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71 Download: 0

한국어 단모음 습득에 대한 실험음성학적 연구

Title
한국어 단모음 습득에 대한 실험음성학적 연구
Other Titles
An Experimental Study of Korean Simple Vowel Acquisition Focused on Japanese Learners
Authors
권성미
Issue Date
2007
Department/Major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bstract
본 연구는 일본어 화자를 대상으로 L1인 일본어와 L2인 한국어 모음의 음성적 유사성이 한국어 모음의 음성 습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와 유사성의 정도에 따라 학습 기간과 부가적인 경험 기간이 L2인 한국어 모음을 습득하는 데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삼았다. 본 연구에서는 각 장에서 다음과 같은 연구가 행해졌다. 먼저 Ⅰ장에서는 연구의 목적을 제시하고 선행 연구 검토를 통해 연구의 필요성을 밝혔고, Ⅱ장에서는 L2 음성 습득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과 모음의 실험음성학적 연구에 바탕이 되는 이론적 배경에 대해 살펴봄으로써 실험 방법의 토대를 확보하고 실험 결과를 분석할 기준을 마련하였다. Ⅲ장에서는 일본인 16명과 한국인 16명을 대상으로 한국어 단모음 /i/, /e/, /a/, /□/, /u/, /o/, /Λ/ 와 일본어의 단모음 /i/, /e/, /a/, /щ/, /o/의 음성 산출 실험이 행해졌다. 그리고 실험 결과를 통해 한국어 단모음과 일본어 단모음 간의 조음음성학적 특징 및 음향음성학적 특징을 대조․분석함으로써 두 언어의 모음 간의 유사성의 정도를 분석하였다. Ⅳ장에서는 일본인 초급 학습자, 고급 학습자, 부가적인 경험 기간이 긴 경험자 집단을 대상으로 한국어 모음에 대한 음성 산출 실험과 음성 청취 실험이 행해졌다. 마지막으로 Ⅴ장에서는 연구의 결론과 논의점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한국어 모음과 일본어 모음 간의 유사성의 정도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IPA 기호를 공유하는 모음이 일본어에 존재하는 한국어의 /i/와 /e/의 경우, F1과 F2 수치에 있어서도 대응 모음 간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F1과 F2의 분포도 상에서도 대응하는 모음의 대부분이 서로 겹쳐지게 나타나 일본어 /i/, /e/와 음성적으로 동일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한국어의 /a/, /□/, /o/의 경우는 그에 대응하는 일본어 모음 /a/, /щ/, /o/와 F1이나 F2의 수치에 있어서 부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지만, 분포도 상에서 세 모음은 각각 대응모음에 거의 전 영역이 겹쳐져 나타나, 한국어 /a/, /□/, /o/는 일본어 모음과 유사성의 정도가 높은 모음으로 간주되었다. 한국어 /u/는 그에 대응하는 일본어 모음인 일본어의 /щ/와 F1값과 F2값 모두에 있어서 뚜렷한 차이가 있고, 분포도 상에서 두 모음이 서로 반 정도가 겹쳐져 겹쳐지는 영역이 유사성의 정도가 높은 모음에 비해 현저하게 좁게 나타났다. 이에 한국어의 /u/는 일본어에 어느 정도 유사성을 가지고 있는 일본어 모음 /щ/가 존재하므로 유사성의 정도가 보통인 모음으로 분석되었다. 한국어 /Λ/의 경우, 일본어 모음 목록에 한국어 /Λ/와 IPA 기호를 공유하는 모음이 존재하지 않고, 또한 F1 값과 F2 값에 있어서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은 일본어 모음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일본어 모음과 유사성이 낮은 모음으로 분류되었다. 유사성의 정도에 따른 일본인 화자의 한국어 모음의 음성 습득 양상에 대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먼저 음성 산출 실험 결과에 따르면, 한국어 /i/, /e/는 일본어 /i/, /e/와 조음 위치에 차이가 거의 없어, 일본인 화자들은 한국어 /i/, /e/를 발음할 때 L1인 일본어의 /i/, /e/의 조음 방식을 그대로 전이시킨 결과, 성공적으로 한국인과 같은 /i/, /e/를 발음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L1의 조음 방식과 L2의 조음 방식에 차이가 거의 없는 경우, L1의 조음 방식을 전이시키는 것만으로도 긍정적 전이가 발생해, L2화자와 같은 정확한 발음이 가능하기 때문에 습득의 난이도가 낮은 것으로 간주되었다. 또한, 학습 초기부터 한국인과 같은 발음이 가능하므로 정확한 발음을 습득하기 위한 향상의 여지가 적으므로 학습 기간이나 경험 기간이 변수로 작용할 수 없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일본어와 유사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난 한국어 /a/, /□/, /o/의 경우에는 일본인들의 한국어 /a/는 혀의 높낮이(개구도)에 있어서, /o/와 /□/는 혀의 전후위치에 있어서 향상의 여지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a/와 /□/, /o/ 모두 학습 기간이나 경험 기간에 관계없이 L1으로부터의 전이가 그대로 일어나며, 그 결과 한국인과 같은 발음은 습득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습 기간이나 경험 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발달되는 모습을 보이지 않았다. 유사성의 정도가 보통인 /u/의 경우에는 일본인들은 혀의 높낮이나 전후 위치에 있어서 /u/를 한국인과 같이 발음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학습 기간이 /u/의 습득에 변수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혀의 높낮이에서와 같이 현저한 발달양상이 관찰되지는 않았지만 원순성과 관련이 있는 혀의 전후 위치에 있어서도 L1인 일본어의 /щ/로부터의 전이 여부를 비교한 결과, 초․고급학습자들은 /щ/로부터의 전이가 일어나는 반면에 경험자에서는 더 이상 전이가 일어나지 않는다는 점에서, 경험기간이 길어짐에 따른 혀의 전후 위치(원순성)에 대한 습득 가능성이 엿보였다. /Λ/의 경우 일본인들은 /Λ/를 혀의 높낮이나 전후 위치에 있어서 한국인과 같이 발음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습 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혀의 높낮이와 혀의 전후 위치 모두에 있어서 정확성이 현저하게 향상되어, 일본인이 한국어 /Λ/를 습득하는 데에 학습 기간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됐다. 하지만, 학습 기간이 완료된 후 부가적인 경험은 습득에 큰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일본인이 발음한 한국어모음에 대한 한국인의 음성 청취 결과, 산출 실험의 결과와 유사하게 일본인이 한국어 모음 습득 시, 유사성의 정도가 높을수록 학습 기간과 경험 기간이 습득에 영향력을 미칠 확률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산출실험의 결과와 달리 유사성의 정도가 낮은 경우, 학습 기간과 경험 기간이 모두 습득에 변수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일본인들의 한국어 모음에 대한 음성 산출 실험 결과와 음성청취 실험 결과를 바탕으로 습득 순서, 습득 속도, 궁극적 성공도 측면에서 L1-L2 유사성에 따른 한국어 모음 습득 양상에 대해 논하자면 다음과 같다. 첫째, L1과 L2 간의 유사성이 높을수록 먼저 습득이 된다. 일본어와 음성적으로 동일한 /i, e/의 경우에 학습 단계의 아주 초기에 한국인과 같은 정확한 발음이 습득되었고, 유사성이 높은 편인 /a, □, o/의 경우에도 학습 초기에 경험자와 같은 수준의 정확성을 보였다. 둘째, 유사성이 낮을수록 습득 속도가 빠르다. 즉, 유사성이 낮을수록 학습 기간이나 경험 기간이 변수로 작용할 가능성이 높다. 다른 모음들에 비해 유사성이 낮은 편인 /Λ/와 /u/의 경우에 경험 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현저하게 향상되는 모습을 보였으며, 상대적으로 이들보다 유사성이 높은 모음들의 경우는 경험 기간의 길이가 습득의 변수로 작용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습득 순서나 습득 속도는 주로 유사성의 정도와 단선적인 관계에 있는 데 반해 궁극적 성공도(ultimate competence)는 유사성의 정도뿐만 아니라 유표성 및 차이의 유형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추측된다. 유사성이 높을 때 성공도가 높을 가능성이 크기는 하지만, 그 이외의 경우는 유사성으로 성공 가능성이 가장 낮은 것은 유사성이 가장 낮은 /Λ/가 아니라 그보다 상대적으로 유사성이 더 높은 /u/로 나타났다. /u/가 성공적으로 습득하기 가장 어려운 음으로 나타난 것은 차이의 유형에 따른 난이도에서 난이도 1등급에 해당하는 ‘분열(split)’의 경우에 해당하기 때문인 것으로 해석되었다. 또한 유사성이 아주 낮은 모음인 /Λ/의 경우 습득 속도가 빠름에도 불구하고 유표성이 높아 습득 속도가 늦춰져 궁극적으로 목표어 화자와 같은 발음 능력을 획득하지 못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따라서 습득 순서나 습득 속도에 있어서 유사성이 발음 습득 시 난점을 예측하기 용이한 판단 기준이 되는 것으로 여겨지지만, 궁극적인 성공도에 있어서는 유사성의 정도와 유표성, 차이의 종류 등의 변인도 함께 고려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This study aims at investigating the phonetic similarity of Korean and Japanese vowels, and examining the influence of the similarity and the Length Of Learning (LOL) or Length Of Residence (LOR) on Japanese learners' acquisition of Korean phones. For this purpose, the speech of 16 Japanese speakers for Japanese speech data, and the speech of 16 Korean speakers, 16 beginning Japanese learners of Korean, 16 advanced Japanese learners of Korean, and 16 experienced Japanese speakers of Korean for Korean speech data were utilized. The first chapter of this study is dedicated to expressing the overall goals of the study and to a review of the literature. In the second chapter, the different variables that impact on learning L2 phones are explored, and the theoretical basis is established by analyzing the acoustic features of vowels and by reviewing the methodology of the experimental research of phonetics. The third chapter explores the degree of similarity between Korean and Japanese vowels in terms of acoustic features by performing the speech production test on Korean speakers and Japanese speakers. In the fourth chapter, in order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the similarity and LOL or LOR on L2 phone acquisition, the speech production of Korean vowels produced by Koreans (Ks), Beginning Japanese learners of Korean (BJs), Advanced Japanese learners of Korean (AJs), and Experienced Japanese speakers of Korean (EJs) is investigated in terms of production and perception. The fifth chapter provides the conclusions and implications of the study. The findings in assessing the degree of the similarity of the Korean and Japanese vowels are as follows: First, Korean /i/ and /e/ turned out to display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erms of F1 and F2 with their counterparts, Japanese /i/ and /e/, and the distribution of F1 and F2 of Korean /i/ and /e/ completely overlapped with Japanese /i/ and /e/. Accordingly, Korean /i/ and /e/ were believed to "identical." Second, Korean /a/, /o/, and /□/ display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either F1 or F2, but showed a great similarity in distribution of F1 and F2 with Japanese /a/, /o/, and /щ/ respectively. Korean /a/, /o/, and /□/, therefore, were categorized as very similar to Japanese vowels. Third, Korean /u/, which has the counterpart /щ/ in Japanese,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both F1 and F2, and only half of the distribution overlapped. Thus, Korean /u/ was analyzed as being a moderately similar vowel to Japanese vowels. Fourth, Korean /Λ/ did not have a close counterpart in Japanese, and was classified as "the least similar vowel." The major findings regarding Japanese learners' acquisition of Korean depending on the level of similarity and the LOL or LOR are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speech production test, Japanese speakers successfully pronounce like Korean speakers in accuracy by transferring the way they articulate Japanese /i/ and /e/ into producing Korean /i/ and /e/, since Korean /i/ and /e/ are almost identical to Japanese /i/ and /e/ in terms of acoustic features. It seemed the positive transfer took place when L1 and L2 were identical, and there was no room to improve, and length of learning and that of residence had no influence. In the case of Korean /a/, /o/, and /□/, which presented a high similarity with their counterparts, Japanese /a/, /o/, and /щ/, respectively, Japanese speakers seemed to fail in acquiring the authentic pronunciation, since they transferred Japanese articulation to Korean even though they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either in F1 or F2. The length of residence, however, did not seem to influence the production accuracy of Korean /a/, /o/, and /□/. Korean /u/, which showed a moderate similarity, also was not acquired by Japanese speakers in terms of the height and frontness. The length of learning influenced the acquisition of authentic pronunciation, but distinct improvement through additional experience was not observed. In the case of Korean /Λ/, Japanese speakers did produce authentic /Λ/ in terms of the height and frontness of tongue. The length of learning seemed to influence acquisition in the beginning, but a noticeable improvement in the long run was not observed with the additional experiencing after completing formal learning. The acquisition of Korean vowels by Japanese speakers in terms of the sequence of acquisition, learning speed, and ultimate attainment, on the basis of the results of the speech production test and the speech perception test, was analyzed as follows: First, the higher the similarity between L1 and L2 was, the earlier the vowels were acquired. Korean /i and e/, which were phonetically identical to their Japanese counterparts, were acquired in the very early stage of learning, while Korean /a, o, and □/, which showed a high similarity, displayed the same level of accuracy among Japanese speakers regardless of long additional experience. Second, the lower the similarity was, the more accelerated the learning process was. Namely, the lower the similarity was, the higher the possibility that the length of learning or that of residence acted as a variable. Korean /Λ/ and /u/, which showed a lower similarity compared to the other vowels, improved depending on the length of learning, while the more similar vowels were not influenced by the length of learning or that of residence. Third, ultimate competence had a complex relationship not only with the similarity but also with markedness or the types of interlingual differences, while the sequence of acquisition and learning speed had a linear relationship with the degree of similarity. Authentic pronunciation was likely to be attained when the vowels were very similar, especially from a phonological perspective. It was not the Korean /Λ/, which was least similar to Japanese vowels, but the /u/, which showed a higher similarity than /Λ/, that turned out to be the hardest for which to acquire native-like accuracy. The fact that Korean /u/ was the hardest vowel to acquire seems to be related to the fact that Korean /u/ corresponds to the "split," which was the highest level in the hierarchy of difficulty. In addition, /Λ/, which was least similar, did not reach a native-like level of accuracy, since the learning was slowed down gradually due to the markedness even if the initial learning speed was fast. In conclusion, the hypothesis of SLM seemed to be partially compatible, since the similarity played a great role in terms of the sequence of acquisition and learning speed as SLM maintains. Not only the degree of similarity, however, but the types of differences and the markedness should be considered in terms of the ultimate attainment to predict the difficulty of L2 phone acquisition, while SLM theorized the difficulty was derived primarily from the interlingual similarit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국문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