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7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홍인숙-
dc.creator홍인숙-
dc.date.accessioned2016-08-25T06:08:46Z-
dc.date.available2016-08-25T06:08:46Z-
dc.date.issued2007-
dc.identifier.otherOAK-00000002828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175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8284-
dc.description.abstractThis study is to investigate modern experiences and writings of women as well as discourse on women living in the enlightenment era of modern Korea, from 1896 to 1910, after affirming on national relationships with other countries. On the assumption that ‘Modern girls/New women’ of modern period 1920s~1930s were influenced by women of the previous modern enlightenment time of 1890s~1910s, in terms of modern illumination and subjectification, I look upon ‘the existence of women themselves and contemporary discourse on women in modern enlightenment period’ as the prior history of Modern girls in the research. It is a discourse analysis, in other words, that explores representations on and identities of women and the process of becoming modern subjects in the enlightenment period before that of emerging Modern girls. I also carry out researches on ‘Old/Traditional Women’ since discourse regarding women translated into political realm illuminatinginterests of hegemonies and was representative of defining modernity in that period. Westernization or civilization outside of Chosun had been made for 20 years in the enlightenment era after adopting opening policy to foreign countries in the early 1870s. It is a undeniably significantmoment of shifting ideas about foreign countries, now that Chosun opened its eyes not merely for recognizing the ‘Others’ as ‘counterparts living together’ not just ‘monsters’, ‘barbarians’ elsewhere but for even Chosun never standing alone independently. It can be interpreted in the way that Chosun realized the impending crisis of the country having already unwittingly placed into the most inferior position, upon recognizing, superficially, power relations among countries as well as existence of imperialist powers and at the same time it was accompanied with finding ‘nation’ of modern homogeneity inside of Chosun. I refer to women’s discoursein literature created at that time, subdividing into three parts by writers’ social status and media categories:texts written by orthodox scholars in the study of Chinese classics, prose and journals concerning women, and magazines targeting at women. The research questions on the process of formulating the concept and existence of‘modern women’, seeing the modern enlightenment period with a complicate mixture of two epistemological paradigms, i.e., existing traditional knowledge versus imperialism. To search for the first departure of women’s discourse available, to be more specific, the chapter II draws a map of women’s issues in the first half of Chosunage, and illustrates characteristics of literacy intellects as well as the domain of epistemology in the modern enlightenment era. In chapter III, although Confucian scholars insistently kept to both Confucianknowledge and value system, and the formality of the study of Chinese classics, they seemed to catch some dim signs of change in the contemporary women. It can be proven, verbally or nonverbally, by their aggressive criticism, which showed ‘the synchronous coexistence of modern and non-modern’i.e., the ambivalent phenomenon of ‘the coexistence of the remnants from the old age and the newly emerging ones’. I reviewed articles on Women’s Sexuality and its customs from newspaper, journals, and magazines taking up a large part of in the modern enlightenment age, in chapter IV. They argue the necessity of reifying such old practices of marriage and sex as a purchasing marriage,an early marriage, or a bigamous marriage (chuchupje), and moreover the legitimacy of managing women’s sexuality thoroughly and leading it to the desirable changes. However it was not until the discourse was built that ‘women’ the modernized beingscould be defined as independent beings not just laborers devoting themselves to family system. I put an emphasis on the phenomenon that women were considered as ‘objectified objects deprive of voice’, ‘being double-standarded’, and ‘the publicly visualized’ to some extent in the enlightenment theories including abolishment of old marriage custom, an excessive logic for reward and punishment or for official outfit change. In the following chapter V, I focus on how women’s issues in education were dealt with among the Korean Progressive intellects, such as Yu Gil-Jun or Seo Jae-Phil, having ever been to study in Japan or the west in 1880s. Indeed, they took the initiative in appealing to the Chosun public for the need of innovative modern education system and institutions for women. Nevertheless, the consequences of educating women would have to be either in favor of family-the smallest unit of nation, or never changing nor threatening the traditional gender roles or value system. The statement thateducation for women is ‘the most fundamental basis’ seems to reveal the importance of women’seducation on the surface, rather having deliberate intention to delay in putting the idea into actions as well as overlooking the reality of women. The campaign for building girls’ schools had taken place twice, followed by women’s representation in the public sector - female students, teachers, and school founders. The early female students, enthusiastically participating in social activities, were described as lavish, arrogant, and obscene beyond the border ofsexual restriction, all of which were ‘deliberate misinterpretation’ produced by the theories of male-oriented hegemony. Finally, I bring to a focus the characteristics of women’s writing from the media in the modern enlightenment era in the chapter VI. The female writers, contrary tothe traditional prejudice that, by and large, women’s writing would be bigoted and emotional’, created rational types of writing with formal subjectsas well as social issues sensitive the most at that time. They wrote over 60 newspaper articles in 1907 to 1908 and then writings of women could be more flourishing right after foundation of women’s magazine led by female editors and writers in 1908. From the fact that early modern women’s writings took a type of ‘formal essay’, it can be inferred that the women writers strived to challengeconventional oppression on women’s language and furthermore broke new ground for women themselves in the logical and rational public discourse-having used to be exclusively available for men. The phenomenonalso implies that what strategies women took to acquire modern national membershipsor to become modern subjects from the identity of modern women. In addition, it was women’s considerable contribution to National Debt Repayment Movement in 1907 that must have been the action to pay ‘costs’ for stepping into becoming a legitimate member of the nation. From the discourse on traditional women in the modern enlightenment period. It can be drawn an inference to what extent modernity made an impact on women’s life the emerging age of modernity in Chosun traditional women were recognized as ‘women’ no more as ‘bunyu [woman belonging to a family]’ for the first time and to liberate from the traditional and influential gender morals imposed on women, they were changing themselves into ‘modern women’, along with the experiences of conflicts, resistance, or negotiation. In conclusion, the study of women’s discourse in the modern enlightenment era would make up for the previous researches heavily converged on modern women and disclose the hidden side of various lives of the ‘old/traditional women’.;이 연구는 개항 이후 1896년~1910년까지의 근대계몽기를 대상으로, 그 시대를 살았던 여성들을 둘러싼 당대의 담론 및 여성들의 근대 경험과 글쓰기를 분석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즉 이 연구는 ‘1920~1930년대 신여성’이 그 앞 시기인 ‘근대계몽기 여성’들의 근대적 자각과 주체화의 맥락 속에서 형성된 것이라는 전제 하에, ‘신여성의 전사(前史)’로서의 ‘근대계몽기 여성’의 존재와 당대의 여성 담론을 살펴보려는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신여성 등장 이전 근대계몽기 여성’들의 재현과 정체성, 근대 주체로서의 형성 과정에 대한 연구이며, 이들을 둘러싼 담론 연구의 성격을 가진다. 본 연구에서 근대계몽기의 여성 담론을 연구대상으로 삼는 이유는 여성을 둘러싼 담론은 당대의 지배담론들 간의 이해 관계를 반영하는 정치적인 장이자 근대성을 규정하는 상징적인 논쟁의 장이기 때문이다. 외부의 문물이 처음으로 조선에 들어온 1870년대의 개항 초기 이후 20여 년이 지난 근대계몽기라는 시기는 조선이 조선 외부의 ‘타자’를 더 이상 怪物, 또는 外夷로서가 아니라 비로소 현실적으로 ‘공존하는 존재’로 인지하고 그들과의 관계 속에 조선이 존재하고 있음을 깨달은 시기였다. 즉 근대계몽기는 외적인 면에서 조선이 제국주의적 열강의 존재와 세계 질서의 권력 구도를 깨닫는 동시에 조선도 그 속에 최하위 서열로 이미 등재되었다는 사실을 깨달은 시기였다. 동시에 내적인 면에서 근대계몽기는 조선의 내부에서 ‘민족’이라는 근대적 동질성을 발견한 시기이기도 했다. 주요한 대상 자료는 이 시대 문학 생산물 가운데 여성 담론을 살펴볼 수 있는 자료를 생산층과 매체의 종류에 따라 세 영역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세 영역의 자료는 각각 첫째, 정통 한문학 작가들의 텍스트, 둘째, 신문 및 학회지에 나타난 여성 관련 자료, 셋째, 여성 잡지군으로 크게 나누어 살펴보았다. 연구의 기본적인 문제 설정은 근대계몽기를 전통적 지식과 새로운 서구문명과 제국주의라는 인식론적 장의 구도에서 바라보면서 이 시기 ‘근대 여성’이라는 존재는 과연 어떻게 형성되고 있었는지를 살펴보고자 하는 것이었다. 각 장별로 진행된 논의의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Ⅱ장에서는 조선 시대 전반의 여성 담론을 정리하고, 근대계몽기 지식인들의 동향과 인식론의 배치를 살펴보면서 어떻게 근대적인 여성 담론이 처음으로 대두되고 있었는지 전반적인 지형도를 그려보았다. Ⅲ장은 이 시기까지 활발하게 간행되고 있었던 유교 지식인들의 여성 담론을 분석하였다. 근대계몽기의 유교 지식인들은 유교적 지식 체계와 가치관, 정통 한문학의 형식을 강하게 고수했지만, 그 속에서도 당대 여성들의 변화는 희미하게 감지되고 있었다. 여성들의 변화에 대한 유교 지식인들의 논평과 반응은 언표적이든 비언표적이든 나름대로 격렬한 대응의 방식을 보여주고 있었다. 이러한 전통적 유교 지식인들의 여성 담론은 이 시기 ‘근대와 비근대의 공존’의 측면을 현저히 부각시켜 주는 것이며, 구세대 문화생산물 속에 어떻게 ‘잔여적인 것과 부상하는 것’이 공존하는가를 보여주는 흥미로운 실례라고 해석하였다. Ⅳ장에서는 근대계몽기 신문 및 학회지, 잡지의 기사에서 많은 분량을 차지하는 여성의 섹슈얼리티와 풍속에 관계된 글들을 살펴보았다. 매매혼, 조혼, 처첩제 등 조선의 구식 혼인 습속 및 전래의 성 풍속의 개량과 함께 이 시기의 주요한 성 담론에서 여성 섹슈얼리티는 올바른 방향으로 계몽, 계도되어야 하며 철저한 관리의 대상이 되어야 한다는 맥락으로 그려지고 있었다. 그러나 조선의 근대 초 이러한 담론 속에서 ‘여성’이라는 근대적 존재는 비로소 가족 제도 내에서의 역할로서가 아니라 독자적인 존재로 처음 발견되고 있었다. 그러한 양상을 각기 혼인 폐습의 고발론, 극단화된 상벌론, 의복 개량론 등의 전통적인 습속의 개조 담론에서 여성이 ‘목소리가 없는 물화된 대상’이자 ‘이분화된 여성상’이자 ‘가시화된 공적 존재’로 드러나고 있음을 살펴보았다. Ⅴ장에서는 이 시기 여성 교육에 관한 담론들이 개화한 계몽 지식인들을 중심으로 어떻게 전개되고 있었는지를 살펴보았다. 여성들을 위한 근대적인 교육기관이 필요하다는 조선인 내부의 자각은 1880년대 일본 및 서구유학을 다녀온 유길준, 서재필 등의 개화파 인사들에게서 시작되었다. 그러나 이들에게 여성의 지식 획득의 결과는 민족을 구성하는 최소 단위인 가족을 공고히 하는 것이어야 했고 전래의 성 역할 구도에 변화를 가져오거나 위협적이지 않은 것이어야 했다. 여성교육을 ‘근본의 근본’이 된다고 하는 언술 역시 표면적으로 중요성을 언급하는 듯하지만, 사안의 시급성이나 현실성을 탈각시키고 현실화의 우선순위를 뒤로 미루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고 보았다. 두 차례에 걸친 여학교 설립 운동은 여학생, 여교사, 여성 설립자와 같은 여성들의 공적 재현으로 이어졌다. 초기 여학생의 재현에서 보이던 활달하고 적극적인 사회 참여적 이미지는 사치 풍조와 거만함, 섹슈얼리티의 경계 등으로 변질되었는데 이는 여학생을 바라보는 남성 지배담론의 ‘의도적 오독’이었음을 살펴보았다. Ⅵ장에서는 근대계몽기 매체에 실린 여성들의 글쓰기의 양상과 특징을 살펴보았다. 이 시기 여성들은 ‘여성의 글은 편협하고 감상적이다’라는 전통적인 편견과는 정반대로, 당대의 가장 민감한 사회적 이슈와 공적인 주제를 이성적인 형식으로 쓴 글을 남기고 있었다. 신문에 실린 60여 편의 여성 글쓰기는 1907년과 1908년 두 해에 가장 집중되었으며, 1908년에는 여성이 편집과 필진에 두루 관여하는 여성잡지의 창간으로 여성 글쓰기가 더욱 활성화되는 모습을 보였다. 근대 초 여성들의 글이 ‘논설’이라는 양식으로 나타난 것은 전통적인 여성의 말에 대한 금제를 넘어서서, 남성들만의 영역이었던 논리적이고 이성적인 공적 담론 공간에 여성들이 자신의 영역을 개척하기 시작했다는 의의를 가진다고 해석하였다. 이 시기 여성들의 글쓰기는 또한 그들이 어떠한 협상과 전략을 가지고 근대적인 국민 구성원으로, 또는 근대 여성이라는 정체성을 가진 주체로 형성되고 있는지를 보여주고 있었다. 특히 1907년 국채보상운동 당시 이루어진 여성들의 수많은 기부는 민족 국가의 성원으로 진입하기 위한 ‘비용’의 의미라고 해석하였다. 근대계몽기 구여성 담론은 조선에서 근대성이 형성되던 초기, 여성들의 삶에 근대라는 것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기 시작했는지를 보여주는 의의가 있다. 이 시기 구여성들은 ‘婦女’가 아니라 최초로 ‘여성’으로 발견되고 있었으며, 그때까지 강력한 지배력을 행사하고 있던 전통적인 여성 윤리의 자장에서 벗어나기 위해 협상과 거부와 갈등의 과정을 거치면서 ‘근대적 여성’으로 형성되고 있었다. 이러한 근대계몽기 여성담론 연구는 연구사의 맥락에서는 1920~30년대 신여성 연구에 치우쳤던 근대 여성 연구의 앞 시기를 보완하는 의미를 가지며, 단일하게 ‘구여성’으로 치부되었던 여성들에게도 근대 형성기의 다양한 삶과 역사가 있음을 보여주는 의미가 있다고 생각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A. 연구 목적 및 필요성 = 1 B. 연구사 검토 및 정리 = 10 C. 대상 자료의 기준과 범위 = 17 Ⅱ. 조선시대 여성 담론의 양상과 근대적 여성 담론의 대두 = 36 A. 조선시대 여성 담론 = 36 B. 근대계몽기 인식론의 배치와 당대 지식인의 의식 동향 = 44 C. 담론장의 생성과 근대적 여성 담론의 대두 = 53 Ⅲ. 근대계몽기 유교 지식인들의 여성 담론 = 56 A. 교육과 근대적 주체화 : 여성의 국민화를 매개하는 '국민 양성자'로서의 모성 = 56 B. 위기의식으로서의 내외법과 烈의 강조 : 여성분리적 윤리의 강조와 '鄕愁'의 대상으로서의 여성 = 66 C. 열행 관습의 비판과 개가론의 대두 = 73 Ⅳ. 근대계몽기 성 풍속의 개조와 ‘여성’의 발견 = 79 A. 혼인 폐습의 고발론 - 물화된 대상으로서의 여성 = 79 B. 극단화된 상벌론 - 범죄자와 표창자로서의 여성 = 88 C. 의복 개량론 - 가시화된 공적 존재로서의 여성 = 94 Ⅴ. 근대계몽기 여성 계몽과 교육 운동 = 102 A. 여성 교육의 명분, ‘국가 현모’ 만들기 = 102 B. 여학교 설립 운동의 진행과 경과 = 110 C. 근대 최초의 공적 존재로서의 여성 재현 - 여학생, 여교사, 여성 설립자 = 124 Ⅵ. 근대계몽기 여성 글쓰기와 여성 주체 형성 = 141 A. 여성 논설의 양상과 공적 주제에 대한 열정 = 141 1. 근대계몽기 여성 글쓰기의 양상 = 141 2. 여성 글쓰기의 ‘논설’ 편향과 공적 열정 = 147 B. 근대 여성주체 형성 과정에서의 협상과 전략 = 158 1. ‘국민 되기’ - 국가적 위기 상황에서의 자발적 협조 = 158 2. ‘여성 되기’ - 봉건적 성별 질서에 대한 거부와 갈등 = 163 Ⅶ. 근대계몽기 여성 담론의 특징과 의의 = 170 Ⅷ. 결론 = 174 참고문헌 = 181 Abstract = 18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70129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495-
dc.title근대계몽기 女性談論 硏究-
dc.typeDoctoral Thesis-
dc.title.translatedA Discourse Analysis of Women in the Enlightenment Era of Modern Korea-
dc.creator.othernameHong, In-Sook-
dc.format.pageⅷ, 192 p.-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국어국문학과-
dc.date.awarded2007.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국문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