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0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숙자-
dc.creator김숙자-
dc.date.accessioned2016-08-25T06:08:45Z-
dc.date.available2016-08-25T06:08:45Z-
dc.date.issued2007-
dc.identifier.otherOAK-00000002816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174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8169-
dc.description.abstract정신과 환경에서 치료 수단으로 사용되고 있는 격리 및 강박의 적용이 남용 되거나 인권 침해의 소지가 보고되고 있어 대안마련이 시급하다. 또한 환자의 인권을 침해하지 않는 최선의 중재를 위해서는 격리 및 강박에 대한 환자와 간호사의 지각 차이에 대한 이해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본 연구는 정신질환자가 경험한 격리 및 강박 적용 실태를 조사하고, 격리 및 강박에 대한 환자와 간호사의 지각을 확인하여 정신질환자의 인권을 침해하지 않으면서 치료적으로 적용할 수 있도록 정신과에서 근무하는 직원의 교육 및 연구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된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연구 대상자는 15개 정신전문병원에서 격리 및 강박 경험이 있는 입원 환자 161명과 격리 및 강박 시행 경험이 있는 간호사 220명을 임의 추출하였고, 자료수집 기간은 2007년 4월 24일부터 5월 14일까지로 3주간이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도구는 Plutchik 등(1978)이 개발하고, Heyman(1987), Winaden 등(2001), Meehan 등(2004)의 연구에서 사용한 ‘격리에 대한 태도 조사(The Attitudes to Seclusion Survey)’를 본 연구자가 번안하고 수정 보완한 것으로 총 55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도구는 환자와 간호사에게 같이 사용되었다. 환자용 설문지에는 본 연구자가 작성한 격리 및 강박 실태 조사지를 추가로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SPSS 12.0(ver)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 통계, Pearson’s correlation efficient, 카이제곱 검정을 사용하여 통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연구 대상자 중에서 환자의 일반적 특성은 전체 환자 161명 중 남자가(73.3%) 대부분이었고, 평균 연령은 41세이며, 결혼 상태는 미혼이(64.0%), 종교는 기독교가(32.3%), 교육 정도는 고졸이(45.3%), 월수입은 99만원 이하가(43.5%), 의료보장 형태는 의료 보호가(54.7%), 입원 전 직업은 무직인 경우가(23.0%), 정신과 입원 횟수는 2~3회가(34.8%), 정신질환을 앓은 기간은 10년 이상이(33.5%) 가장 많았다. 간호사의 일반적 특성은 전체 간호사 220명 중 여자(92.3%)가 대부분이었고, 평균 연령은 32세이며, 결혼 상태는 미혼(55.9%)이, 종교는 없는 경우(34.5%)가 많았고, 직위는 일반 간호사가(77.7%), 학력은 전문대 졸업이(75.0%) 대부분이었으며, 정신보건간호사나 정신전문간호사 자격증 미소지자가(66.8%) 더 많았다. 총 임상 경력은 평균 10년 4개월, 정신과 근무 경력은 평균 5년 4개월이었으며, 격리 및 강박 지침에 대한 교육을 받은 간호사는 85.9%였다. 그리고 병동의 근무조별 평균적인 간호 인력은 간호사는 2명, 보호사는 1.6명이었고, 병동 평균 재원환자 수는 94명으로 나타났다. 2. 정신질환자의 격리 및 강박 실태는 환자가 경험한 격리 및 강박의 총 횟수는 평균 4.2회였으며, 격리 지속 시간은 평균 10시간 17분, 강박 지속시간은 평균 9시간 16분이었으며, 격리와 강박이 함께 시행된 경우는 68.8%였다. 첫 격리 및 강박 시행 시기는 입원 7일 이내(45.9%)가 가장 많았고, 격리 및 강박 적용의 이유는 공격적 행동 46건(37.1%), 치료적 환경 저해 행동 37건(30%), 처치 및 집중간호 18건(14.5%), 거부적 행동 16건(12.9%)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시행된 격리 및 강박의 치료적 효과에 대해서는 57.7%가 도움이 되었다고 응답하였고, 격리 및 강박 과정과 그 이유에 대해 설명을 들은 환자(66%)가 더 많았다. 격리 및 강박에 대한 설명여부와 치료적 효과는 유의한 수준에서 정 상관관계를 나타내었고 (r=.251, p<.01), 격리 및 강박에 대한 설명여부에 따른 치료적 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x²=12.843, df=3, p<.01) 격리 및 강박에 대해 설명을 들은 환자는 듣지 않은 환자에 비해 시행된 격리 및 강박이 더 도움이 되었다고 생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3. 격리 및 강박에 대한 환자와 간호사의 지각은 ‘격리 및 강박의 이유’, ‘격리 효과’, ‘환자를 격리시킬 때 간호사의 느낌’, ‘격리 동안 환자가 느끼는 감정’의 모든 문항에서(p<.001), 그리고 ‘격리실 사용 시 변화의 필요성’에서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격리 및 강박의 이유’와 ‘격리의 효과’에서는 환자보다 간호사가 긍정적으로 지각하였다. 반면 환자들은 ‘환자를 격리시킬 때 간호사의 느낌’에서 간호사가 환자를 격리 시킬 때 힘을 느끼고 만족감을 느끼는 것으로 지각하였으나, 간호사는 대부분 이를 부정하였고, 간호사는 환자에 비해 격리가 환자의 문제를 해결한다는 것에 더 긍정적으로 지각하고, 환자의 지각보다 격리 결정 과정에서 죄책감과 후회를 더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격리 동안 환자가 느끼는 감정’은 격리에 대한 긍정적 감정과 부정적인 감정을 나타내는 문항 모두에서 간호사는 ‘가끔’ 으로 부분적 긍정의 비율이 높은 반면에, 환자는 전적인 긍정과 전적인 부정의 비율이 간호사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격리실 사용 자체에 대해서 환자와 간호사 양쪽 모두 긍정적이었으며, 격리실 환경 변화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대부분의 문항에서 환자가 간호사보다 더 긍정적으로 지각하여 변화의 필요성을 더 느끼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4. 격리 및 강박에 대한 지각의 하부 척도 간 상관관계는 ‘격리 및 강박의 이유’는 ‘격리의 효과’와 정 상관관계를(r=.246, p<.001) 나타냈고, ‘격리의 효과’는 ‘격리 동안 환자가 느끼는 감정’과 정 상관관계를(r=.381, p<.001) 또한 ‘격리실 사용 시 변화의 필요성’과는 역 상관관계를(r=-.337, p<.001) 나타냈으며, ‘격리 동안 환자가 느끼는 감정’은 ‘격리실 사용 시 변화의 필요성’과 역 상관관계(r=-.207, p<.001)를 나타냈다. 이상을 종합해 보면, 정신전문병원에서의 격리 및 강박은 감소하는 추세이나 여전히 지나친 격리 및 강박이 시행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환자를 위한 치료적 적용을 위해서는 인권 교육 강화와 격리 및 강박의 대안 마련이 시급하고, 특히 격리 및 강박 적용 시 환자에 대한 설명이 간호 실무에서 강조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또한 격리 및 강박에 대한 환자들의 부정적인 지각에 대해 치료자들이 인식하고 이해해야 하며, 격리실 사용의 변화에 대한 요구의 반영이 병원 자체와 제도적 차원에서 검토가 필요함을 알 수 있다.;The application of seclusion and restraint, which is used as a therapeutic measure in psychiatric environments, urgently needs alternatives since it is reported that it has some possibility of abuse and violation of human rights. In order to carry out the best intervention that does not violate human rights, understanding of the difference in perception between patients and nurses is more important than anything. This study, as a kind descriptive research, tries to provide basic data necessary for education and research by staffs working for psychiatric departments in order to apply seclusion and restraint without violating human rights of psychiatric patients by investigating conditions of the application of seclusion and restraint that they have experienced and examining patients’ and nurses’ perception of seclusion and restraint.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161 inpatients with certain experiences of seclusion and/or restraint from 15 psychiatric hospitals, and 220 nurses with experiences in carrying out seclusion and restraint―both parties have been randomly sampled. The data were collected for three weeks from April 24th to May 14th, 2007. The tool used in this study is ‘The Attitudes to Seclusion Survey’, which was developed by Plutchik et al.(1978), and used by Heyman(1987), Winaden et al. (2001), and Meehan et al. (2004) etc. The current author has adapted and supplemented it, and composed it with the total of 55 questions. This tool was used both for patients and for nurses. An investigation form of conditions of experiences in seclusion and restraint, which was composed by the current author, was added to the questionnaire for patients. The collected data have been statistically analyzed using SPSS 12.0(ver), with Pearson’s correlation efficient and Kai square verific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As for general properties of the patients, most of 161 of them (73.3%) were male, the average age was 41, and the majority were unmarried (64.0%). 32.3% were Christians, 45.3% graduated from high schools, and 43.5% earned less than one million won per month. The majority of them (54.7%) depended on medical care service as the form of medical insurance, and 23.0% were unemployed before hospitalization. 34.8% of them had experience of hospitalization into a psychiatric section twice or three times (34.8%), and 33.5% had suffered from psychiatric diseases for more than ten years. As for general properties of the nurses, most of 220 of them (92.3%) were female, the average age was 32, and the majority were unmarried(55.9%). 34.5% of them had no religions, and 77.7% were plain nurses. As for their educational and career experiences, 75.0% graduated from 3 year colleges, and 66.8% didn’t have psychiatric mental health nurse or psychiatric nurse specialist licenses. The total average clinical experience was 10 years and 4 months, and the average working experience in psychiatry was 5 years and 4 months. 85.9% of them had received education of seclusion and restraint. Furthermore, the working nursing team per duty in the ward consisted of an average of 2 nurses, and of 1.6 psychiatric technicians, and the average number of inpatients per ward was 94. 2. As for the conditions of seclusion and restraint of psychiatric patients, the total average number of seclusion and restraint was 4.2. The average duration of time for seclusion was 10 hours and 17 minutes, and that for restraint was 9 hours and 16 minutes. 68.8% of them experienced seclusion and restraint at the same time. 45.9% had been secluded and restrained for the first time within 7 days after hospitalization. The reasons of the application of seclusion and restraint that the patients experienced included 46 cases of aggressive behavior(37.1%), 37 cases of behavior disrupting therapeutic environments(30%), 18 cases of treatment and intensive care(14.5%), and 16 cases of rejecting behavior (12.9%). As for the effects of the applied seclusion and restraint, 57.7% reported that they were helpful. 66.6% were explained the processes and reasons of seclusion and restraint. There appeared a canonical correlation at a significant level between the explanation of seclusion/restraint and their effects(r=.251, p<.01). The fact that the degree of effectiveness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explanation of seclusion and restraint had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s (x²=12.843, df=3, p<.01) means that those patients receiving explanation of seclusion and restraint thought, in contrast with those who did not, that the applied seclusion and restraint were helpful. 3. As for the patients’ and the nurses’ perception of the seclusion and restraint, every question item in ‘reasons for seclusion and restraint,’ ‘effects of seclusion,’ ‘nurses’ feeling when they seclude patients,’ and ‘patients’ feeling during the seclusion’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p<.001), and in ‘necessity of changes in using seclusion room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patients’ and the nurses’ perception of 'the reasons of seclusion and restraint', 'effects of seclusion,' it appeared that the nurses perceived more positively than the patients. and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patients’ and the nurses’ perception of the feeling of nurses when they seclude patients, it appeared that the patients felt power and satisfactory emotions when nurses seclude them whereas most of the nurses denied this. It further appeared that the nurses more positively perceived seclusion to solve patients’ problems than the patients did, and felt guilt and regret more in the process of deciding seclusion than the patients did. As for the feeling that patients had during seclusion, the majority of the nurses selected ‘sometimes’ both for positive feeling related questions and for negative feeling related ones, which means that the rate of nurses selection for partly positive feeling was high and so was the whole positive rate. However, on the side of contents, the patient showed full affirmation and full negation higher than the nurses did. And, as for the use of seclusion room itself, both the nurses and the patients were positive. As for the necessity of changes in seclusion room environments, the patients perceived it more positively with respect to most of the questions than the nurses did. 4. As for the correlations among sub scales of the perception of seclusion and restraint, 'the reasons of seclusion and restraint' showed a canonical correlation with 'the effects of seclusion'(r =.246, p<.001). The effects of seclusion showed a canonical correlation with 'the feeling that patients had during seclusion'(r=.381, p<.001), and an inverse correlation with 'the necessity of changes in using seclusion rooms'(r=-.337, p<.001). 'The feeling that patients had during seclusion' showed an inverse correlation with 'the necessity of changes in using seclusion rooms'(r =- .207, p<.001). Generaliz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though seclusion and restraint at psychiatric hospitals tend to be reduced, still excessive seclusion and restraint are executed. This suggests that education for patients about seclusion and restraint be enhanced, alternatives to both of them be urgently prepared, and especially explanation of the application of seclusion and restraint to patients be emphasized in nursing practices. Also, we can find out that medical practitioners should recognize and understand patients’ negative perception of seclusion and restraint, and that it is necessary to consider reflecting the demand of changes in the use of seclusion rooms, in the dimensions of hospitals themselves and of institution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 1 B. 연구의 목적 = 5 C. 용어 정의 = 5 Ⅱ. 문헌고찰 = 7 A. 정신질환자에 대한 격리 및 강박의 적용 = 7 B. 격리 및 강박에 대한 환자와 직원의 지각 = 12 Ⅲ. 연구방법 = 18 A. 연구 설계 = 18 B. 연구 대상 = 18 C. 연구 도구 = 19 D. 자료수집방법 = 20 E. 자료 분석 방법 = 20 F. 연구의 제한점 = 21 Ⅴ. 연구결과 및 논의 = 22 A.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 22 B. 정신질환자의 격리 및 강박 실태 = 31 C. 격리 및 강박에 대한 환자와 간호사의 지각 = 39 D. 격리 및 강박에 대한 지각의 하부 척도 간 상관관계 = 56 Ⅵ. 결론 및 제언 = 57 A. 결론 = 57 B. 제언 = 61 참고 문헌 = 62 부록1 설문지 및 연구도구 = 70 ABSTRACT = 7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63669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617-
dc.title정신질환자의 격리 및 강박에 대한 환자와 간호사의 지각-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Patients’ and nurses’ perceptions toward seclusion and restraint of psychiatric patients-
dc.creator.othernameKim, Suk Ja-
dc.format.pageⅵ, 83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간호과학과-
dc.date.awarded2007.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