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1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여혜영-
dc.creator여혜영-
dc.date.accessioned2016-08-25T06:08:48Z-
dc.date.available2016-08-25T06:08:48Z-
dc.date.issued2001-
dc.identifier.otherOAK-00000002974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177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9744-
dc.description.abstractThe existing collective class that different level of students study in same class with same text book had been conducted in Korea until the policy of encouraging class by student's level appeared in 1990s. Teachers have been prepared the data for instruction intended for students of average level and standardized class that has no regard for difference in student's scholarly attainments has been conducted, which resulted in widened gap in student's scholastic ability and finally made student to lose interest in class. Organization and operation of curriculum by student's level is at the core of 7th curriculum that was officially announced to resolve these problems in 1997. The purpose of curriculum by student's level is to encourage students to study in a speed right for him to prevent lack of progress in one's study and ultimately to provide each students with education that suits them. Curriculum by student's level can arrange the level of class for students of average level and provides supplementary lessons to inferior group and encourages superior group to participate in further course. But due to the downward leveling of text book, it's not difficult for us to find the case which every student is given further course. So this study was undertaken with an aim to find out the meaning of further course suggested in the 7th curriculum 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concept of further course in textbook and its meaning in teachers. The suggested following subjects for study are to know how the further course in textbook is being utilized in school. 1. What is the meaning of further course suggested in the 7th curriculum? 2. what is the meaning of further course in textbook? 3. What is the meaning of further course received by teacher? 4. How the further course suggested in textbook is being utilized in school? The power organized mathematically should be experienced with activity organizing from reality, learners then can integrate their learned mathematics and apply it to their reality. This is 'mathematising', which is the final aim to study and achieve mathematics. And Piaget insisted that more high mathematical concept is implemented by reflective abstraction made thru that features extracting from low level's activity or operation is reflected to high level's those one. To resolve these problems of study, we tried to understand the general meaning of further course based on the theory of Freudenthal and Piaget and analyzed the meaning of further course suggested in the 7th curriculum on the basis of it. Based upon above results, we analyzed the meaning of further course taken by textbook author analyzing textbook grounded in 7th curriculum. we also analyzed the meaning of further course taken by teacher conducting questionnaire survey and investigated how it is being utilized in school. Through the above analysis, we could reach following conclusions. First, the meaning of further course suggested in the 7th curriculum was found to be meant for application to practical life. This doesn't means simply suggesting problems using materials from actual life to students but this is about cultivating students' capacity of resolving problems in practical situation by utilizing concept, principle and rules that they've learned from school. Second, the further course in textbook usually means the subjects with high difficulty. Third, most teachers are also taking further course as a problem with high difficulty but we're not able to define it as one concept. But it was clear to us that teachers think that further course should includes high leveled questions of various types for the students with high scholarly attainments. Fourth, teachers are making good use of further course in textbook. Most of them answered that they also use further course for inferior group because the lots of questions included in further course is directly connected with practical life and its degree of difficulty is fairly low enough to apply them to inferior group. Finally here are my suggestions based upon above results from this study. First, we should figure out the meaning of education course in more detail on making textbook. If then, at least, it would be rare to be happened to be not actively utilized due to difference between the meaning of further course suggested to education course and its meaning in textbook. Second, teachers in school that would not execute the moving class by level should make teaching materials suitable for further course in a given class so that students can take the right further study.;1990년대에 들어와 수준별 수업 장려 정책이 등장하기 전까지 우리 나라 학교에서는 능력 차이가 많은 학생들이 똑같은 학교에서 똑같은 교과서에 따라 같은 진도를 나가는 일제식 수업을 하였다. 교사는 보통의 학생들의 수준에 맞추어 교수-학습 자료를 준비하고, 학생들간의 능력 차이를 고려하지 않은 채 획일적인 수준에 의한 수업을 실시하여 왔다. 그러다 보니 학생들의 능력 차이는 갈수록 벌어져만 갔고, 학생들의 수업에 대한 흥미 또한 사라져가게 되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1997년에 고시된 제 7차 교육 과정은 수준별 교육과정의 편성과 운영을 교육과정 개정의 핵심 내용으로 삼고 있다. 수준별 교육과정은 학생들이 자신에게 알맞은 속도로 학습을 하도록 함으로써 학습 부진의 누적을 예방하고 모든 학생에게 학습이 늘 적당한 수준에서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수준별 교육 과정을 시행함에 따라 수업 수준은 보통의 평범한 학생에 맞추고 그 수준보다 낮은 학생들에게는 보충 학습을, 수준이 더 높은 학생들에게는 심화 학습을 하도록 하고 있다. 하지만 교과서의 수준이 점점 하향 조정됨에 교과서의 심화 과정을 모든 학생들에게 가르치는 경우도 흔히 볼 수 있다고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제 7차 교육과정에 제시된 심화 과정의 의미는 무엇인지를 알아보고, 교과서에 나타난 심화 과정의 의미와 교사들이 생각하는 심화 과정의 의미와는 어떤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또 이런 교과서에 제시된 심화 과정은 학교 현장에서 어떻게 활용되고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제시하였다. 1. 제 7차 교육과정에 제시된 심화 과정의 의미는 무엇인가? 2. 교과서에 나타난 심화 과정의 의미는 무엇인가? 3. 교사들은 교과서의 심화 과정을 무엇이라고 생각하고 있는가? 4. 교과서에 제시된 심화 과정이 학교 현장에서는 과연 어떻게 활용되고 있는가? 수학적으로 조직하는 힘은 현실로부터 조직화하는 활동이 체험되어야 하고, 그래야만 학습자들은 자신이 배운 수학을 통합하고 자신만의 현실 속에 수학을 응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것이 '수학화'인데, 수학을 학습하여 달성하려고 하는 최종적인 목표가 바로 이것인 것이다. 또, Piaget는 낮은 수준에서의 행위 또는 조작으로부터 어떤 특성을 이끌어 내어 높은 수준의 행동 또는 조작에 반영함으로써 이루어지는 반영적 추상화에 의하여 더 높은 수학적 개념이 형성된다고 하였다. 따라서 위의 연구 문제를 해결하고자 본 연구에서는 Freudenthal과 Piaget의 이론을 바탕으로 하여 일반적인 심화 과정의 의미를 파악하여 그 의미들을 기준으로 하여 제 7차 교육과정에 제시된 심화 과정의 의미를 분석하고, 그 기준을 바탕으로 제 7차 교육과정에 근거한 교과서 분석을 통하여 교과서 저자들이 생각하는 심화 과정의 의미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전국 광역시 및 시 · 군의 중학교 1학년 수학 교사들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한 설문지 130부를 분석하여 교사들이 생각하는 심화 과정의 의미를 분석하고, 학교 현장에서 교과서에 제시된 심화 과정은 어떻게 활용되고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분석을 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제 7차 교육과정에 제시된 심화 과정은 실생활에 응용하는 내용의 문제가 대체로 많았다. 실생활에의 응용은 단순한 실생활의 소재만을 도입한 과제를 말하는 것이 아니라, 학습한 개념이나 원리, 법칙 등을 이용하여 실생활 상황에서의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임을 알 수 있었다. 둘째, 교과서에 나타난 심화 과정은 난이도가 높은 과제를 의미하는 것이 대부분이었다. 셋째, 교사들이 생각하는 심화 과정의 의미로는 난이도가 높은 문제가 가장 높은 비율로 나타났지만, 하나의 의미로 뚜렷하게 정의할 수는 없었다. 교사들은 성적이 우수한 학생들에게 제시되는 심화 과정에는 여러 가지 유형의 수준이 높은 문제들이 있어야 한다고 생각함을 알 수 있었다. 넷째, 교사들은 교과서 심화 과정을 대부분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과서 심화 과정의 문제가 실생활과 관련된 문제가 많고, 실제로 난이도가 높지 않아 하반에서도 활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수준별 이동 수업을 하는 경우에는 하반에서도 심화 과정을 활용한다는 응답이 많았다. 이런 결론을 바탕으로 하여 다음과 같은 제언을 내리고자 한다. 첫째, 교과서를 집필할 때 교육과정의 의미를 잘 파악하여야 하겠다. 이렇게 된다면 적어도 교육과정에 제시된 심화 과정의 의미와 교과서에 나타난 의미가 달라 활용이 잘 되지 않는 일은 없을 것이다. 둘째, 학생들에게 올바른 심화 학습을 시키기 위해서 수준별 이동 수업을 실시하지 않는 학교의 교사들은 주어진 수업 내에서 학생들의 심화 학습을 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야 하겠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ⅵ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 문제 = 4 C. 연구의 제한점 = 5 D. 용어의 정의 = 6 Ⅱ. 이론적 배경 = 8 A. 제 7차 교육과정에서의 수준별 수업과 심화 과정 = 8 B. Freudenthal과 심화 과정 = 10 1. Freudenthal의 수학화 = 11 2. Piaget와 심화 과정 = 23 C. 선행연구 고찰 = 27 D. 능력별 개별화 학습 모형 = 32 Ⅲ. 연구 방법 및 내용 = 39 A. 연구 방법 = 39 B. 연구 도구 = 39 C. 분석 대상 = 42 1. 교과서 분석 = 42 2. 설문지 분석 = 43 D. 분석 내용 및 방법 = 44 Ⅳ. 분석 결과 = 47 A. 심화 과정의 의미 분석 = 47 1. 제 7차 교육과정에서의 심화 과정의 의미 = 47 2. 교과서에 나타난 심화 과정의 의미 = 50 3. 교사들이 생각하는 제 7차 교육과정의 심화 과정의 의미 = 54 B. 교과서 심화 과정의 활용도에 관한 분석 = 65 Ⅴ. 결론 및 제언 = 67 참고문헌 = 71 부록 = 75 ABSTRACT = 7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79753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제 7차-
dc.subject교육과정-
dc.subject심화과정-
dc.subject수학교육-
dc.title제 7차 교육과정의 심화 과정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f further course suggested in the 7th curriculum-
dc.format.pageviii, 82 p. : 삽도.-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수학교육학과-
dc.date.awarded2002.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수학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