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72 Download: 0

인지행동 환청관리 프로그램의 효과성에 관한 연구

Title
인지행동 환청관리 프로그램의 효과성에 관한 연구
Authors
김교상
Issue Date
2000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Keywords
인지행동환청관리프로그램사회복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The patients who been treated on medication for long time but still keep suffering auditory hallucination feel scared, frightened, and even think to kill himself. Because of the hallucination this patients have hard time on their common life, and fall into low self esteem. They fell depression, wrath, incompetent, scare, and isolation. Therefore, in this study I applied and tested a cognitive behavior auditory hallucination program to these patients if the program gives satisfaction on their life qualities, decreases depression, anxiety and the level of audition hallucination to try to give basic materials. Theoretical backgrounds in this study are medical and social psychological features, the relation of auditory hallucination to the schizophrenia patients, cognitive behavior ways, and other auditory hallucination programs in cognitive behavior way through the country and other countries. Based on these research we selected specific group and tested to that group. For the test I used pretest-posttest group design method to the experimental-control designs. Referring other cognitive behavior model programs before. The target of the test, was 18 volunteer patients out, of 25 which falls on the condition from Y university mental hospital. The condition was first psychiatric patients who has auditory hallucination, second been treated anti-psychotic medication for 6 weeks but still have auditory hallucination, third have symptoms of auditory hallucination at least 2 or 3 times every week, forth who can keep the medication through the test period, fifth should be communicative, sixth acceptable on the program. These patients who satisfy the condition I pick in random 9 persons for experimental group and other 9 for control group. For the experimental group, I applied the program from 22 sep 2000 to 10 nov 2000 what I developed based on cognitive behavior model every week at least for 60 minutes. For measure self-esteem I used "Self-esteem Questionnaire" developed by Rosenberg(l965) and, for depression level "Beck Depression Inventory" by Beck, for anxiety "The State-Trait Anxiety Inventory" by Spielberger(l972), for auditory hallucination level "Auditory Hallucination Questionnaire" by Hany H. Husting and R. Julian Hafiner, and for the level of satisfaction on their life I used the method developed by Yang Ok Kyung(1994). For data analysis, Wilcoxon Siged-Ranks Test, Mann-Whitney U-Wilcoxon Rank Sum Test, and percentage method through SPSS statistics package. This is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First, the group program helped the psychiatric patients who suffering auditory hallucination by static results. Second, the group program lowed the anxiety level of the patients by static results. Third, the group program decreased the feeling of auditory hallucination by static results. Forth, the group program could not increase self-satisfaction of their life by static results. But, in some way, the group program could increase on friendship and relationship, physical and psychological health, and using spear time. Fifth, the group program could not help the patients to increase self-esteem by static results. The reason is participating on the group program, patients learn more about the symptoms of their hallucination and some of them can have negative think of themselves which decrease self-esteem. Sixth, the appraisal of the group program by the patients was pretty much positive.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give some ways to the patients that they can treat themselves about low self-esteem, anxiety, low self-satisfaction on their life with cognitive behavior program when there is almost nothing about group programs only to auditory hallucination patients. But the limit of this program is hard to apply to all the auditory hallucination patients because of there is only few cases and tested to few patients in the hospital. For the last, I want to suggest something that the mental-health social workers who treat auditory hallucination patients can improve. First, we need apply the a cognitive behavior auditory hallucination program in this study not only the patients in the hospital but also all the other different situations. Second, because of lack of time, I just could apply the program for few days but to know exact effect of the program, we need keep control the patients. We need at least look the patients who was on the program for how much the patient is appling the program after they leave the hospital or at regular life.;꾸준한 약물치료에도 불구하고 환청증상을 경험하는 많은 환자들은 그 환청의 경험으로 놀라고 두려워하며 어떻게 해야 하는지 모르고 혼자서 절망을 하거나 죽고 싶은 생각이 들 수도 있다. 또한 환청증상이 있는 개인들은 그들이 경험하는 목소리로 인해 삶의 방해를 받게되며 낮은 자아존중감을 경험하게 한다. 이러한 낮은 자아존중감은 환청증상이 있는 환자들을 우울감에 빠지게 하거나, 분노를 느끼게 하고 무력감, 자기 자신에게 해가 될 것 같은 두려움, 고립감 등을 경험하게 한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꾸준한 약물치료에도 불구하고 완전히 증상이 회복되지 않아 영구적으로 환청증상을 갖고 있는 환자들의 자아존중감을 증진시키고, 불안이나 우울, 환청을 지각하는 정도를 낮추어 그들이 일상생활에서의 삶의 만족도를 증진시킬 수 있는 인지행동 환청관리 집단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그 효과성을 검증한 후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 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이론적 검토를 하였으며 그에 기초하여 통제집단을 활용한 실험연구를 하였다. 먼저 이론적 배경으로는 환청증상과 관련된 의료적 · 심리사회적 특성과 환청증상이 정신분열증 환자에게 미치는 영향 그리고 인지행동적 접근모델을 고찰해 보았다. 그리고 인지행동 모델을 적용한 환청 관리 프로그램에 대한 국내외 선행연구를 살펴보았다. 실험연구에서는 선행연구에서 연구된 인지행동 모델을 적용한 프로그램을 참고로 하여 실험-통제 집단을 통한 사전-사후 검증 연구설계를 사용하였다. 실험연구의 대상자는 Y대학 정신병원 입원환자이며, 프로그램 참여 조건에 만족하는 총 25명의 입원 환자 중 개별적인 면담을 통해 프로그램의 참여의사를 밝힌 18명의 환자이다. 참여조건은 첫째, 정신분열증 진단을 받은 사람 중 양성증상으로 환청을 경험하고 있으며 둘째, 6주 이상의 항정 신성 약물치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환청이 지속되고 셋째, 일주일에 2-3 번 이상의 환청을 경험하고 있어야 하며 넷째, 약물을 프로그램 참여 기간 동안 유지할 수 있어야한다. 다섯째, 기본적인 의사소통이 가능하여야 하고 마지막으로 프로그램 참여에 수용적인 태도를 보여야 한다. 이러한 참여조건을 만족하는 환자들은 무작위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각각 9명씩 할당되었다. 그 중 실험집단은 2000년 9월 22일부터 11월 10 일 까지 주 1회 60분씩 총 8회에 걸쳐 인지행동 모델을 기초로 하여 본 연구자가 개발한 집단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자아존중감 척도는 Rosenberg(1965)가 개발하고 김문주(1994)가 번안한 Self-esteem Questionnaire를 사용하였고, 우울정도를 측정하기 위한 도구로는 Beck에 의해 개발된 Beck Depression Inventory를 사용하였으며, 불안정도를 측정하기 위한 도구로는 1972년 Spielberger가 개발한 상태-특성 불안 측도 The State-Trait Anxiety Inventory를 사용하였다. 또한 환청정도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Harry H, Husting and R. Julian Hafiner 등이 개발한 Auditory Hallucination Questionnaire를 사용하였으며 삶의 만족정도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양옥경(1994)에 의해 개발된 척도를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통계 패키지를 통하여 Wilcoxon Singed-Ranks Test, Mann-Whitney U-Wilcoxon Rank Sum Test, 백분율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집단 프로그램이 환청증상을 경험하고 있는 정신분열증 환자들이 우울정도를 감소시키는 데 통계적으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집단 프로그램이 환청증상을 경험하고 있는 장신분열증 환자들의 불안정도를 감소시키는 데 통계적으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집단 프로그램이 환청증상을 경험하고 있는 정신분열증 환자들의 환청지각 정도를 감소시키는데 통계적으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집단 프로그램인 환청증상을 경험하고 있는 정신분열증 환자들의 삶의 만족도를 증진시키는 데 통계적으로 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삶의 만족도를 하위척도별로 나뉘어 분석해 본 결과 친근 및 대인관계, 신체 및 정신건강, 여가활용 하위척도에서는 통계적으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집단 프로그램이 환청증상을 경험하고 있는 정신분열증 환자들의 자아존중감을 증진시키는데 통계적으로 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프로그램 실시 후 이러한 결과가 나온 이유는 프로그램에 참석한 구성원 중 집단 프로그램에 참석한 후 자신의 환청증상에 대해 심각하게 생각하게 되며 보다 구체적으로 증상에 대해 알게됨으로써 오히려 자기 자신에 대해 더욱 부정적인 관점을 갖게 되어 본인 스스로에 대한 자아존중감이 더 낮아졌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겠다. 여섯째, 프로그램 설문지를 이용한 집단 대상자들의 주관적 평가를 통해서 환청증상을 경험하고 있는 정신분열증 환자의 환청관리에 있어서는 본 프로그램을 긍정적으로 평가함을 알 수 있었다. 현재 우리나라에서 환청증상만을 경험하고 있는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는 집단 프로그램의 개발과 연구가 전무한 상태에서 본 연구는 환청증상을 경험하는 개인들을 대상으로 그들이 느끼고 있는 낮은 자아존중감, 불안, 우울, 낮은 삶의 만족도를 인지행동적 집단프로그램을 통해 그들 스스로 적극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해 보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겠다. 그러나 본 연구는 사례수가 적고, 병원입원환자 일부만을 대상으로 실시되었으므로 모든 환청증상을 경험하고 있는 정신장애인들에게 이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일반화하는데 한계가 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질적인 차원에서 정신분열증 환자의 환청증상을 관리해주는 정신보건사회복지사의 보다 활발한 활동을 기대하면서 몇 가지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 효과적이었던 인지행동 환청관리 프로그램을 병원내의 입원환자들 뿐 아니라 다양한 세팅에 있는 정신장애인들에게 폭넓게 활용 될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다. 둘째, 본 연구에서는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측정하기 위해 단기프로그램을 적용한 것에 그쳤으나 집단 프로그램의 보다 정확한 효과성 측정을 위해서는 지속적인 사후 조사가 실시되어야 한다. 프로그램 종료 후나, 프로그램에 참여한 환자가 퇴원한 후 지역사회에 생활하면서 프로그램의 내용을 얼마나 잘 적용하고 있는지를 적어도 6개월 정도의 사후변화를 살펴 그 효과성을 검증할 필요가 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