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4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한미진-
dc.creator한미진-
dc.date.accessioned2016-08-25T06:08:39Z-
dc.date.available2016-08-25T06:08:39Z-
dc.date.issued2002-
dc.identifier.otherOAK-00000002684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169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6840-
dc.description.abstractThis relationship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fact which relates with the sleep and cognitive function, depression of elderly women to develop the nursing intervention for the sleep of elderly women, to provide the data for health promotion. The subjects of the study are 389 elderly women over 65 years in Seoul. The term of collecting data was from 18th in October to 10th in November in 2002. The instrument consisted of total 65questions. In detail, 12questions with MMSE-K are used for cognitive function examination. It is especially for Korean that Park & Kwon(1989) adjusted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by Folstein & McHugh(1975). Also, 27 questions which relates with the sleep(9 questions for aspects of sleep, questions for disturbing factors of sleep and S questions for types of sleep) was measured by the instrument adjusted by Shin(1999), This instrument was based on Honolulu Heart Program Sleep Study authorized by NIH(National Institute of Health) in USA. 15 questions with Korean SGDS instrument that Cho(1999) put GDS of Sheikh & Yesavage(1985) into Korean was used to measure depression. The data collected from the interviews were analyzed using with SAS 8.1 program a real number, percentage, average, the standard deviation, x2 test, Fisher's exact test, 1-test and ANOVA an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1.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All of the subjects were over 65 years and average age was73.33year. 140(35.01%) of the subjects were from 65years to 70years,125(31.23%) of the subjects were christian. Illiteracy and elementary school graduation took each 139(35.10%) so these two groups were occupied 278(70.2%). In the part of previous occupation 152(38.29%) among them worked in agricultural and fishing industry. As monthly income 132(33.00%) of them got under 500,000 won and less than100,000 won was 127(31.74%) of pocket money for a month. 237(59.45%) of them got the money from their children and 156(39.04%)of them resided with the family or lives alone. 141(35.26%) of them thought that condition of their health is so-so. Also 306(76.33%) of them had distress physically and BO6(51.52%) of them showed that is being taken medicine. 2. The fact which relates with the sleep of the subjects2~l. Aspects of sleep of the subjects The study showed that mean duration of sleep time was 6.82±1.82hours and mean duration of sleep latency was 54±28.2minutes, mean duration of nap time was 39.6±46.8minutes. 26.20% went to bed before 11-12 o'clock and 35.01% rose before 6-7o'clock. 35,26% took naps during the day and 71.79% got enough sleep and 60.45% regular sleep. 2-2. Disturbing factors of sleep of the subjects Urination during nighttime is showed 222(55.92%) of the disturbing factors of sleep. 179(45.09%) was for stress, 146(36.75%) was for anxiety, 123(30.98%) was due to noise from outside or without particular reason, 99(24.69%) was for pain and itching, 87(21.91%) was for afraid/fear/terror, 61(15.37%) was for noise from inside, 33(8.3%)was for persons living together, 29(7.3%) was for busy, 28(7.05%) was for taking alcohol/caffeine/beverage, 28(7.05%) was for bedroom light and 23(5.97%) was for bedroom temperature. 2-3. Types of disturbed sleep of the subjects Types of disturbed sleep of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3 types. Type Ⅰ mean insomnia, type Ⅱ mean snoring and type Ⅲ mean insomnia and snoring. In this study non disturbed sleep group occupied 68(17.09%), disturbed sleep group of the subjects occupied 330(83.12%) was type Ⅰ took 172(43.22%), type Ⅱ took 42(10.55%) and type Ⅲ took 116(29.14%). 2-4. Types of disturbed sleep followed by aspects of sleep There were the meaningful difference according to mean duration of sleep time(p<.0001), mean duration of sleep latency(p<.0001), whether or not taking naps(p=0.0085), mean duration of nap time(p=0.0068), whether or not feeling freshness when wake up(p=0.0240), whether or not takingenough sleep(p=0.0001) and whether or not taking regular sleep(p=0.0044). 2-5. Disturbing factors of sleep followed by types of disturbed sleep There were the meaningful difference according to anxiety (p=0.0098), afraid/fear/terror(p=0.0053), urination during nighttime(p=0.0151) and persons living together(p=0.0396). 3. Cognitive function of the subjects In the sum of scores, less than 19 was dementia 33(8.06%), between20 and 23 was suspicious dementia 21(5.29%), more than 24 was normal 344(86.65%). 4. The degree of Depression of the subjects Among the questions about depression, the subjects gave the most negative answer in this question, "are you in very energetic condition?" 289(72.80%) of them answered negatively in this question. 175(44.08%)of them answered negatively in the question "did you stop your previous habit or activity so much?" 171(42.93%) of them answered negatively In the question "are you feeling so often helplessness?" 5. Types of disturbed sleep followed by general characteristics There were the meaningful difference according to age(p=0.0142), type of residence together(p=0.0374), subjective health condition(p=<.0001)and part of sick body(p=0.0412). 6. Cognitive function and depression followed by general characteristics 6-1. Cognitive function followed by general characteristics There were the meaningful difference according to age(p<.0001),educational background(p<.0001), previous occupation(p<.0001), monthly income(p=0.0005), source of income(p=0.0006), type of residence together(p=0.0152), subjective health condition(p<.0001) and part of sick body(p=0.0134). 6-2. Depression followed by general characteristics There were the meaningful difference according to the educational background(p=0.0664), monthly Income(p=0.0407), pocket money for a month(p=0.0001), type of residence together(p=0.0294), subjective health condition(p<.0001), Part of sick body(p=0.0209) and medicine which isbeing taken now(p=0.0274). 7. Correlation between cognitive function and depression followed by aspects of sleep In the correlation between cognitive function and depression followed by aspects of sleep it shows that if more time need until (ailing to sleep, cognitive function would decrease little more(r=-0.1494, p=0.0428) and depression would Increase little more(r=0.1178, p=0.0188). Based on the mentioned above I'd like to propose the followings 1 Nursing Education It is necessary that disturbing factors of sleep diminish and develop nursing educational program for preventing to change cognitive function and depression due to disturbed sleep. 2. Nursing Practice Most of elderly women who have disturbing factors of sleep proved to urination during nighttime. So care should be taken in order to avoid secondary accident such as fall down. In case elderly women hospitalize, careful assessment and intervention of emotional and psychological problem is needed. 3. Nursing Research It is necessary that the researches which verify the effectiveness of sleep intervention program for elderly women in a local community and compare with this study through other elderly women in various circumstances.;최근 급속히 산업화, 도시화, 핵가족화 되어 전세계 노인 인구의 증가는 중요한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으며 노인인구 가운데 여성노인의 비율이 증가하여 노인의 문제는 곧 여성노인문제라 할 수 있다. 노인의 건강문제 가운데 수면장애는 노령화되면서 증가하게 된다. 수면은 휴식과 건강유지에 중요한 요소로 수면장애로 인해 신체적 기능저하는 우울의 증가나 인지기능저하와 같은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여성노인의 수면과 관련된 사항을 조사하고 인지기능, 우울의 정도와 관계를 파악하고 여성노인의 수면을 위한 간호중재 개발에 기초가 되고, 더 나아가 여성노인의 건강증진에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2002년 10월 18일부터 2002년 11월 10일까지 서울시내에 거주하는 여성노인을 대상으로 본 연구자와 연구 보조원 5인이 편의추출한 강남구와 송파구에 위치한 노인정, 노인대학, 공원, 사회복지관, 병원, 보건소 등을 방문하여 개별 면담을 통해 수집하였다. 본 연구의 도구는 총 65문항의 질문지로 그 세부사항은 일반적인 특성 11문항, 수면 관련 사항 27문항(수면양상 9문항, 수면장애요인 13문항, 수면장애유형 5문항), 인지기능 12문항, 우울 15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AS 8.1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실수,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를 구하였고, χ^(2) 검정법과 Fisher의 정확검증법,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로 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연령 분포는 65세 이상으로 평균연령은 73.33세로 65∼70세 미만이 140명(35.01%), 종교는 기독교 125명(31.23%), 교육정도는 무학과 초등학교졸이 각각 139명(35.10%)로 전체 278명(70.20%)으로 나타났다. 과거직업은 농수산업 152명(38,29%), 월수입은 50만원이하 132명(33.00%), 한달용돈은 10만원이하가 127명(31.74%), 수입원은 자녀에서 도움을 받는 경우가 237명(59.45%), 동거유형은 혼자와 가족과 함께 거주한다 156명(39.04%), 주관적인 건강상태는 그저 그렇다 141명(35.26%)으로 가장 많았고, 신체적 불편한 점이 있다 306명(76.33%), 복용중인 약물이 있다가 206명(51.52%)으로 나타났다. 2. 대상자의 수면과 관련된 사항 2-1. 대상자의 수면양상 평균수면시간은 6.82친.82시간, 잠들때까지의 시간은 54±28.2분이였고, 낮잠시간은 39.6±46.8분이었다. 취침시간은 오후 11-12시이전 26.20글 기상시간은 오전 6-7시전이 35.01%로 나타났고, 낮잠은 35.26%가 자는 것으로 나타났다. 54.91%에서 기상시 상쾌함을 느꼈고, 71.79%가 충분한 수면을 취한다고 응답하였으며, 60.45%가 규칙적인 수면을 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2. 대상자의 수면장애요인 수면장애요인은 밤의 소변이 222명(55.92%)로 가장 많았고, 스트레스 179명(45.09%), 걱정거리 146명(36.79%), 밖의 소음 123명(30.98%), 이유없음 123명130.98%), 통증 ·가려움 99명(24.69%), 불안 ·공포 ·두려움 87명(21.919%), 집안의 소음 61명(15.37%), 동거인 33명(8.3%), 바쁨 29명(7.3%), 술 ·카페인 ·음료섭취 28명(7.05%), 침실 조명 28명(7.05%), 침실 온도 23명(5.97%)으로 나타났다. 2-3. 대상자의 수면장애유형 수면장애유형은 불면증이 있는 경우 1유형, 코골이가 있는 경우 2유형, 불면증과 코골이 모두 있는 경우 3유형으로 분류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비수면장애군은 68명(17.09%), 수면장애군에 속하는 대상자는 330명(83.91%)로 1유형 172명(43.22%), 2유형 42명(10.55%), 3유형 116명(29.14%)이였다. 2-4. 수면양상에 따른 수면장애유형 수면양상에 따른 수면장애유형의 차이를 보면 수면양상 중 평균 수면시간(p<.0001), 잠들때까지의 시간(p<.0001), 낮잠유무(p=0.0085), 낮잠시간(p=0.0068), 기상시 상쾌함(p=0.0240), 충분한 수면(p=0.0001), 규칙적인 수면(p=0.0044)유무가 수면장애유형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2-5. 수면장애유형에 따른 수면장애요인 수면장애유형에 따른 수면장애요인 가운데 걱정거리(f=0.0098), 불만 ·공포·두려움(p=0.0053), 이유없음(p<.0001), 밤의 소변(p=0.0151), 동거인(=0.0396)은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3. 대상자의 인지기능 대상자의 MMSE-K의 점수의 분포는 총점 19점 이하는 치매(dementia) 33명(8.06%), 20점에서 23점 사이는 치매의심(suspicious dementia) 21명(5.29%), 24점 이상인 경우는 정상(normal) 344명(86.65%)으로 나타났다. 4. 대상자의 우울정도 우울에 관한 항목 중 가장 부정적인 항목은 "힘이 넘치는 상태입니까?"289명(72.80%), "전에 하던 취미생활이나 활동을 많이 중단했습니까?" 175명(44.08%), "흔히 자신이 무력하다고 느낍니까?" 171명(42.93%)으로 높은 비율을 보였고, 여성노인들은 적극적인 사회활동이나 취미생활을 하지 못하고 무기력한 나날을 보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5. 일반적 특성에 따른 수면장애유형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수면장애유형간의 차이를 보면, 연령(p=0.0142), 동거유형(p=0.0374), 주관적인 건강상태(p=<.0001), 불편한 신체부위(p=0.0412)는 두 집단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6. 일반적 특성에 따른 인지기능, 우울정도 6-1. 일반적 특성에 따른 인지기능 일반적 특성에 따른 인지기능 중 연령(p<.0001), 교육정도(p4.0001), 과거직업(p<.0001), 월수입(p=0,000郭, 한달용돈(p<.0001), 수입원(p=0.0006), 동거유형(p=0.0152), 주관적 건강상태(P<.0001), 불편한 신체부위(p=0.0134)에서 유의한 차이 가 있었다. 6-2. 일반적 특성과 우울정도 일반적 특성에 따른 우울정도 가운데 교육정도(p=0.0664), 월수입(p=0.0407), 한달용돈(p=0.0001), 동거유형(p=0.0294), 주관적 건강상태(p<.0001), 불편한 신체부위=0.0209), 현재복용약물=0.0274)은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7. 수면양상에 따른 인지기능, 우울의 상관관계 수면양상에 따른 인지기능과 우울의 상관관계에서 잠들때까지의 시간이 오래 걸릴수록 인지기능이 감소하고(r=-0.1494, p=0.0428), 우울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r=0.1178, p=0.0188) 본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1. 간호교육적 측면 본 연구의 결과에서 나타난 수면장애요인을 감소시켜, 수면장애로 인한 인지기능과 우울의 변화를 예방하기 위한 간호교육자료 개발이 필요하다. 2. 관호실무적 측면 1) 여성노인의 수면장애요인 가운데 밤의 소변이 수면장애를 일으키는 주된 신체적인 요인임을 확인하고 임상에서 낙상과 같은 밤의 소변으로 인한 이차적인 사고가 일어나지 않도록 간호계획을 세운다. 2) 여성노인의 경우 스트레스, 걱정거리, 이유없음, 불안 ·공포 ·두려움과 같은 정서적인 문제로 수면장애를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나 간호사들은 입원 노인을 대상으로 수면간호를 계획할 때 정서적인 문제에 대한 접근과 중재를 시도하고 수면장애로 인한 인지기능과 우울의 변화를 예방하기 위한 간호계획이 필요하다. 3. 간호연구적 측면 1) 본 연구는 도시지역 여성노인 이외에 다양한 여성노인을 대상으로 반복, 비교연구가 필요하다. 2) 지역사회 노인을 위한 수면중재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프로그램의 효과를 확인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ⅱ 논문개요 = ⅵ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 1 B. 연구의 목적 = 3 C. 용어정의 = 3 Ⅱ. 문헌고찰 = 8 A. 노화와 수면 = 8 B. 수면과 인지기능 = 14 C. 수면과 우울 = 16 Ⅲ. 연구방법 = 19 A. 연구설계 = 19 B. 연구대상 = 19 C. 연구도구 = 20 D. 자료수집방법 및 절차 = 23 E. 자료분석방법 = 24 F. 연구자의 윤리적 측면 = 24 Ⅳ. 연구결과 및 논의 = 25 A.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 25 B. 대상자의 수면과 관련된 사항 = 29 B-1. 대상자의 수면양상 = 29 B-2. 대상자의 수면장애요인 = 32 B-3. 대상자의 수면장애유형 = 35 B-4. 수면양상에 따른 수면장애유형 = 37 B-5. 수면장애유형에 따른 수면장애요인 = 40 C. 대상자의 인지기능 = 42 D. 대상자의 우울정도 = 43 E. 일반적 특성에 따른 수면장애유형 = 45 F. 일반적 특성에 따른 인지기능, 우울정도 = 49 G. 수면양상에 따른 인지기능, 우울의 상관관계 = 56 M. 연구의 제한점 = 57 Ⅴ. 결론 및 제언 = 58 참고문헌 = 64 연구 참여 동의서 = 74 ABSTRACT = 8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93320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여성노인-
dc.subject수면-
dc.subject인지기능-
dc.subject우울-
dc.title여성노인의 수면과 인지기능, 우울의 관계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relationship study between sleep and cognitive function, depression of Elderly Women-
dc.format.pagexi, 89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간호과학과-
dc.date.awarded2003.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