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84 Download: 0

J. S. Bach의 'Chromatic fantasy and fugue BWV903'에 관한 연구

Title
J. S. Bach의 'Chromatic fantasy and fugue BWV903'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Johann Sebastian Bach's
Authors
김이정
Issue Date
2000
Department/Major
대학원 음악학과
Keywords
BachChromatic fantasyTugueBWV903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논문은 필자의 석사과정 이수를 위한 졸업 연주회 곡목 중의 하나인 바흐(Johann sebastian Bach, 1685∼1750)의 에 대한 연구이다. 바로크(Baroque) 음악의 가장 큰 특징은 중세나 르네상스(Renaissance)의 음악과는 달리 기악의 고유 영역이 성악으로부터 독립했다는 것이다. 즉, 음악적 의미를 종교적 가사로부터 찾던 성악 위주의 신학적 음악 가치관에서 벗어나 순수 음향의 기악 음악의 위치를 확립한 것이다. 따라서 다양한 악기들이 개량되고 발전되어 각 악기들의 고유한 영역을 구축하게 되었는데, 이 중 건반악기로는 오르간(Organ)·하프시코드(Harpsichord)·클라비코드(Clavichord) 등이 있었으며, 이들을 위한 여러 음악 형식들로는 토카타(Toccata)·푸가(Fugue)·변주곡(Variations)·모음곡(Suite)·소나타(Sonata)와 여러 즉흥적인 형식 등이 있다. 바흐는 바로크 시대의 대표적 작곡가로서 바로크의 주요 어법인 대위법을 현재의 형태로 완성시킨 바로크 음악의 집대성자이다. 그는 건반악기를 위한 음악으로 전주곡(Prelude)·환상곡(Fantasy)·토카타·푸가·무용모음곡·변주곡·소나타·카프리치오(Capariccio) 등 바로크 시대에 존재하는 거의 모든 형식에 걸쳐 작곡하였다. 1720에서 1730년 사이에 작곡된 くChromatic Fantasy and Fugue BWV903>는 그의 대표적 작품의 하나로 매우 기교적이고 예술적인 음악으로 널리 알려져 있는 곡이다. 이 작품의 Chromatic Fantasy는 16·17세기의 엄격한 대위법적 양식에서 벗어나 자유로운선율 진행·대담한 조바꿈·갑작스런 변화를 수반하는 박자와 템포·반음계적 화성·기악적 레시타티브(Recitative) 등에 의해 즉흥적인 성격을 나타내는 곡이다. 이 작품에서 Fantasy는 Fugue에 선행하는 전주곡의 형식을 띄며, 이는 Fugue와 동등한 비중을 갖는다. 이러한 사실로 볼 때, 이 작품의 Fantasy는 환상곡 형식의 가치를 부수적인 차원에서 한 단계 끌어 올리는 역할을 했다고 할 수 있다. 한편, 대위법의 진전과 더불어 발전된 Fugue는 바흐 시대에 이르러 완성을 보게 되었다. 바흐는 확대·축소·전위(Inversion)·스트레토(Stretto)등의 기법을 통해 오늘날 우리가 사용하고 있는Fugue 형식을 창조해 냈다. 이 작품의 Fugue는 3성부의 Fugue로써 엄격한Fugue 형식에서 벗어나 즉흥적인 음형을 첨가하여 자유로운 구성을 보인다. 이 Fugue 의 주제는 반음계, 온음계, 3화음 등 세 가지의 기본적인 선율로 이루어져 있으며, 특징적인 리듬이 곡 전반에 걸쳐 나타난다. 바로크 시대의 악보는 현재의 악보와는 달리 세부사항을 일일히 기보하지 않고 대부분을 연주자들의 기량에 의존했다. 따라서 현대 연주자들이 바흐의 원전 악보를 사용하게 될 경우 선율·리듬(Rhythm)·템포(Tempo)·다이나믹(Dynamics)·페달(Pedal)·아티큘레이션(Articulations)·장식음(Ornamentation) 등을 작곡가의 의도나 당시의 연주관습에 벗어나지 않도록 스스로 해석하여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현대 악보는 당시의 일반적인 연주관습을 반영하여 재편집하는데, 이 경우에 작곡가의 의도에서 벗어나는 편집자의 주관적인 해석이 개입할 수 있기 때문에 연주자들은 편집된 악보에 절대적으로 의존하여서는 안될 것이다. 따라서 연주자의 가장 바람직한 태도는 이상적인 에디션(Edition)을 채택하여 바흐의 원전악보와 비교 분석해 보는 것이다. 즉 ,원전악보를 통하여 작곡가의 의도를 파악한 후 해석된 악보를 통해 당시 연주관습에 맞는 음악적 내용들을 연구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비교 연구를 통하여 현대 감각과 조화를 이루고 당시 연주관습에 부합하며 작곡가의 근본적인 의도에 근접하게 될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와 같은 연구를 위하여 우선 바흐가 작곡한 건반악기 음악의 특징과 대표적인 작품들을 살펴봄으로서 바흐의 음악세계에 대한 이해를 돕는다. 아울러 Fantasy와 Fugue의 일반적인 개념을 알아보고, 이를 바탕으로 의 역사적 의의와 음악적 내용에 대해 연구한다. 그리고Georg von Dadelson과 Klaus Ro¨nnau가 편집한 바흐의 Henle 원전판과 Hans von Bu¨low가 편집한 Schirmer Edition을 비교·대조하여 바흐 음악해석에 대해 이상적인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This thesis refers to a study on the analysis of Johann Sebastian Bach's (1685 -1750) , one of pieces on my graduation recital for the degree Master of Music in piano performance. One of the most distinctive characteristics of Baroque music is the independence of instrumental music from vocal music. That is, escaping the theological value focused on vocal music that searches for musical meaning, Baroque music established the status of instrumental music. Accordingly, unique scope of each instrument was built with the development of various instruments, and keyboard instruments including organ, harpsichord and clavichord, Various music styles for them are toccata, fugue, variations, suite, sonata and various improvisational forms. J. S . Bach, one of the most profoundly inspired German composers representing Baroque period, left many supreme masterpieces in most music fields with a contrapuntal polyphony in various musical forms such as prelude, fantasy, toccata, fugue, suite, variation, sonata and capriccio. Composed in between 1720 and 1730, this work is one of the most frequently performed music in these days because of the acknowledgement of artistic value of its liberal form, compositional craftmanship, strict composition, and the aspect of improvisation. The Chromatic Fantasy in this work escapes the strict fugue form in the sixteenth and seventeenth century, and presents improvisational characteristics by contrasting harmony, bold modulation, abrupt change of tempo, chromaticism, and instrumental recitative. The Fantasy fills the role of the prelude that anticipates the fugue, and firmly established the equal part with the fugue. On the other hand, the Fugue, the most fully developed procedure of imitative counterpoint, came to be completed in the Baroque Era. Bach created the form of the fugue that we use today through techniques such as augmentation, diminution, inversion, retrograde, and other devices. This Fugue in this piece has three parts, but does not follow the strict fugue form. The subject of this fugue is based on a basic melodic pattern such as diatonic, chromatic, and triadic figures and a distinctive rhythmic pattern appears throughout the Fugue. The musical note of Baroque period does not show every detail like the present one, and it depends on a performer's interpretation. Accordingly, it is difficult for today's performers to play the Baroque music based on the original note without escaping a composer's intentions in melody, rhythm, tempo, dynamics, pedal, articulations and ornamentation. To supplement it, a performer should not completely depend on a musical note because it is possible that an editor's interpretation can be added. Therefore, the most desirable attitude of performers is chosen an ideal edition and compare it with the original note of Bach. That is, they should first grasp a composer's intention and study musical contents that go well with the tradition of that time. In this study, they can be harmonized with modem sense and closely approach a composer's intent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음악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