한 형식이 주를 이루었다. 轉法輪印을 결한 阿彌陀如來像은 中唐 · 晩唐期에 觀經變相 조각에서 주로 나타나는데, 인도에서와는 달리 회화적 수인으로 인식된 결과라고 본다. 古新羅의 阿彌陀如來像은 古式을 보이면서도 初唐 양식의 유입에 의해 지역에 따라 새로운 시도가 일어나 양식이 혼재하는 경향을 보인다. 또한, 추상적인 조각기 법이 점차 사실적이고 풍부한 양감으로 살아나게 되며 정면관 위주에서 탈피하여 動的인 모습으로 변화한다. 마애불상의 경우에도 高浮彫化 되고 있다. 삼존상의 경우, 중국의 영향으로 三曲자세를 보이는 반면, 통일기의 아미타여래상은 전 시기의 불상보다 세련되고 균형있는 조각기법을 보인다. 의습의 처리기법이 이전보다도 사실적이며 입체감을 강조하여 중국의 盛唐期 영향을 받은 흔적이 뚜렷하다. 마애불의 경우 고부조의 입체감이 약해지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또한, 통일신라 말기로 갈수록 뚜렷한 阿彌陀 手印으로 정착되어 주목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미술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