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6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오수정-
dc.creator오수정-
dc.date.accessioned2016-08-25T06:08:41Z-
dc.date.available2016-08-25T06:08:41Z-
dc.date.issued2001-
dc.identifier.otherOAK-00000002946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171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9464-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우리 나라 교육 환경의 문제점들의 해결 방안으로 열린교육을 위한 새로운 개념의 학습환경으로서의 초등학교 디자인에 관한 연구이다. 본 연구자는 현재 우리 나라의 초등학교 사례들을 조사하여 문제점 등을 발견, 분석하고 학교의 주요 구성원인 학생과 교사 그리고 학부모의 행태와 열린교육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그 해결 방안을 모색 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열린교육의 의미와 목적, 그리고 열린교육 실시를 위한 교육 방법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조사하고 그에 부합하는 진정한 학습의 의미로서의 교육환경의 디자인 계획을 제시하고자 한다. 진정한 의미로서의 학습이란 열린교육이 가진 의미로서 학생 개개인의 인격 존중을 바탕으로 그들이 가진 특별한 개성, 그리고 각각의 잠재 능력을 최대한 효과적으로 학생 스스로가 주체가 되어서 끌어 낼 수 있는 환경을 의미한다. 여기에서의 환경이란 학교의 물리적인 환경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고 학생이 경험하는 모든 정신적, 사회적, 물리적 상황을 의미 한다. 우리 나라는 현재 교육환경에서 많은 어려움과 문제들을 가지고 있다. 주입식, 수동적 교육 방법과 획일화 된 환경의 모습으로 인해 학생들의 개성과 잠재 능력을 효과적으로 끌어내지 못하고 있으며 학생들로 하여금 학교는 어렵고 무서우며 항상 같은 모습의 의무적인 학습을 위한 공간으로만 여겨지고 있다. 따라서 학생들은 학교를 자신의 의지대로 배우고자하는 욕구와 사회생활의 시초인 학교에서 얻어지는 즐거움을 위해서가 아닌 강제의 보이지 않는 강요와 의무에 의해서 찾게되는 공간으로 여겨질 뿐이다. 또한 새로이 실시되는 참된 교육으로서의 학습을 위한 열린교육 방법 실행을 위한 체계적이고 실질적인 공간, 환경 구성을 하지 않은 상태에서 주먹구구식의 열린교육 방법을 진행하고 있는 것이 현재 우리 나라가 가진 교육환경의 모습이다. 이러한 문제점들의 해결 방안 제시를 위하여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과정으로 진행된다. 1장에서는 학습환경(Learning Environment)으로서의 교육환경이 가지는 연구 가치와 범위 및 방향에 대해서 제시한다. 2장에서는 새로운 교육환경의 개념과 디자인을 위한 이론적 배경을 알아보고 그에 따른 열린교육의 개념과 목적, 의미에 부합하는 열린교육 방법과 공간별 유형, 특성을 조사, 분석한다. 3장에서는 현재 우리 나라 학교 교육 공간에서 나타나는 문제점을 사례 조사를 통하여 알아보고 그 해결 방안을 연구, 계획한다. 4장에서는 디자인을 위한 프로그래밍 단계로서 대상지의 설정과 그 대상지의 현황을 조사, 분석하고 공간 이용자 구성 및 구성원간의 요구 사항들에 대해서 알아본다. 5장에서는 실질적인 디자인 단계로서 목적별 공간 구성 계획 및 디자인 원리와 적용, 그리고 최종 디자인 단계를 통하여 본 연구의 목적에 맞는 새로운 개념의 학습환경(Learning Environment)으로서의 교육환경디자인 계획을 제시한다. 6장에서는 위에서 언급한 과정을 통해 나온 교육환경디자인 계획에 대한 평가를 내리고 그 과정을 통해 내린 결과와 의의를 정리한다.;Economically advanced countries have long been placing immense efforts in the reform of education policy and the educational environment to enact these policies for many years. In order to understand these reforms, we must first ask, "what has been the fundamental driving force behind these nationwide efforts?" The answer is not a complicated one. It is that these countries have wholeheartedly embraced the simple idea that our future lies in the hands of our children and that they possess an incredible strength and influence that is too often forgotten. Children are integral members of our society that will play the leading role in the change and advancement of our future society. In this regard, the educational environment and the influence it has on the perception-building of our chlidren is indeed powerful. Thus, it can be said that education by itself will determine the future of a nation which in turn has resulted in these educational environment reforms carried out by every advanced country. It is a fallacy to believe that adolescent education can be comprised merely through textbooks and the occasional stern discipline given out by teachers. Children by nature obtain their knowledge and acceptance of social norms from the environments that they encounter through their own personal experiences and from the society that they are a member of as a whole. Furthermore, amongst the various external environments and experiences that our children encounter, the educational environment is by far the largest portion in terms of time and the most influential environment of them all. Not only that, it can be said that the primary level is the most basic and representative of this thought. Whether it by personal choice or by external forces, children on average spend anywhere from four to eight hours within the walls of a primary school. Within these walls, Korea's educational environment and system have been developing at a snail pace since the input-oriented one-way education of the 70s. There have been, of course, many efforts since 1993 when education reform had become a hot topic and attempts to develop an open education system brought some change. This, however, amounted to nothing more than supplying some new educational material and tools within the same classroom format. In other words, it was by no means a complete and comprehensive educational reform that truly brought with it constructive change and development. By definition, "Open Education" should create an environment through an assortment of education resources that is focused more on learning rather than teaching, and on the needs of the student rather than the teacher. In this spirit, each student should be able to select the most optimum method of learning for themselves and thus given the opportunity to discover their own hidden abilities and interests. In Korea, there have been many attempts to establish this school of thought with disappointing results and with large amounts of criticism. The reason for this has been that Korea is still in a transition period regarding open education and the changes have been limited to partial changes in policy, textbooks, and teaching methods. It is unlikely that these half-hearted efforts will bring about the true development of Korea's educational environment. In other words, the time has come for Korea to create an educational environment that has not been built from the perspective of adults for adults, but rather from a perspective from the students. This paper studies the basic philosophy and characteristics of "Open Education" while identifying the current issues and key problems faced today. Furthermore, recommendations to resolve these problems are presented based on the steps outlined below of developing a new learning environment concept and the required educational environment design elements for that concept. Chapter 1 presents the research value of leaning environments while defining the scope and direction of the study. Chapter 2 explores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a new educational environment and the concepts and objectives behind it. The chapter further presents the methodology of open education with comparisons and analysis of different types and characteristic of space used in this form of education. Chapter 3 presents the current status and key issues of Korea's educational environment through case examples and provides a deeper analysis into potential recommendations and the implementation plan to resolve these problems. Chapter 4 explains the design programming stage that involves the selection and analysis of the current situation of the selected site and it surroundings. It further presents research on the composition of the users of the space and the needs of the users within this space. Finally, it presents the design concepts of order, organization, freedom and flexibility through a space designed to live up to the standards of true open education. Chapter 5 presents key next steps for further development of this study while summarizing key learnings through a self-evaluation of educational environment presented abov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ⅶ 1. 서론 = 1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1.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 2 2. 이론적 배경 = 3 2.1 열린교육의 개념 = 3 2.1.1 열린교육의 유래와 의미 = 3 2.1.2 열린교육의 정의 = 3 2.1.3 열린교육의 원리와 특징 = 7 2.2 열린교육의 시대적 고찰 = 13 2.2.1 철학적 배경 = 13 2.2.2 심리학적 배경 = 14 2.2.3 우리 나라 및 각 나라의 열린교육 성립배경과 특징 = 16 2.3 열린교육의 교육 환경 = 17 2.3.1 물리적 환격 = 18 2.3.2 인적 환경 = 20 2.4 열린교육의 학습체제 = 23 2.4.1 교육 목적 = 23 2.4.2 교육 방법 = 24 2.4.3 교육 평가 = 24 2.5 열린교육의 교육 방법과 공간별 유형 및 특성 = 26 3. 우리 나라 초등학교의 현황 조사 및 문제점과 대책 = 27 3.1 현재 우리 나짜 초등학교 사례조사 = 28 3.2 열린교육 방법과 그에 따르는 현 교육 환경의 문제점 = 32 4. 디자인 프로세스(Process) = 36 4.1 대상지 설정과 현황 = 37 4.2 공간 이용자 구성 및 구성원간의 요구사항 = 38 4.3 목적별 공간 구성 계획 = 40 4.3.1 학교건물 = 40 4.3.2 학교 내부 공간 = 40 4.3.3 공간 구성 계획도 = 45 4.4 디자인 개념 설정 = 45 4.4.1 디자인 개념(Concepts) = 45 4.4.2 디자인 원리 = 46 4.4.3 식재 설계원리 = 50 4.5 디자인 단계 = 54 4.6 최종 디자인 = 59 4.7 종합 및 평가 = 73 5. 결론 = 76 참고문헌 = 78 ABSTRACT = 8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906440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학습환경-
dc.subject교육환경디자인-
dc.subject열린교육-
dc.subjectLearning Environment-
dc.title학습환경(Learning Environment)으로서의 교육환경디자인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열린교육을 위한 초등학교 교육프로그램과 행태를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The) design of an educational environment as a true learning environment-
dc.format.pageviii, 83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장식미술학과환경디자인전공-
dc.date.awarded2001.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디자인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