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23 Download: 0

아동학대 가해 부모의 특성에 관한 연구

Title
아동학대 가해 부모의 특성에 관한 연구
Authors
지주예
Issue Date
2001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Keywords
아동학대가해 부모사회복지학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Child Abuse has been social problem from ancient to modem society. However, it has not been noticed until 20th Century. In Korea, child protective services started in 2000. Most of Cases reported in Child Protective Service by present were cases parents abused their children. That propose us need of research on abusive parents for intervening child abuse.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parents who abuse their children for presenting a ground for preventive and intervening services in social work practice. Parents' child abuse experiences in childhood, frequency and amount of alcohol use, social-economic status and level of supporting physical punishment were selected for characteristics of abusive parents by literature review. Data from a sample of 48 parents who were reported in Child Protective Service in Korea for abusing their children were collected. The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simple linear regression and multiple regression method. The major finding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high portion of the sample presented low level of education, low income, unemployment and unstable marital relationship. Second, result of study presented that parents' child abuse experiences that was statistically in childhood influence on degree of child abuse, significant. Third, There was statistical significance between groups divided by frequency of alcohol use. Parents who drank alcohol frequently abused their child severely than who did not. Fourth, There was no statistical significance between groups by social and economic variables, and parenting stress and level of supporting physical punishment had no influence on degree of child abuse.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following approach should be taken in order to prevent and intervene child abuse. To break the degeneration cycle of child abuse, in terms of prevention, services for child abuse high risk group and in terms of intervention, therapeutic services for abused child should be made. Then, to intervene child abuse, parents' alcohol problem should be considered as critical, so that child protective services and alcohol service programs should make a network and develop the program for abusive parents who have alcohol problem.;우리나라는 2000년 아동복지법을 개정 시행하면서 아동학대에 의한 본격적인 개입을 시작하게 되었다. 지금까지 아동학대예방센터에 신고되는 학대사례들은 가정 내에서 부모에 의해 가해지는 학대기 대다수인 것으로 보고되었다. 본 연구는 아동학대예방센터에 신고되어 아동학대를 가한 것으로 판정된 아동학대 가해 부모들을 대상으로 하여 아동학대 가해부모의 특성을 밝히고자 하는 것으며, 그 결과를 바탕으로 아동학대 가해 부모에 대한 치료적, 예방적 차원의 사회복지적 실천방안을 모색하는데 그 의의를 두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문헌연구를 통하여 아동학대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생각되는 가해부모의 특성들을 조사하고 아동학대 가해 부모의 피학대 경험과 음주회수, 음주량, 양육스트레스, 사회경제적 특성, 체벌에 대한 지지도와 아동학대 수준과의 관계를 조사하였다. 본 연구를 위하여 2001년 10월28일부터 2001년 11월30일까지 전국 15개 아동학대예방센터에 설문지를 배부하여 이 중 8개의 아동학대예방센터에서 53부를 회수하여 이 중 48부를 SPP/WIN 10.0을 사용하여 최종분석 하였다. 기술적 통계분석, 가설검증을 위하여 단순적률상과분석, T-검증, 단순회귀분석, 다중회귀분석 등의 방법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술적 통계분석 결과, 아동학대 가해부모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을 종합해보면 낮은 교육수준, 낮음 소득, 아버지의 높은 실직률, 불안정한 주거상태, 높은 가족결손 등으로 요약될 수 있으며, 이들이 사회에서 상대적으로 낮은 위치에 있는 사회적 약자에 속해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부모의 아동기 피학대 경험과 아동학대 수준과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단순적률상관분석과 단순회귀분석이 실시한 결과, 아동학대 가해부모들의 아동기 피 학대 경험정도가 높을수록 아동학대 수준이 높게 나타났다. 셋째, 아동학대 가해 부모의 음주회수와 1회 음주량 사이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T-test를 실시하였다. 음주회수가 높은 집단이 낮은 집단보다 아동학대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1회 음주량이 많은 집단에서의 학대수준의 평균점수가 높게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얻지는 못하였다. 이 결과는 부모의 알코올 남용과 의존의 문제가 아동학대에 영향을 준다는 것을 나타내주는 결과이다. 셋째, 아동학대 가해부모의 양육스트레스 수준, 사회경제적 특성, 체벌에 대한 지지도에 대한 검증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얻지 못하였으나 기술적 통계 분석에서 아동 학대 가해 부모들의 양육스트레스가 일반집단보다 높은 수준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연구대상자들의 교육수준과 월 평균 소득이 전체적으로 낮게 나타나고 있어 학대 가해 집단을 비 학대 부모집단과 비교했을 경우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한 결과를 가져올 수 있을 것으로 추정 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아동학대의 세대간 전달을 막기 위한 예방적 서비스와 치료적 교육적 서비스의 중요성, 학대 가해 부모의 알코올 남용과 의존의 가능성과 이에 대한 사회복지적 실천방안 마련의 중요성을 시사하고 있으며, 이를 위한 지속적인 학대 가해 부모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을 시사하고 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