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7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조남민-
dc.creator조남민-
dc.date.accessioned2016-08-25T06:08:46Z-
dc.date.available2016-08-25T06:08:46Z-
dc.date.issued2007-
dc.identifier.otherOAK-00000002770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175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7700-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어중 자음군의 폐쇄지속시간이 한국어 모어 화자와 한국어 학습자의 인지에 있어서 중요한 차이가 난다는 사실과 더불어 폐쇄지속성의 변화가 종성의 인지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이 언어권 별로 달리 나타남을 실험음성학적으로 증명하고자 하는 데 목적이 있다. 더 나아가 한국어 학습자의 원활한 의사소통을 위하여 이에 대한 학습의 필요성이 있음을 밝히고자 하는 데 이차적 목적이 있다고 하겠다. 따라서 본고는 한국어 모어 화자와 한국어 학습자가 한국어의 어중 자음군 폐쇄지속시간을 인지하고 발화하는 데 있어서 차이가 남을 실험음성학적으로 증명하며 그 차이의 원인에 대한 분석을 실행하고, 더 나아가 각 언어권마다의 중간언어적 특징을 밝히고자 한다. 본 연구의 시작은 모어의 습득과 성인 학습자에 의한 제2언어의 습득에 있어서 특히 음운론적으로 모국어와 같은 수준의 습득이 불가능하다는 것에 주목하고, 어떤 음운론적 요소에서 차이가 나는지를 연구하면서부터였다. 대조언어학적인 음소 연구나 음운 규칙에 관한 분절음적 연구들은 활발히 진행되어 왔으며 한국어 교재에도 반영되어 한국어 학습자들에게 대부분 학습되었으나, 초분절음소적인 요소에 관한 연구들은 상대적으로 부진했으며 학습에 반영되는 일도 거의 없어 그에 대한 인지조차 되지 않았던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저급에서 고급으로 갈수록 한국어 학습자의 발음을 모어 화자의 그것과 차이가 나게 하는 것은 초분절음소적인 요소들이며, 본고가 주목한 것은 어중 자음군의 폐쇄지속시간이었다. 한국어 학습자의 중간언어는 저급부터 시작하여 고급에 이르기까지 변화하면서 다양한 특성을 보여준다. 중간언어는 모국어의 영향과 목표언어의 특성, 그리고 언어 보편적 특성을 갖는다고 가정했을 때, 저급에서는 모국어의 영향이 강하게 드러나고 고급으로 갈수록 목표언어의 특성과 동일해지는 경향을 나타내며, 언어 보편적 특성은 피실험자의 모국어나 등급과 상관없이 나타나는 경향을 보이게 마련이다. 본고는 연구 대상인 어중 자음군의 폐쇄지속시간도 학습자의 중간언어에서 이러한 특성을 나타낼 것이라는 전제하에 다음과 같은 실험을 진행하였다. 어중 위치에서의 앞 음절 폐쇄음 종성인 /ㄱ/, /ㄷ/, /ㅂ/의 폐쇄지속시간이 종성을 변별적으로 인지하는데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를 보기 위해서, 각 종성마다의 폐쇄지속시간을 5등분하여 피실험자들이 시간이 짧아질수록 어떤 소리로 인지하며, 길어질수록 어떤 소리로 인지하는지를 살펴보았다. 한국어 학습자의 중간언어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한국어 모어 화자 20명과 영어, 일어, 중국어를 모국어로 하는 한국어 학습자 각각 8명씩, 총 42명의 결과를 비교, 분석해 보았다. 우선, 폐쇄지속시간에 따른 종성 지각 실험에서 한국어 모어 화자는 종성 /ㄷ/에 대한 인지가 기타 언어권에 비하여 매우 높게 나타난 것이 특징이다. 또한, 폐쇄지속시간이 짧아질수록 종성을 /ㄷ/로 인식하는 경향이 있으며, 길어질수록 종성을 /ㅂ/로 인식하는 경향이 나타나고 있었다. 이와는 달리 영어권 학습자의 경우 종성 /ㅂ/의 정답률이 가장 높았는데, 고급 학습자일수록 종성 /ㄷ/의 정답률이 한국어 모어 화자만큼 높아짐으로써 한국어 모어 화자와 가장 비슷한 종성 인지도를 보였다. 그러나 일본어권 초급 학습자는 기타 언어권에 비하여 높은 정답률을 보이고 있으나 고급 학습자이더라도 정답률에 큰 변화가 없으며 오히려 낮아지는 현상을 보이고 있었다. 또 하나, 학습자들이 폐쇄지속시간의 증감에 정답률이 민감하게 반응하지 않았고, 저급과 고급 학습자 간에 정답률이 상승한 현상도 나타나지 않았다. 이와 대비되는 것이 중국어권 학습자인데 초급 학습자의 경우 폐쇄지속시간 증감에 따른 일정한 경향성이 나타나고 있지 않았으나 고급 학습자의 경우 정답률이 상승했다. 이에 대한 원인으로 일본어권 학습자의 경우 한국어의 종성을 모어인 일본어의 촉음에 대비시켜 소리 대체를 함으로써 저급 단계에서는 빠른 습득을 보이고 있으나, 중국어권 학습자의 경우 모어인 중국어에 폐쇄음 종성이 존재하지 않음으로 인하여 저급에서는 한국어의 폐쇄음 종성 습득에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볼 수 있었다. 반면, 고급 단계에 이르러서는 중국어권 학습자들이 폐쇄음 종성 인식에 있어서 일본어권 학습자들보다 훨씬 앞지르고 있음을 알 수 있었는데, 이것은 중국어권 학습자들이 고급 단계로 갈수록 모어의 영향을 받지 않아 목표언어로의 이행이 일본어권 학습자들보다 훨씬 용이하기 때문인 것으로 해석하였다. 또한, 이것은 유표성차이가설과 등가분류모델 등의 이론으로 뒷받침될 수 있음을 보였다. 두 번째로 언어 능숙도에 관한 지각 실험은 영어, 일본어, 중국어권 학습자들의 발화를 한국인의 그것과 섞어 놓고, 한국인 피실험자들에게 들려줌으로써 한국어 모어 화자인지 아닌지를 판별하도록 하는 실험이었다. 이 실험 결과도 지각 실험(1)의 결과와 합치되는 것이었는데, 저급 일본어권 학습자의 발화를 한국어 모어 화자의 것으로 선택한 비율은 중국어권 학습자의 것보다 높았으나, 고급 단계로 갈수록 중국어권 학습자의 발화를 한국어 모어 화자의 것으로 선택한 비율이 일본어권 학습자의 것보다 훨씬 앞섰다. 이 또한 한국어 습득 수준이 높아질수록 모국어의 영향과 목표언어인 한국어의 영향 사이의 역학적 관계 때문인 것으로 보았다. 세 번째로 폐쇄지속시간에 관한 발화 실험은 단어들의 음성적 실현에 있어서 발화자는 종성을 구별하기 위해 어떻게 음운론적 폐쇄지속성 대조를 인위적으로 만들어내는지를 조사하려는 것이었다. 이는 어중 자음군의 폐쇄지속시간의 인지 성향이 어떻게 발화에 반영되는지를 살펴보기 위한 것이다. 피실험자 총 36명은 한국어 모어 화자 11명, 영어, 중국어, 일본어권 화자 각 8명 혹은 9명으로 구성되었으며, 지각 실험에 사용된 단어들을 5번 읽게 된다. 본 실험은 다음 세 가지 측면에서 분석되었다. 첫째, 종성 /ㄱ/, /ㄷ/, /ㅂ/ 각각에 경음과 격음이 후행할 경우인데, 이것은 후행 자음의 폐쇄지속시간이 어중 자음군의 그것에 어떤 영향을 얼만큼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함이었다. 둘째, 종성 /ㄱ/, /ㄷ/, /ㅂ/에 경음과 격음 후행 자음이 결합하는 경우인데, 이는 종성을 고정해 놓은 상태로 다양한 후행 자음들의 결합상태를 비교해 봄으로써 발화자들이 종성의 폐쇄지속시간이 어떻게 달리 나타나는지 그 경향을 알 수 있는 실험이다. 셋째, 종성 /ㄱ/, /ㄷ/, /ㅂ/에 동일한 조음 위치에 있는 경음과 격음의 조합, /ㅃ, ㅍ/, /ㄸ, ㄷ/, /ㄲ, ㅋ/, /ㅉ, ㅊ/ 등이 후행할 경우인데, 이것은 후행 자음으로서 경음을 실험하였다면 격음이 올 경우도 같이 고려해야 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었다. 경음으로 실험한 결과를 토대로 격음에서도 유사한 결과가 나오리라 예상해 볼 수 있으나, 경음과 격음이 후행자음으로 올 경우 앞 종성에 미치는 영향이 다를 수 있으며, 국가 별로 차이가 있기 때문에 이것을 따로 분리하여 실험한 것이다. 이의 실험 결과 한국어 모어 화자의 경우 후행하는 자음이 동일한 경우, 종성 /ㄱ/, /ㄷ/, /ㅂ/의 폐쇄지속시간의 차이는 비교적 명확하게 드러났으며, 종성 /ㅂ/의 폐쇄지속시간은 일관되게 가장 길게 관찰되었고 그 다음은 /ㄱ/, /ㄷ/ 순이었다. 영어권 학습자도 그들의 모어인 영어의 /p/, /t/, /k/의 발음에 있어서 어두에서의 폐쇄지속시간은 /p/, /k/, /t/ 순으로 나타난다고 하는 연구 결과를 참고했을 때, 그와 비례하여 어중에서의 종성에서도 그와 비례한 결과가 나타날 것으로 예상되었으나, 실험 결과 어두 위치에서 폐쇄지속시간이 제일 짧았던 /ㄷ/가 예상 외로 /ㅂ/와 더불어 제일 길게 나왔으며, 이러한 현상은 고급 학습자에게서보다는 저급 학습자에게 뚜렷이 나타났다. 일본어권 학습자의 경우 특이하게도 종성이 /ㄷ/의 폐쇄지속시간이 길게 나타난다는 것이며 그것은 모국어인 일본어의 촉음의 영향인 것으로 추정하였다. 둘째는 저급 학습자와 고급 학습자 간의 한국어 종성에 따른 폐쇄지속시간의 인식에 큰 차이가 나지 않는다는 것이다. 셋째는 한국어 모어 화자가 종성에 따른 폐쇄지속시간의 차이가 확연히 나는 것에 비하여, 일본인 한국어 학습자의 경우에는 후행 자음이 /ㄲ/과 /ㅆ/일 경우를 제외하고는 그러한 경향이 뚜렷이 나타나지는 않는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중국어권 학습자의 경우, 종성 /ㅂ/일 경우에는 안정적으로 그 폐쇄지속시간이 측정되나, 종성이 /ㄱ/, /ㄷ/인 경우에는 그 폐쇄지속시간의 일관성을 찾기 어려웠다. 또한, 저급 학습자뿐만 아니라 고급 학습자에 있어서도 그 경향성을 찾아보기가 어려웠으며, 전체적으로 종성별 폐쇄지속시간의 차이가 거의 나타나고 있지 않았다. 이는 한국어는 음절말 위치에서 발음의 변동이 많은 언어라면 중국어의 경우에 어말에서 /n/과 /ŋ/를 제외하고는 자음이 오는 현상이 없으며, 복잡한 종성 규칙이나 음운 규칙들이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중국어를 모어로 하는 한국어 학습자의 경우 한국어의 종성 발음은 배우기 어려운 것일 것이며, 이것이 반영된 현상이라고 보았다. 이밖에 후행 자음의 폐쇄지속시간은 언어권별로 다른 양상을 보여주지만, 종성의 변별적 인식에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고는 볼 수 없었다. 그것은 어중 자음군의 폐쇄지속시간에 있어서 후행 자음의 폐쇄지속시간은 절대적 길이를 갖는다기 보다는 앞 음절 종성의 폐쇄지속성과 상호 영향을 미침으로써 폐쇄지속시간을 형성한다고 볼 수 있기 때문이었다. 또한, 전체적으로 저급 학습자는 한국어의 경음과 격음을 제대로 인지하고 있지 못하나 고급 학습자는 경음 후행 자음이 격음 후행 자음보다 길게 발음함으로써 경음과 격음에 대한 인지가 높아졌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학습자에게서 나타나는 어떤 대체표현이 모국어와 목표언어에 의한 영향이 아니라면 그것은 언어의 보편적 특징이 나타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한국어 모어 화자와 음절말에서 [p ^(┑)]가 발음되는 영어권 학습자는 물론, 음절말 위치에서 촉음의 변이음으로 [p]가 존재하는 일본어권 학습자의 경우와 음소 체계 내에 /n/과 /ŋ/ 이외의 종성이 존재하지 않는 중국어권 학습자의 경우 지각 실험과 발화 실험에서 공통적으로 드러나는 것은 종성 /ㅂ/의 인지가 매우 높다는 것이다. 즉, 모든 언어권에서 지각 실험에서도 종성 /ㅂ/의 정답률이 가장 높게 나오고 있으며, 발화 실험에서는 양순음 후행 자음의 폐쇄지속시간과 종성 /ㅂ/의 폐쇄지속시간을 가장 길게 발음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이것은 중국어권 학습자의 경우 모국어의 영향을 받은 것도 아니며, /ㅂ/의 폐쇄지속시간이 확연히 길게 나타나는 현상은 한국어의 경우 종성 /ㅂ/이 가장 길게 나타나는 경향이 종성 /ㄱ/에 비하여 확연히 두드러지는 현상이 아님을 고려했을 때 목표언어의 영향만으로 해석하기에는 무리가 있어 보인다. 언어의 보편성은 Major(2001)에 따르면 두 가지 양상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고 하였다. 하나는 인지 과정(Cognitive process)에서 나타나는 과도한 일반화(Overgeneralization)와 다른 하나는 자연 언어의 특성에 기인한 경우라고 하였다. 본고에서 언급한 여러 언어권 학습자들의 양순음 계열의 자음의 인지 경향은 자연 언어의 특징으로 볼 수 있을 듯하다. 위의 세 가지 실험 결과 학습자의 언어에서 보이는 중간언어적 특성은 모국어의 영향과 목표언어 노출 정도에 따른 영향, 그리고 언어 보편적 특징 등으로 형성되는 것이라고 볼 수 있었다. 이것은 어중자음군 폐쇄지속성에 관한 한국어 모어 화자와 한국어 학습자의 인지와 발화가 실험음성학적으로 다름을 증명하고 그 원인을 규명하고자 본고의 일차적 목적에 부합된다고 할 수 있으며, 다른 한편으로는 본고의 서론에서 밝힌 바와 같이 어중 자음군의 폐쇄지속성에 대한 객관적인 과학 실험을 통해 제2언어습득(SLA)이라는 학문의 하위 분야로서 중간언어 음운론이 무엇인지를 규명하는 연구에 있어서 일부분 보탬이 되고자 한 본고의 이차적 목적에 부합하는 결과가 도출된 것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Main objective of this dissertation is to demonstrate that; First,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Korean native speakers and Korean Learners in closure duration timing of the gemination. Second, there is also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impact of the variance in closure duration timing among Korean language learners with different native language. Third, based on these findings, it is critical to conduct research in this area to help Korean language learners for effective learning. For these objectives, this dissertation includes experimental phonetics researches on closure duration timing of different language speakers, analysis on the root causes, and identification of key differences among various interlanguages. The beginning of this research is to identify the reasons why adult language learners could not reach the level of native speakers especially in phonological perspective. Although there have been a lot of researches on the phonemic studies of contrastive analysis and the segmental studies of phonological rules much less effort has been invested in the suprasegmental research. However, it turned out to be that as languages leaners get more fluent, suprasegmental factors' relative importance also gets more significant. This dissertation has its focus on the gemination of closure duration timing among others. Interlanguage of Korean language learners evolve showing different characteristics as the learners move from beginners to fluent speakers. Assuming that interlanguage has three qualities such as native language's, target language's, and general linguistic characteristics, native language has more influence than target language to beginners, and vice versa to fluent speakers. General linguistic characteristic has relatively constant influence. The experiment in this research was done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closure duration timing of the gemination would also have the same characteristics. Main experiments include the followings; (1) To prove how closure duration timing of /ㄱ/, /ㄷ/, /ㅂ/ impact on the correct recognition, the respondents were asked to identify these final consonants when they were pronounced at 5 different speed. This was executed with 20 Korean native speakers, and 8 Korean language learners from English, Japanese and Chinese native speakers respectively. One distinct output is that Korean native speakers show significantly higher recognition rate with /ㄷ/. Also, while Japanese speaking leaners at beginners level show relatively higher recognition rate, they do not improve much at fluent level. On the contrary, Chinese speaking learners show clear improvements as the level goes up. This is due to the fact that Chinese speaking learners are less influenced by their native language as they go up the fluency level. This could also be proved by the theory of Markedness Differential Hypothesis(MDH) and Equivalent Classification Model(ECM). (2) The respondents were asked to identify the native languages of the speakers after they listen to the recorded pronunciation of non-native Korean speakers - Japanese, English and Chinese natives. The output of this experiment is also consistent with the experiment (1). While Japanese natives at beginners level were more frequently recognized as Korean natives at beginners level than Chinese, it gets reversed with more fluent level speakers. This is also due to the fact that Chinese natives are less influenced by its native language as they go up the fluency level. (3) The respondents were asked to pronounce different words to examine how they artificially variate closure duration timing to discriminate different final consonants. This experiments include the following three aspects. First, it compared when a specific fortis and aspirated sound follow a final consonants /ㄱ/, /ㄷ/, /ㅂ/ respectively to see how closure duration timing of a following consonant impact on that of the gemination. Second, it compared when a specific fortis and aspirated sound follow each of /ㄱ/, /ㄷ/, /ㅂ/ to see how closure duration timing of final consonants change. Third, it compared when /ㄱ/, /ㄷ/, /ㅂ/ are combined with following consonant clusters /ㅃ, ㅍ/, /ㄸ, ㄷ/, /ㄲ, ㅋ/, /ㅉ, ㅊ/ to see how closure duration timing of gemination appears differently. Based on this experiment, first, Korean natives show that, if the following consonant were the same, there is distinctive differences in closure duration timing among /ㄱ/, /ㄷ/, /ㅂ/; closure duration timing of /ㅂ/ is consistently the longest followed by ㄱ and ㄷ. Contrary to the previous research with English natives showing that the length of closure duration timing is /p/, /k/, /t/ in order, when they pronounce Korean, the order is /ㄷ/, /ㅂ/, and /ㄱ/. This is more clearly the case with Korean learners at beginner level. Extraordinary thing with Japanese natives is that closure duration timing of /ㄷ/ is the longest, and this is due to the impact of geminated sounds in their native language. Secondly,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beginners and fluent speakers in terms of the recognition of closure duration timing of a final consonant. Thirdly, while Korean natives show clear difference in the length of closure duration timing of a final consonants when they are followed by different final consonants, Japanese speakers do not show the same phenomenon. Chinese speakers show consistent length with a final consonants /ㅂ/, however not consistent with other a final consonant such as /ㄱ/ and /ㄷ/. This is the same case with more fluent speakers. This is because there is not many a final consonant in Chinese except for n and n, and there is no complicated a final consonant rule or a phonological rule, either. Therefore, for the Chinese native-Korean learners, it is a difficult task to learn a final consonant, which is reflected in the output of the experiment. Finally, beginner level Korean learners are not able to distinguish the difference between fortis and aspirated sound, while fluent learners pronounce fortis clearly longer than aspirated sound showing that they distinguish the difference. Throughout the experiment, the influence from general linguistic characteristics are also clearly noticed. Not only Korean natives and English natives who are familiar with syllable-final /p/ in their language, but also Japanese natives who pronounce p as a variation of their geminated sounds and Chinese natives who do not have other a final consonant than n and n, commonly recognize /ㅂ/ much better than other final consonant. All respondents from with different native languages recorded the highest correct ratio with a final consonant /ㅂ/, and closure duration timing is the longest with a final consonant /ㅂ/ when they pronounce. This clearly shows that there is a common quality which could hardly be explained by either the native languages or target language, and this is considered to be the influence of general linguistic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major (2001), universities of language has two different aspects. One is Over-generalization from the course of cognitive process, and the other is the features of natural language. The output from the experiment in the recognition of labials could be a result of the features of natural Languages. Summarizing the outputs from various experiments above, the features of interlanguages of Korean language learners come from the influence from their native language, the influence from the exposure to the target language, and general linguistic characteristics. This implication is consistent with the objective of this dissertation; to verify the difference between Korean natives and non-native learners in their recognition and pronunciation from experimental phonetic point of view. Also, the implication from scientific experiment on closure duration timing of the gemination could be utilized for Second Language Acquisition, which is the secondary objective of this dissertation.-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A. 연구 목적 = 1 B. 선행 연구 = 4 C. 연구방법 = 10 D. 논의의 구성 = 17 Ⅱ. 이론적 배경 = 19 A. 대조분석가설 : 전이와 간섭 = 19 B. 중간언어가설 = 27 Ⅲ. 한국어 학습자의 중간언어 연구를 위한 지각 실험 = 33 A. 폐쇄지속시간에 따른 종성 지각 실험 = 33 1. 실험 목적 및 실험 방법 = 33 2. 실험 대상 및 실험 도구 = 34 3. 실험내용 = 35 4. 실험 결과 = 38 가. 모국어 화자(NS) = 38 나. 비모국어 화자(NNS) = 43 (1) 영어권 학습자(ENNS) : 초급자 / 고급자 = 43 (2) 일본어권 학습자(JNNS) : 초급자 / 고급자 = 51 (3) 중국어권 학습자(CNNS) : 초급자 / 고급자 = 58 5. 논의 = 66 B. 언어 능숙도에 관한 지각 실험 = 79 1. 실험 목적 및 실험 방법 = 79 2. 실험 대상 및 실험 도구 = 80 3. 실험 내용 = 81 4. 실험 결과 = 83 가. 모국어 화자(NS)의 녹취 = 83 나. 비모국어 화자(NNS)의 녹취 = 84 (1) 영어권 학습자(ENNS) : 초급자 / 고급자 = 84 (2) 일본어권 학습자(JNNS) : 초급자 / 고급자 = 85 (3) 중국어권 학습자(CNNS) : 초급자 / 고급자 = 86 5. 논의 = 87 Ⅳ. 한국어 학습자의 중간언어 연구를 위한 발화 실험 = 90 A. 폐쇄지속시간에 관한 발화 실험 = 90 1. 실험 목적 및 실험 방법 = 90 2. 실험 대상 및 실험 도구 = 91 3. 실험 내용 = 92 4. 실험 결과 = 95 가. 모국어 화자(NS) = 95 나. 비모국어 화자(NNS) = 126 (1) 영어권 학습자(ENNS) : 초급자 / 고급자 = 126 (2) 일본어권 학습자(JNNS) : 초급자 / 고급자 = 162 (3) 중국어권 학습자(CNNS) : 초급자 / 고급자 = 197 5. 논의 = 230 Ⅴ. 결어 = 250 참고문헌 = 256 부록 Ⅰ 녹취자와 피실험자 목록 = 266 부록 Ⅱ 폐쇄지속시간에 따른 종성 지각실험의 실험 내용과 설문지, 그리고 실험결과 = 268 부록 Ⅲ 언어 능숙도에 관한 지각 실험의 실험 내용과 설문지, 그리고 실험결과 = 281 부록 Ⅳ 폐쇄지속시간에 관한 발화 실험의 실험 내용과 설문지, 그리고 실험결과 = 287 ABSTRACT = 30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03270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495-
dc.title한국어 학습자의 어중자음군 폐쇄지속성에 대한 연구-
dc.typeDoctoral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f Korean Language Learners' Closure Duration Timing of the Gemination.-
dc.creator.othernameCho, Nam Min-
dc.format.pagexxii, 305 p.-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국어국문학과-
dc.date.awarded2007.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국문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