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4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나연-
dc.creator김나연-
dc.date.accessioned2016-08-25T06:08:42Z-
dc.date.available2016-08-25T06:08:42Z-
dc.date.issued2002-
dc.identifier.otherOAK-00000002679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172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6797-
dc.description.abstract여성의 스포츠 활동에의 참여와 참여 종목은 전적으로 여성의 '선택'으로 간주된다. 그러나 스포츠 활동이 갖고 있는 경쟁성, 위계성, 공격성, 활동성, 공개성 등의 특성이 전통적으로 남성의 역할 특성에는 부합하는 반면, 여성의 역할 특성에는 부합하지 않는다는 성 고정관념으로 인하여 스포츠는 남성 지배 영역으로 존재해 왔다. 성별에 따라 사회적 삶이 다르게 조직되는 성별 체계의 사회 속에서 스포츠 활동은 남성과 여성을 다른 방식으로 관련되게 한다. 스포츠는 사회가 갖는 다양한 사회·문화적 규범과 권력관계를 내포하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스포츠의 남성 전유물화 현상은 스포츠를 통해 지배적 가치, 즉 남성 중심적인 성차별적 규범과 사회관계를 유지·지속시키는 매개물로 작동한다. 최근 들어 젠더화된 스포츠에서의 평등권을 찾기 위해 범국가적으로 스포츠에서의 성차별성을 문제제기하며 여성의 스포츠 참여를 촉구하는 노력을 경주하고 있다. 이러한 국제적 행보는 우리나라에도 영향을 미쳐, 스포츠 활동이 곧 건강을 위한 것이라는 건강 담론과 결부되며 여성의 스포츠 활동 참여가 부분적으로 수용되었다. 그러나 여전히 존재하는 성역할 관념으로 인해 여성이 참여할 수 있는 스포츠 활동은 비접촉적 개인스포츠(non-contact individual sports)로 극히 제한되었다. 그리고 여성의 스포츠 활동은 여성성을 가꾸며 성적 매력을 위한 것으로만 간주함으로써 여전히 여성을 스포츠 활동에 있어서의 주체로 인정하지 않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여성을 운동하는 주체로 인식하지 않는 사회적 맥락 속에서 여성이 팀스포츠에 참여하는 과정에서 자신의 성별로 인해 경험하는 차별적 규제가 어떤 것인지를 구체적인 현실 속에서 고찰하였다. 그리고 이를 통해 여성스포츠가 사회적으로 인식되고 있는 맥락을 살펴보고, 여성이 운동한다는 것에 대한 의미를 논의했다. 본 연구를 위하여 다양한 형태로 팀 스포츠에 참여하고 있는 여성들을 대상으로 이들의 경험을 심층 면접을 통해 수집하였다. 또한 이들 대상자가 참여하고 있는 운동모임에 직접 참여하여 운동모임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에 대해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여성은 팀 스포츠에 접근할 수 있는 기회 자체가 차단되고 있다. 여성이 팀 스포츠에 참여하는 것은 여성스럽지 못한 것이라는 사회적 통념으로 인해 여성들의 활동은 인정되지 않는다. 그렇기 때문에 여성은 자신의 스포츠 활동을 정당화하기 위해 운동 외적인 요인들을 끌어들인다. 특히 유일하게 인정받을 수 있는 통로인 전문선수가 되고자 하며, 운동을 할 수 있다는 생각에(운동을 하기 위해) 자신에 대한 부당한 대우를 '울며 겨자먹기' 식으로 받아들이고 있다. 또한 여성들은 자신의 스포츠 활동을 정당화하기 위해 운동 외적인 요인을 끌어들인다. 또한 이들 여성들은 운동장 사용에 있어서의 우선권을 주장하는 남성들로 인하여 운동장 이용을 위해 자신들이 갖고 있는 자원을 총동원하며 '확보'해야만 한다. 둘째, 여자선수/여성스포츠가 갖고 있는 힘/권력이 부정되어지고 있다. 여자선수/여자경기에서 보여지는 기술, 지식, 팀 전략을 부정하며 '진짜' 경기는 남성경기임을 주장한다. 그리고 남성에 의해 지도되고 지배되는 것을 당연시하는 가부장적 사회 질서를 바탕으로, 스포츠 영역에서 권력자적 위치를 점하는 지도자·행정가 등은 '진짜' 경기를 할 수 있는 남성에 의해서 행해지는 것을 당연시하고 있다. 여성스포츠가 남성에 의해 통제되며 지배되어지고 있는 것이다. 셋째, 여자경기가 '보여지는' 것으로 구성되면서 여자선수들은 실력보다 외모·외관으로 평가되어지며 성적대상화 되고 있다. 여성의 몸은 문화적으로 젠더화된 몸의 기반 안에서 구성되며, 스포츠 활동으로 인한 여성 몸의 관리/확장은 부정된다. 그렇기 때문에 여자선수들은 스포츠 활동과 관련된 체력·기술 향상이 아닌 여성스러운 몸을 만들기 위해 노력해야만 하는 상황에 처해 있다. 동시에 여성들의 이런 모습은 실력 배양이 아닌 외모에만 신경 쓴다는 이중적인 평가를 받고 있다. 넷째, 팀 스포츠 활동에 참여하는 여성 개인은 스포츠에서 요구되어지는 남성성과 사회에서 요구되어지는 여성성의 경합을 경험하고 있다. 팀 스포츠가 갖고 있는 남성적 특질로 인하여 이에 참여하고 있는 여성들이 남성화될 것이라는 두려움과 '스포츠의 여성화'에 대한 두려움 때문에, 사회적으로 이들 여성들에게 '남성화된 여성'이라는 낙인을 부착시킨다. 이는, 여성들이 '여성다운' '약한' 모습만을 보여야만 된다는 생각을 갖게끔 함으로써 자유롭게 스포츠 활동에 참여하지 못하게 하는 기제로 작용하고 있다. 이와 함께, 스포츠 활동에 참여하는 여성들은 이러한 낙인을 피하고자 더욱 더 여성적 모습(ultra-feminine)을 보여줘야 한다고 생각한다. 동시에 남성들도, 남성/여성이라는 젠더 경계를 분명히 하고자 여성적 성역할/성역할 규범을 강요한다. 최근 들어 스포츠 활동에 직접적인 관심을 보이는 여성들이 전문선수의 경기를 보면서 대리만족을 경험하며 여성스포츠의 팬으로 등장했다. 이들의 등장은 여자선수들에게 자신의 행동을 긍정화시켜줄 수 있는, 그리고 여자선수들은 이들 여성에게 역할모델을 제시해주며 스포츠 활동에 참여할 수 있는 힘을 상호적으로 얻고 있다. 또한 이들 여성들은, 여성스포츠를 구성하고 규정하고 있는 남성중심성/여성적 경험 세계 부정 등에 대해 팬으로서 같은 여성의 입장에서 변화의 필요성을 주장하며 집단적으로 저항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여성들은 스포츠 활동에 참여하면서 남성적 시각의 대상물로써가 아닌 여성 자신을 위해 몸을 움직이고 표현하는 경험을 하면서 여성 자신을 독립적으로 자율적인 존재로 인식해 간다. 그리고 공적 영역으로 자신의 공간을 확장해 가고 있다. 그리고 이런 모습들을 바탕으로, 여성스포츠를 여성적 경험세계와 이해를 바탕으로 새로이 구성해가고 있다. 동시에 운동함이라는 것 자체가 여성적 성역할 규범을 뛰어 넘는 것이기 때문에 이를 바탕으로 다른 젠더 규범들 또한 해체시킬 수 있다는 가능성과 힘을 내재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의 모습은 스포츠 활동에 참여하는 여성의 수가 더욱 많아질수록, 여성스포츠가 인정될수록 가능한 일이기 때문에 여성의 스포츠 활동에 참여를 촉진하며 인정 해줄 수 있는 제도적 장치가 필요하다.;Women's participation in sports activities and the events in which women participate are totally considered as their own "choice". However, the sport has existed as a male-dominant sphere because of the fixed idea that the characteristics of sports activities, such as competitiveness, being ranked, aggressiveness, activeness, and openness to the public, do not correspond with female role characteristics, while they do with male role characteristics. In the gender-systematic society in which one's social life is organized according to one's gender, sports activities make men and women relate to each other in different ways. This is because the sport connotes various social and cultural norms and power rotations in a society. Accordingly, the phenomenon of men's monopolization of sport functions as a medium to maintain and sustain the dominant value, namely the male-dominant and sexist standards and social relations, through the sport. Recently, nations all over the world are bringing up the sexism in sport as a problematic issue and are concentrating on the effort to urge women to participate in sport in order to find an equal right in the gendered sport. This international trend affected the Republic of Korea as well, and when it was linked to the health discussion that sports activities are for the sake of health, women's participation in sports activities was partially admitted, However, due to the still remaining idea of gender roles, the sports activities in which women could participate were extremely restricted to non-contact individual sports, Moreover, women's sports activities are considered to be only for cultivating femininity and sexual charms, which denies to acknowledge women as the subject of sports activities. Hereupon, this study investigated in the concrete realities of life the discriminatory regulations which women experience while participating in team sports among the social trend which does not consider women as a subject playing sport. And by doing this, this study examined the trend of the way in which women's sport is regarded by the society, and discussed the meaning of women playing sport. For this study, in-depth interviews were carried out in order to collect the experiences of women who are participating in team sports in various forms. Besides, a direct participation of the author in these women's sports meetings was carried out in order to examine how they are conduc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women are isolated from the outset from the opportunity to have access to team sports. Women's activities in such sports are not approved because of the socially accepted idea that it is not feminine for women to participate in team sports. Therefore, women bring in other factors that are irrelevant to sport in order to justify their sports activities. In particular, they try to become professional sports players which is the only way to become approved, And they face the music and accept the unfair treatment consoling themselves with the thought that they can play sport and also in order to play sport. Besides, they bring in other factors that are irrelevant to sport in order to justify their sports activities, Moreover, these women have to "ensure" the use of the playground with all their resources because of men who insist on their precedence over its use. Second, the power and authority of female players and sports are being denied. They deny the techniques, knowledge, and team strategies that are demonstrated by female players in women's games and insist that the "real" game is men's one. And on the basis of the patriarchal social order which takes it for granted that a society is guided and ruled by men, it is taken for granted that In the domain of sports, influential positions such as leaders and administrators are taken up by men who can play a "real" game, That is to say that women's sport is controlled and ruled by men. Third, as women's sports events are considered as something to be "seen", female players are assessed according to their appearance rather than by their ability, which make them a sexual object. A woman's body is constructed on the basis of culturally gendered body, and the care and expansion of women's body by sports activities are denied, Therefore, female sports players are faced with the situation in which they have to endeavor to shape a feminine body rather than to improve their physical strength and skills relevant to sports activities. At the same time, this kind of female players' effort is doubly assessed to be a futile one to concern themselves with appearance rather than skill improvement. Fourth, a female who participates in team sports activities experiences a conflict between the masculinity which is required in sports and the femininity which is required by the society. The society stigmatizes these women as "masculinized females" because of the fear that they will be masculinized due to the masculine characteristics of team sports and because of the fear of "feminization of sport" This stigma functions as a mechanism to prevent women from freely participating in sports activities by making people think that women should only show "feminine" and "weak" aspects. In addition to this, women who participate in sports activities think that they should show ultra-feminine aspects to avoid this kind of stigma. Simultaneously, males enforce female roles and gender role regulations in order to ensure the sender boundary between male and female. Recently, women who show a direct interest in sports activities and who have experienced a surrogate satisfaction by watching professional players' games have become fans of women's sport. The emergence of these fans affirms the action of female players, Reciprocally, they present a role model to their fans and encourage them to participate in sports activities. Moreover, these enthusiastic females insist, from a standpoint of females, on the need to change the male-centered thinking which constitutes and prescribes women's sport and the denial of female experiential world. These females resist collectively By participating in sports activities, females experience moving and expressing their body for themselves, and not as an object of the male gaze. Simultaneously, they start to perceive themselves as independently autonomous beings. Moreover, they are expanding their space into the public sphere. And on the basis of these, they are reforming women's sport on the basis of female experiential world and understanding. Simultaneously, this entails the Potentiality and power to dissolve other gender standards because playing sport itself overrides the female gender role standard, This change is all the more possible when the number of women who participate in sports activities increases and when women's sport is recognized mor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 institutional device which can promote and recognize women's participation in sports activitie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ⅰ 논문개요 = ⅲ Ⅰ. 서론 = 1 A. 문제의식 = 1 B. 연구방법 = 7 C. 연구 대상자의 특성 = 9 Ⅱ. 이론적 배경 = 16 A. 지배적 가치의 매개자로서의 스포츠 = 16 B. 젠더화된 스포츠의 평등권 노력 = 17 Ⅲ. 남성 영역으로 간주되는 스포츠 활동 = 22 A. 여성스포츠의 주변성 = 22 1. 여성의 스포츠 활동의 참여 제한 = 22 1-1. 전문선수: 여성의 스포츠 참여를 인정하는 유일한 통로 = 22 1-2. 주변적/반전문 여자선수 = 26 1-3. '열정'으로서의 운동, 그리고 열악한 처우 = 29 1-4. 여성 스포츠활동을 정당화해주는 다른 요인들 = 33 2. '공간'이 없는 여성 스포츠팀 = 35 2-1. '확보해야만'하는 공간: 제공되지 않는 스포츠 시설에의 접근 기회 = 35 2-2. '공간'안에 있다는 부담: 주변화되어지는 여성 = 38 B. 여성스포츠의 권력 부정 = 40 1. 여자 경기의 부정 = 41 1-1. '진짜' 경기가 되지 못하는 여자경기: '진짜'경기=남자경기 = 41 1-2. '그들만의 리그'가 되는 여자경기 = 43 2. 남성 통제하의 여성스포츠 = 46 Ⅳ. '여성'과 '선수'사이의 긴장 = 49 A. 성 상품화되어지는 여자선수 = 49 1. 실력보다 우선시되는 외모 = 49 2. 보여지는 몸, 평가되어지는 몸 = 52 B. 여성성과 남성성의 경합 = 55 1. 요구되어지는 남성성: 허용되는 폭력 = 56 2. 입증해야하는 여성성 = 59 2-1. '남성화된 여성'이라는 낙인 = 59 2-2. 강요되어지는 성역할 = 62 C. 여성운동집단의 등장과 '여성팬'의 저항 = 64 Ⅴ. 요약 및 결론 = 68 참고문헌 = 73 ABSTRACT = 8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471194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여성-
dc.subject스포츠 활동-
dc.subject성별정치학-
dc.subject팀 스포츠-
dc.title여성의 스포츠 활동을 통해 본 성별정치학-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팀 스포츠(Team Sports)를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Gender politics seen through women's sports activities : Focusing on team sports-
dc.format.pagev, 83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여성학과-
dc.date.awarded2003.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여성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