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8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서미진-
dc.creator서미진-
dc.date.accessioned2016-08-25T06:08:43Z-
dc.date.available2016-08-25T06:08:43Z-
dc.date.issued2007-
dc.identifier.otherOAK-00000002788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173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7887-
dc.description.abstractAs the society is driven by industrialization, urbanization and modernization, the elderly is likewise struggling for lots of difficulties along with an increase of the elderly population. Particularly, the devaluation of their status and their psychological maladjustment out of it play a key point of the elderly issues. Upon this tendency, many prior studies have covered to figure out the elements of helping them with adjusting to their psychological order, but the range of these studies are yet to be biased on individual characteristics or social network. Therefore, this study enlarged its coverage to consider it in the bio-psycho-social aspects, and attempted to understand the elements in the aspects of resources, which was proven to be helpful for their psychological adjustment by prior studies. More precise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ssify the necessary resources for the elderly to properly adjust to their old age in the life cycle, and examine the degrees of effecting on the adjustment to their old age by each resources. For this purpose of the study, it was sampled by the target of the elderly aged over 65 (American age), who use the senior's welfare center. Also, this sampling lasted from April 26th 2007 to May 9th 2007. 377 questionnaires of total 400 questionnaires distributed and recollected in senior's welfare center were finally used for analyzing. To analyze the orientation of this study, it had used statistic scales such as descriptive and frequency statistics, t-test, ANOVA, Scheffe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cale. The orientation of this study is as follows. (1) What is it like of the elderly's psychological adjustment? (2) What makes difference between the elderly's resources and their adjustment to old life? (3) What degree does it have effects of the elderly's resources on their adjustment to old life? This study brought up the following major results. First, the figure showed a little over the average in the level of general adjustment to old life. Checking it more in detail, anxiety, loneliness or unsatisfaction was the positive level, but the attitude for aging was not reaching even to the average level. Second, the figure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djustment to old life under the individual resources (in the aspects of quality and quantity: education, financial condition, health condition) and relative resources (in the aspects of quantity: presence of spouse, in the aspects of quality and quantity: children, relatives, friends, society participation), local society resources (in the aspects of quantity: traffic facilities, medical facilities, in the aspects of quality: satisfaction level of residential environment), system resources (in the aspects of quantity: income security, senior's care center and senior's privilege system, in the aspects of quality: satisfaction level of system use). Third, the figure showed that it was positive(+) to the old life adjustment in the individual resources (in the aspects of quality: self-control, health condition, financial condition) and negative(-) in the residential environment resources (in the aspects of quantity: traffic facilities) including negative effect in the relative resources (in the aspects of quantity: children, relatives). Followings are the implication resulted by above study. First, this study testified the importance of the elderly's resources in the aspects of social welfare and provided the fundamental data to help for activizing the important resources in a practical field. Second, it is required to develop and implement the education or program which promotes the positive idea of aging targeted on the elderly who have a negative idea of aging, as well as the government should explore and develop the favorable policy for the society to respect the elderly. Third, the individual resources are supposed to be actively developed as it is turned out to be most helpful for the old age adjustment. Particularly, self-control works as the positive factor to the old age adjustment of all resources, it may as well suggest the education program or develop counselling to promote the self-control. Fourth, the government is required to enact more substantial seniors policy and system for developing and sustaining the Korean Hyo(Filial piety) spirit and senior respecting culture. Along with it, the policy to ensure the independence of the elderly should be developed. Fifth, the government is required to have a policy to make the elderly use the mass transportation more safely and conveniently with an analysis on their needs of transportation, when developing the seniors housing. Followings are the limitation of the study and suggestions for later study. First, later study will be able to perform a comprehensive study, covering other psychological resources except the self-control this study used and cognitive or behavioral coping technique. Second, the targe of study should not be confined to the elderly who reside in Seoul, but should be extended to the rural areas. Third, there was a limit in the subpart of the system, though it was something new for appling the systemic aspects to the elderly's resources. Therefore, the concrete and deep study is considered to be required covering up to the resources lie in more pervasive system or policy. Fourth, this study failed to analyze the cause and effect about the mediating elements in the process of effects of resource components on the old age adjustment, which were classified under the perspective of ecosystem. Therefore, it is considered to be necessary for testifying the theoretical structure model, which can define the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n the old age adjustment.;사회가 산업화되면서 노인의 지위가 하락하게 되고, 그로 인해 초래되는 노인의 심리적 부적응은 노인문제의 핵심이 되고 있다. 이에 따라 노인 관련 학자들은 노년기 심리적 적응에 도움이 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여러 연구를 지속적으로 진행해왔다. 하지만 연구범위를 개인특성이나 사회적 관계망에 치중한 경우가 많으며, 노인이 지닌 자원에 초점을 맞춘 연구는 극히 드물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생·심리·사회(bio-psycho-social)적 측면을 고려하고, 선행연구에서 노년기 심리적 적응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밝혀진 요인을 자원의 측면에서 이해하고자 하였다. 즉, 인간생애주기에서 노년기를 겪고 있는 노인이 적절히 적응하는데 있어서 필요한 자원을 1) 개인자원, 2) 관계적 자원, 3) 지역사회자원, 4) 제도자원으로 분류하고, 해당 자원을 양적(Quantity: 객관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자원의 존재 유무와 양의 정도)측면과 질적(Quality: 객관적 자원을 소유함에 따라 느끼는 주관적 만족감)측면으로 구분하여, 각각의 자원이 노년기 심리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정도를 파악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위하여 서울시내에 거주하는 만 65세 이상의 노인종합복지관 이용 노인을 연구대상으로 표집 하였다. 표본추출은 2007년 4월 26일부터 2007년 5월 9일까지 시행하였으며, 배부·회수된 총 400부 설문지 중 377부를 최종 분석자료로 사용하였다. 또한 자료를 분석하기 위해 기술통계, t-test, 일원변량분석(ANOVA), Pearson 상관관계,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상의 연구 절차를 통하여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의 노년기 심리적 적응정도는 보통을 약간 상회하는 수준으로 나타나 긍정적인 편임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하위영역별로 살펴본 결과, ‘불안함’과 ‘외로움 및 불만족’의 수준은 양호하나 ‘노화에 대한 태도’는 부정적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원에 따른 노년기 심리적 적응의 차이를 확인한 결과, 개인자원(질적·양적 측면: 교육, 경제상태, 건강상태)과 관계적 자원(양적측면: 배우자 유무, 질적·양적 측면: 자녀, 친척, 친구, 사회참여), 지역사회 자원(양적 측면: 교통시설, 의료시설, 질적측면: 주거환경만족도), 제도자원(양적 측면: 소득보장, 노인요양시설, 노인우대제도, 질적 측면: 제도이용 만족도)에 따른 노년기 심리적 적응 수준에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자원이 노년기 심리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개인자원(양적 측면: 신체기능, 질적측면: 경제상태, 건강상태, 자아통제감)과 지역사회자원(양적측면: 교통시설)이 노년기 심리적 적응에 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관계적 자원(양적측면: 자녀, 친척)은 부적(-)인 영향력을 가짐을 확인하였다. 즉, 노인이 신체기능 정도, 주관적 건강상태, 주관적 경제상태, 집소유 만족도의 점수가 높을수록, 노인이 거주하는 주택 근처의 교통시설이 편리할수록 노년기 심리적 적응 수준이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노인의 자녀와 친척 수가 많을수록 노년기 심리적 적응에는 부정적인 영향을 끼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통한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복지 계에서 중요한 요소로 다루어지는 자원에 대해서 노인을 대상으로 보다 구체적인 요인으로서 자원의 중요성을 입증하여, 실천현장에서 노인의 중요자원을 보다 활성화 하는데 도움이 되는 기초자료 역할을 하였다. 둘째, 노인들의 노화에 대한 태도가 부정적이므로, 올바른 노화에 대한 인식을 가질 수 있도록 지역사회 내에서 교육 및 복지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실시함이 요청된다. 또한 정부차원에서도 노화에 대해 보다 긍정적이고 가치 있는 존재로 여기는 사회분위기를 형성할 수 있도록 정책을 개발하고 모색해야할 것이다. 셋째, 노인의 노년기 심리적 적응에 가장 도움이 되는 것으로 밝혀진 개인자원을 적극 개발하여야한다. 특히 자아통제감은 전체 자원 중에서 노년기 적응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가장 큰 요인으로 작용하므로, 자아통제감을 고취시킬 수 있는 교육프로그램 혹은 상담을 개발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넷째, 노인의 자녀수와 친척수가 많을수록 오히려 노년기 심리적 적응에 방해가 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는 전통 가족가치관 보다는 개인중심의 생활양식으로 변화함을 나타내는 것으로, 노인의 독립적 생활양식 욕구를 반영하여 노년기에 자녀로부터의 부양이 아닌 자립적 노후생활을 보장받을 수 있는 정책이 개발돼야 할 것이다. 또 한편으로는, 한국사회의 효 가치관과 노인공경문화가 지속·발달할 수 있도록 보다 실질적인 노인정책과 제도를 시행할 필요가 있다. 다섯째, 지역사회거주 노인의 노년기 심리적 적응에 영향력 있는 변인이 교통시설에 대한 접근이 용이하다는 것이 입증됨에 따라, 향후 노인주택 개발에서 이러한 측면을 고려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또한 정부차원에서도 노인의 교통수단 이용 욕구를 파악하여 보다 안전하고 편리하게 대중교통 시설을 이용할 수 있도록 정책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1. 문제제기 = 1 2. 연구목적 = 3 Ⅱ. 이론적 배경 = 5 1. 노년기 심리적 적응과 과제 = 5 2. 자원 = 9 3. 노년기 심리적 적응과 자원에 관한 선행연구 = 13 1) 개인자원 = 14 2) 관계적 자원 = 15 3) 지역사회 자원 = 17 4) 제도 자원 = 18 Ⅲ. 연구방법 = 21 1.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 = 21 2. 연구도구 = 22 3. 분석방법 = 29 Ⅳ. 연구결과 = 30 1.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 30 2. 연구대상자의 자원 특성 = 31 1) 개인자원의 특성 = 31 2) 관계적 자원의 특성 = 35 3) 지역사회 자원의 특성 = 37 4) 제도 자원의 특성 = 39 3. 노년기 심리적 적응의 정도 = 42 4. 일반적 특성 및 자원에 따른 노년기 심리적 적응의 차이 = 44 1) 일반적 특성과 노년기 심리적 적응 = 44 2) 개인자원과 노년기 심리적 적응 = 45 3) 관계적 자원과 노년기 심리적 적응 = 49 4) 지역사회 자원과 노년기 심리적 적응 = 52 5) 제도자원과 노년기 심리적 적응 = 54 5. 자원특성이 노년기 심리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 = 55 1) 회귀분석을 위한 사전분석 = 56 2) 회귀분석 결과 = 56 Ⅴ. 결론 및 제언 = 67 1. 연구결과 = 67 2. 실천적 함의 = 68 3. 한계 및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 = 70 참고문헌 = 73 부록 = 85 부록 1 = 85 부록 2 = 86 ABSTRACT = 9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79078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360-
dc.title노인복지관 이용 노인의 자원에 따른 심리적 적응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Psychological adjustment Under the Elderly's Resources Using Senior's Welfare Center-
dc.creator.othernameSeo, Mi Jin-
dc.format.pageⅵ, 99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사회복지학과-
dc.date.awarded2007.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