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3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이지윤-
dc.creator이지윤-
dc.date.accessioned2016-08-25T06:08:48Z-
dc.date.available2016-08-25T06:08:48Z-
dc.date.issued2003-
dc.identifier.otherOAK-00000002900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178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9007-
dc.description.abstractAdolescence is important in the development of sociability and requires collective and social experiences useful in developmental tasks, so voluntary activities are proposed to improve the sociability. But recent researches connected with adolescent voluntarism concentrated on voluntary activities of adolescents and methods of increasing voluntary frequency. Researches to develop the adolescent voluntary programs are rare, especially for the voluntary leaders, so developing multiple and systematic programs is needed. According to preceeding researches, voluntary activities are the means through which adolescents can experience the cooperation with others and maintain good human relationships. They can be the stuffs for self-actualization and maturity. By the activities adolescents can perceive the meaning of voluntarism and have confidence and evolve the potential leaderships. The object of the dissertation is to propose one of the frameworks of educational programs of voluntarism based on the model "social interaction skill"(Peterson & Stumbo) which emphasizes skills of communications, relation-forming, and self-expression. By this dissertation I will provide for the basic materials, the use of which can help the researcher to direct the students practically. This program was tested to an adolescent voluntary group enlisted in district welfare facilities located in Seoul which is consisted of 16 teenagers. It consisted of 6 sessions from March 27th until May 1st 2003. To enhance the capability of social interactional skills, I organized "groups1' consisting of 2 members and I gave many opportunities to make the social interactional skills acquired in the course of the activity. The structure of the program is firstly preparation, secondly execution, thirdly evaluation according to the principle for the developing the educational programs. The first session as the preparatory stage was carried out to promote the understandings and interests of the partakers about the significances of voluntary activities, rapport between leader and students, and their motivation. This session is supposed to promote the relation-forming capability of the adolescents. The second, also preparatory stage, included experience education on the discomfort of the elders to better the understanding of the students. In this process they can recognize the situations of the elders and they can sympathize with them. From the third, the execution stage begins. At this time adolescents are given the instructions in the meaning of voluntarism and precautions how to behave. They also learn how to make a effective relationships forming. They visit the homes. In this session students are supposed to enhance the self-expression capability through the education in the introduction and they can have the opportunity to have initiative of greetings and dialogue. In the fourth, partakers talk with elders and they survey the interests, desires, and tastes of the elders. They are supposed to plan and prepare the subsequent 5 leisure activities under the agreement of the elders. The benefit of this session is that students can express the concerns and anxiety for others and that they can learn how to get information and negotiate. In the fifth, students should carry out the promises for the sake of elders. Adolescents should do on their own and in this process they can enhance the leadership. In the sixth, partakers should have the evaluation session when they judge their activities and evaluate their sociality index. The fortification of motivation is desirable. An quantitative assessment was carried out to gauge the development of autonomy, leadership, sociability, and social responsibility. The assessment was made to the single experiment group by drawing a comparison before and after conducting the program, with SPSS/WIN used. Paired t-test was used. Also the researcher analysed reports of participants and group process. The followings are the main results of the program analysis. 1) According to effectivity analysis, through this program students showed signs of improvement in autonomy, leadership, sociability, sacrifice so they can be said to grow in sociality significantly after the sessions. 2) The effect of the program is described as follows in the light of the program contents and structure. After every session partakers positively answered the questions about satisfaction, feeling, participation, and utility. Also they responded very affirmatively that this program enhanced their leadership, sociability, service. They had partake in the activity voluntarily and they actively underwent the courses of preparation, execution, and evaluation. The evaluation of the structure is as follows. Partakers answered that the number of membership is appropriate(l00%) and the needed time is fit to the students but frequency of the sessions is not enough. The program proposed in this dissertation supports the preceeding conclusions of researches on adolescent voluntary activities and have the contribution in proving the "social interaction skill model" used as a medium for developing the voluntary programs. This study requires subsequent endeavors to concrete the voluntary education content. To this end "the social interaction skill model" should the main role in developing various educational programs and follow-up researches connected.;청소년기는 사회성발달에 있어 매우 중요한 시기이며 발달과업 달성의 유용한 집단적, 사회적 체험이 강조되고 있어, 청소년기에 요구되는 사회성함양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서 자원봉사활동이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최근까지 진행된 청소년 자원봉사와 관련된 연구들은 청소년의 봉사실태, 활성화방안에 관하여 집중되어 청소년 자원봉사프로그램 개발 연구는 상대적으로 미약하며 자원봉사활동 지도자를 위한 체계적인 프로그램 개발 역시 찾아보기 어렵다. 그러므로 이를 보완하기 위해 다양하고 체계적인 프로그램 개발이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 최근 선행 연구에 의하면 자원봉사활동을 통해 청소년들은 타인과 협력하고 원만한 인간관계를 유지하게 함으로써 자기발전과 성숙에 기반이 되며, 가치 있는 삶의 체험을 통하여 봉사의 의미를 깨닫게 하고, 자신감과 잠재적인 지도력을 개발하여 사회성을 발달시킨다고 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사회성 발달을 목적으로 한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과정에서 청소년의 사회성 발달을 위한 자원봉사교육프로그램 틀을 제시하기 위하여 자원봉사활동 교육내용에 의사소통기술, 관계 형성 기술, 자기표현기술을 강조하고 있는 Peterson과 Stumbo의 '사회적 상호작용기술' 모델을 기초한 체계적인 자원봉사교육프로그램을 재발하고, 사회사업실천분야에서 활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본 프로그램은 서울시 소지역 사회복지관에 소속된 중고등학생 16명으로 구성된 청소년자원봉사단을 대상으로 2003년 3월 27일∼5월 1일까지 총 6회의 프로그램으로 진행되었다. 사회적 상호작용 기술을 제고하기 위해서 2인 1조를 한 조로 편성하고 재가 어르신들을 방문하는 경험과 조별활동을 활성화함으로써 사회성을 함양할 수 있는 기회를 갖도록 프로그램이 의도되었다. 본 프로그램은 자원봉사교육프로그램 개발원칙에 입각하여 '준비, 실행, 평가'의 단계로 구성되었다. 1회 프로그램은 준비단계로 성원들이 프로그램에 대한 이해, 지도자와 성원간의 관계형성, 자원봉사의 필요성에 대한 이해 및 봉사활동에 대한 동기 유발을 위해 진행되었다. 이 과정에서는 특히 관계형성기술을 집중적으로 함양한다. 2회는 준비단계로 청소년들이 봉사활동에 앞서 어르신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어르신체험활동을 조별로 실시한다. 이 과정을 통해서 청소년들로 하여금 어른신의 사정을 공감하고 대화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도록 하였다. 3회는 봉사활동 실행단계로 준비와 실행을 함께 하였다. 준비로는 자원봉사의 의미를 확인하는 작업의 집단활동과 재가 어르신 가정방문 시 주의할 점에 대한 숙지 및 어르신과 효과적인 관계형성을 위해 의사소통 훈련을 하였고 최종실행으로 재가 어르신 가정을 방문하도록 하였다. 특별히 이 단계에서 자기표현 기술을 함양, 인사하고 대화 시작하는 기술에 대한 통찰력 습득 관계형성 기술이 발달하였다. 4회는 프로그램 실행단계로 어르신과 대화를 나누는 과업을 통해 어르신들의 흥미, 욕구, 취미에 대해 파악하고 어르신과 성원과 합의하에 5회의 특별 여가프로그램을 계획하고 준비하도록 하였다. 이 과정을 통해서 청소년은 타인에 대한 관심과 염려를 표현할 기회가 주어지며, 그들이 협의하는 활동을 통해서 정보를 획득하고 교섭능력을 향상시키므로 적극적인 경청 기술을 익힐 수 있었다. 5회 프로그램은 실행단계로 순전히 청소년들의 주도로 이뤄지며 각 성원과 담당 어르신과 함께 계획한 여가 프로그램을 각 조별로 실행하도록 하였다. 이 과정은 특별히 청소년의 지도성을 함양할 수 있었다. 6회 프로그램은 평가단계로 활동에 대한 평가의 기회를 가짐으로써 집단성원들의 사회성 발달 정도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봉사 활동 동기를 강화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프로그램의 효과성 검증하기 위해 양적자료인 자율성, 지도성, 사교성, 봉사성 척도 점수는 단일사례설계를 통해 사전사후비교연구를 위해 SPSS/Win을 이용하여 두 점수간의 평균 차이를 검증하는 paired t-test를 사용하였다. 또한 성원들의 자기보고 형식으로 집단과정기록과 평가서 프로그램 내용과 구조를 평가하였다. 본 프로그램의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본 프로그램의 효과성 검증결과 본 프로그램을 통하여 성원들의 사회성 발달은 프로그램 실시 전 조사와 실시 후 조사에서 사회성의 하위영역인 자율성, 지도성, 사교성, 봉사성의 발달에 유의미한 증가로 나타났다. 2) 프로그램 내용과 구조평가를 통해 본 프로그램의 효과는 다음과 같다. 즉, 매회 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 느낌, 참여도, 유용성에 있어 동일한 양상으로 긍정적인 응답이 나왔으며 성원들이 자발적인 동기에서 봉사단에 참여하여 봉사활동의 준비, 실행, 평가의 과정을 통한 적극적인 사회적 상호작용 기술 활용은 지도성, 사교성, 봉사성이 발달하게 된 중요한 역할이라고 평가하였다. 프로그램의 구조 평가로 프로그램 참가인원수에 관한 질문에서는 성원 모두 (100%)가 적절하다고 하였으며 소요시간은 적당하나 횟수 면에서는 부족하다는 것이 일반적인 견해였다. 위의 연구결과와 같이 자원봉사활동이 청소년 사회성 발달의 효과에 대한 선행연구의 결과를 지지하면서 사회성 발달이라는 자원봉사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매개체로써 활용한 '사회적 상호작용 기술'모델의 효과를 입증하므로 효과적인 봉사활동을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위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사회성 발달을 위한 자원봉사교육내용의 구체화가 필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사회성 발달을 위한 매개체로써 '사회적 상호작용 기술' 모델을 활용한 다양한 교육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이 제기되며, 이와 관련된 후속연구도 필요하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ⅶ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 1 B. 연구목적 = 3 C. 용어 정의 = 3 D. 연구의 제한점 = 5 Ⅱ. 이론적 배경 = 7 A. 사회성 발달과 청소년 자원봉사활동 = 7 1. 사회성의 개념 = 7 2. 청소년과 사회성 발달 = 8 3. 사회성 발달 측정 도구 모형 = 11 4. 청소년자원봉사활동의 사회성 발달 효과에 관한 선행연구 = 16 B. 사회적 상호작용기술 모델을 기초로 한 프로그램 = 19 1. 사회적 상호작용 기술의 개념 = 19 2. 사회적 상호작용 기술과 사회성 발달과의 관계 = 21 3. 사회성 발달을 위한 청소년자원봉사교육 프로그램 모형 개발 = 23 Ⅲ. 사회성 발달을 위한 자원봉사교육프로그램계발 - 사회적 상호작용기술 모델을 중심으로 = 25 A. 청소년자원봉사 교육프로그램 개발 접근방식 = 25 1. 프로그램 개발원칙 = 25 2. 프로그램 개발 틀 = 25 B. 프로그램 개발 = 27 Ⅳ. 연구방법 = 35 A. 조사절차 = 35 B. 효과측정 평가도구 = 35 C. 조사분석방법 = 37 Ⅴ. 자원봉사교육프로그램 실시 = 39 A. 연구대상 = 39 B. 프로그램 실시개요 = 39 C. 프로그램 실시 과정 = 40 Ⅵ. 연구결과 및 분석 = 53 A. 프로그램 성원의 일반적인 사항 = 53 B. 자원봉사 교육프로그램에 대한 내용 및 구조평가 = 54 C. 프로그램 효과성 분석 = 61 1. 자율성 발달 = 61 2. 지도성 발달 = 62 3. 사교성 발달 = 64 4. 봉사성 발달 = 65 Ⅶ. 결론 및 제언 = 69 A. 결론 = 69 B. 제언 = 73 참고문헌 = 75 부록 = 81 ABSTRACT = 10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57626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dc.subject사회성-
dc.subject청소년자원봉사-
dc.subject교육프로그램-
dc.subject효과성-
dc.title사회성 발달을 위한 청소년자원봉사 교육프로그램개발 및 효과성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지역사회 저소득 재가어르신을 위한 봉사활동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Educational Program of Adolescent Voluntary Service for Enhancing Sociality : Focusing on the Voluntary Activities for the In-Home Old-
dc.format.pageix, 110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사회복지학과-
dc.date.awarded2003.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