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4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도희-
dc.creator김도희-
dc.date.accessioned2016-08-25T06:08:47Z-
dc.date.available2016-08-25T06:08:47Z-
dc.date.issued2002-
dc.identifier.otherOAK-00000002685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177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6859-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서울 지역 임신부들의 영양 섭취 실태와 건강 위험 인자를 조사하고, 임신부의 영양 상태와 건강 위험인자가 임신 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실시되었다. 조사 대상자는 서울 소재 3개의 종합병원을 내원한 평균 연령 30.1±3.5세의 임신부 564명이었다. 조사 대상 임신부의 일반사항, 신체 계측치, 과거 임신 결과, 식습관 등은 설문지를 통하여 조사하였고, 영양소 섭취량은 반정량식품섭취빈도법(semiquantified food frequency questionnaire)을 이용하였으며, 임신 결과는 병원의 의료기록을 통해 조사하였다. 본 연구 대상 임신부의 에너지와 단백질 섭취량은 각각 2519.7±804.8kcal와 98.2±38.8g이었으며, 칼슘과 철분을 제외한 모든 영양소의 섭취량이 권장량을 상회하고 있었다. 신생아 Apgar score를 7점 미만과 7점 이상의 두 군으로 나누어 조사 대상 임신부의 영양소 섭취량을 비교한 결과, 5분에 측정한 Apgar score가 높은 군의 비타민 B_(2) 섭취량이 점수가 낮은 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본 조사 대상자의 신체 계측치가 임신 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신생아 출생 체중은 임신부의 신장(p<0.05), 임신 전 체중(p<0.001), 임신 중 총 체중 증가량(p<0.001)과 유의적인 양의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임신부의 임신 전 BMI는 임신 중 총 체중증가량과는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으며(p<0.01), 신생아 출생 체중과는 양의 상관관계가 나타났다(p<0.05). 본 연구에서 임신 전 BMI로 조사 대상자를 저체중군(<18.5), 정상체중군 (18.5∼22.9), 과체중군(≥23)으로 분류하여 과거 임신 결과를 비교한 결과, 저체중군의 자연 유산 경험이 정상체중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았다(OR 0.43, Cl 0.22∼0.82). 과체중군에서는 사산 경험(OR 4.21, Cl 1.19∼14.93), 저체중아 출산 경험(OR 6.24, Cl 1.03∼38.00)이 정상체중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과체중군은 재태기간도 유의적으로 짧았다(p<0.01). 또한 과체중군은 정상체중군보다 제왕절개수술 방법으로 분만하는 경우가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OR 1.80, Cl 1.13∼l,89), 과체중군의 반 이상인 52% 제왕절개수술 방법으로 분만하고 있었다. 흡연이 임신 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흡연군의 제왕절개수술 대응비가 비흡연군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OR 1.80, Cl 1.02∼3.17), 다른 임신결과에는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음주 경험이 있는 임신부가 출산한 신생아의 1분에서 측정한 Apgar score는 음주 경험이 없는 임신부보다 유의적으로 낮았다(p<0.05). 본 연구 결과 서울 지역 임신부는 영양상태가 비교적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과체중 ·저체중과 같은 부적절한 임신 전 BMI와 음주, 흡연 등과 같은 건강 위험 요인이 임신 결과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것이 나타났다. 따라서 유산, 사산, 낮은 Apgar 점수와 같이 좋지 않은 임신 결과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임신 전부터 체중관리를 하고, 술과 담배와 같은 건강 위험 요인들은 피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dentify effects of maternal nutritional status and risk factors on pregnancy outcome. The subjects were 564 pregnant women aged 30.1±3.5 years in Seoul from 2001 through 2002. General and obstetric characteristics, anthropometric measurements and eating habits were surveyed by trained interviewers. Nutrient intakes were collected using the method of semiquantified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Pregnancy outcome collected after delivery. The mean energy and protein intakes of pregnant women were 2519.7±804.8kcal and 98.2±38.8g, respectively. Mean intakes of all nutrients except calcium and iron exceeded 100% of RDA for pregnant women. And the positive association has been found between vitamin B_(2) intake and Apgar score at 5 minutes (p<0.05). Pregnant total weight gain was 14.4±4.4kg, which was showed normal weight gain. The mean birth weight of neonates was 3.25±0.46kg. Infant weight at birth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maternal height (p<0.05), pre-gravid weight(p<0.001), and total weight gain(p<0.001) of pregnant women. Maternal pre-gravid BMI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total weight gain(p<0.01), and pre-gravid BMI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infant birth weight(p<0.05). The subjects were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on pre-gravid BMI: low weight(pre-gravid BMI≤18.5), normal weight(18.5<pre-gravid BMI<23.0),over weight(pre-gravid BMI≥23.0). Maternal overweight was a higher risk of sitll birth(OR 4.21, CI 1.19∼14.93), low birth weight(OR 0.43, CI 0.22∼0.82) and cesarean deliveries(OR 1.80, CI 1.13∼1.89). Smoking and alcohol consumption during pregnancy were associated with adverse outcomes. Smoking experience was associated with increased risk of cesarean deliveries (OR 1.80, CI 1.02∼3.17). And alcohol consumption group showed lower Apgar scores at Imin than control (p<0.05).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s that nutritional status of pregnant women was adequate to support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the fetus. Pre-gravid counseling about reducing smoking or alcohol consumption, and optimizing maternal weight is needed to decrease adverse outcome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ⅰ Ⅰ. 서론 = 1 Ⅱ. 연구 대상 및 방법 = 5 A. 연구 대상자 및 기간 = 5 B. 조사 내용 및 방법 = 5 1. 설문지 조사 = 5 1) 일반 사항과 건강 위험 인자 = 6 2) 식이 섭취 조사 = 6 2. 신체 계측치 조사 = 7 3. 임신 결과 조사 = 7 C. 자료의 처리 및 분석 = 8 1. 자료의 분석 = 8 2. 통계 처리 = 9 Ⅲ. 연구 결과 = 10 A. 조사대상자의 특성 = 10 1. 일반사항 및 사회·경제적 실태 = 10 2. 신체 계측치 = 12 3. 과거 임신 결과 = 13 B. 영양 섭취 상태 = 15 1. 식습관 = 15 2. 영양소 섭취량 = 18 C. 건강 위험 요인 = 20 D. 임신 결과 = 24 E. 임신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27 1. 영양소 섭취량 = 27 1) 과거 임신 결과 = 27 2) 현재 임신 결과 = 30 2. 건강 위험 요인 = 35 1) 신체 계측치 = 35 2) 임신 전 BMI = 36 (1) 과거 임신 결과 = 37 (2) 현재 임신 결과 = 39 3) 흡연 = 42 (1) 과거 임신 결과 = 42 (2) 현재 임신 결과 = 44 4) 음주 = 46 (1) 과거 임신 결과 = 46 (2) 현재 임신 결과 = 48 5) 입덧 = 50 (1) 과거 임신 결과 = 50 (2) 현재 임신 결과 = 51 Ⅳ. 고찰 = 53 Ⅴ. 요약 및 결론 = 59 참고문헌 = 61 임신여성의 영양개선과 건강증진을 위한 연구 = 68 Abstract = 7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63553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임신부-
dc.subject영양섭취상태-
dc.subject건강위험요인-
dc.subject임신 결과-
dc.title임신부의 영양섭취상태 및 건강위험요인이 임신 결과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Effect of Maternal Nutritional Status and Risk Factors on Pregnancy Outcome-
dc.format.pagevi, 80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식품영양학과-
dc.date.awarded2003.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식품영양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