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68 Download: 0

아울렛이용소비자의 점포추구혜택에 따른 의복구매행동에 관한 연구

Title
아울렛이용소비자의 점포추구혜택에 따른 의복구매행동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Clothing Purchasing Behavior by Store Pursuing Benefits of Outlet Users
Authors
박주형
Issue Date
2002
Department/Major
대학원 의류직물학과
Keywords
아울렛이용소비자점포추구혜택의복구매행동Outlet Users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This study is attempted to examine a position of domestic outlet stores in many-sided aspects by analyzing features of clothing purchase for the female outlet consumers, to materialize consumers by store pursuing benefits, to research clothes pursuing benefits of each group and their relations between satisfaction at outlet stores and satisfaction, to minimize dissatisfaction and maximize satisfaction, and ultimately to suggest useful information for establishment of marketing strategies to satisfy consumers' various demands. The research subjects of this study were defined as follows. First, this study is to look into the level of store pursuing benefits that outlet users pursue in using outlet stores, and to materialize users by groups on the basis of the results and to examine features of groups. Second, this study is to understand clothing purchasing benefits, satisfaction at stores, and satisfaction at clothes by groups according to users' store pursuing benefits. Third,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relations between clothing pursuing behavior by groups and demographic factors according to users' store pursuing benefits. The subject of this study were female consumers experienced in purchasing clothes in outlet stores, which are located in Munjeong-dong and Guro 2nd industrial complex and show the highest purchasing power, sales, and growth rate in Seoul. For data collection, first, the researcher performed the Focus Group Interview for 5 female twenties experienced in purchasing clothes in outlet stores to understand their basic features of clothing purchasing behavior in outlet stores. Then, the researcher organized questionnaire with several modifications and supplements on the basis of literatures and previous studies. For survey, the researcher performed the questionnaire for 520 women experienced in purchasing clothes in outlet stores and the collected 500 questionnaires were used to analyze date.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with SPSS Package. Reliability testing, frequency analysis, analysis of variance, factor analysis, cluster analysis, 2-test, Pearson product moment correlation analysis, ANOVA and Duncan's Multiple Range Test were performed.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outlet users' store pursuing benefits was divided into 6 factors; pursuit of store's mood, pursuit of products' vogue and variety, pursuit of service, pursuit of product quality, pursuit of location's convenience, and pursuit of price. Second, as a result of cluster analysis of clothes consuming groups with the above 6 factors, the researcher materialized consumers into three groups - product pursuing group, store convenience group, and price pursuing group. Third, outlet users' clothing pursuing benefits was divided into 6 factors; style and brand, suitability and variety, quality and durability, practicability, following of other people, Fourth, with respect to clothing pursuing benefits by store pursing benefit groups, it was shown that the product value pursuing group regarded suitability and variety, style and brand, following of other people and sales promotion as important, the store convenience pursuing group took suitability and variety, practicability, and quality and durability seriously, and the price pursuing group thought much of suitability and variety of products whereas the group showed low marks in other factors. Fifth, outlet users' satisfaction at outlet store was divided into 5 factors; product quality and vogue, mood, service, location convenience, and price. Sixth, with respect to the satisfaction at stores by store pursuing benefits, it was shown that the product value pursuing group was dissatisfied in all factors except for service factor, the store's convenience pursuing group was satisfied with location convenience and price factor highly. And, the price pursuing group was satisfied with price, product quality, and vogue greatly. Seventh, outlet users' satisfaction at clothes was divided into 5 factors; vogue and style, quality and durability, practicability, suitability and variety, and sales promotion. Eighth, with respect to the satisfaction at clothes by store pursuing benefits, the product value pursuing group was satisfied with sales promotion factor highly and dissatisfied with vogue and durability compared to other groups. The store's convenience pursuing group was dissatisfied with sales promotion greatly, and vogue and style moderately. The price pursuing group was satisfied with vogue and style hig1y and dissatisfied with sales promotion. Ninth, with respect to the clothing purchasing behavior by store pursuing benefits groups, it was found that users in all groups walked about shops or clothing stores to gain purchasing information greatly. Concerning purchasing frequency, the product value pursuing group and store convenience pursuing group were once per 1 or 2 months and once per 2 or 3 months, whereas the price pursuing group was once per 1 or 2 months and 1 or more times per a month. It was revealed that, concerning monthly clothing expenditures, the product value pursuing group and store's convenience Pursuing group were 150,000 won ∼ 300,000 won mostly, while the price pursuing group spent up to 10O,000 won in purchasing clothes mostly. For purchasing time, the product value pursuing group and price pursuing group purchased clothes in afternoon, evening, and any time in order, whereas the store's convenience group purchased clothes in evening, afternoon, and any time in order. With respect to average purchasing amount per once in shopping in outlet stores, the product value pursuing group was 100,000 ∼ 200,000 won, store's convenience pursuing group was under 100,000 won, and price pursuing group was under 100,000 at the highest rate. For purchasing places, all groups used department stores, outlet stores. and discount stores in order.;본 연구에서는 아울렛이용 여성소비자를 대상으로 점포 및 의복행동특성에 대해 분석함으로써 국내 아울렛 점포의 위치를 다각적으로 조명해보고, 점포추구혜택에 따른 소비자를 유형화하여 각 집단의 의복추구혜택, 그리고 아울렛의 점포 · 의복에 대한 만족도와의 관계를 밝혀 불만족을 최소화하고 만족을 최대화시킴으로써 보다 더 다양한 소비자의 요구를 충족시켜줄 수 있는 마케팅 전략 수립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아울렛 이용소비자의 아울렛 이용시 추구하는 점포추구혜택차원을 밝히고, 이를 기준으로 이용소비자를 집단별로 유형화하고 집단간의 특성을 알아본다. 둘째, 아울렛 이용시 추구하는 점포추구혜택에 따른 집단별 의복추구혜택과 점포· 의복만족도에 대해 알아본다. 셋째, 아울렛 이용시 추구하는 점포추구혜택에 따른 집단별 의복구매행동과 인구통계적 변인과의 관계를 알아본다. 본 연구의 대상으로 서울에서 구매력, 매출, 성장률이 가장 큰 문정동과 구로2공단에 위치한 아울랫점포에서 의류를 구매하고 있는 여성소비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수집은 일차적으로 아울렛에서 의류구매 경험이 있는 20대 여성 5명을 대상으로 Focus Croup Interview를 실시하여, 아울렛의 의복구매행동에 관한 기본 특성을 파악하고, 문헌과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연구자가 수정 ·보완하여 설문지를 만들었고, 본 조사는 아울렛에서 의류구매 경험이 있는 여성 52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법을 실시하여 최종 500부를 분석자료로 사용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SPSS Package를 이용하여 신뢰도 검증, 빈도분석, 분산분석, 요인분석, 군집분석, χ^(2)-test, Pearson 적률상관분석, ANOYA와 Duncan's Multiple Range Test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울렛 이용소비자의 점포추구혜택은 점포분위기추구, 제품유행성 및 다양성 추구, 서비스추구, 제품품질추구, 입지편의추구, 가격추구의 6요인이 추출되었다. 둘째, 아울렛 이용소비자의 점포추구혜택 6요인으로 의복소비집단을 군집분석 한 결과, 제품추구 소비자 집단, 점포편의 소비자 집단, 가격추구 소비자 집단의 3집단으로 유형화하였다. 셋째, 아울렛 이용소비자의 점포만족도는 제품품질 및 유행성, 분위기, 서비스 입지편의, 가격의 5개 요인이 추출되었다. 넷째, 점포추구혜택집단에 따른 점포만족도는 제품가치추구집단은 서비스속성을 제외한 모든 요인에서 불만족한 것으로 나타났고, 점포편의추구집단은 입지편의, 가격요인에서 가장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격중시집단은 가격과 제품의 품질 및 유행성에서 가장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아울렛 이용소비자의 의복추구혜택은 스타일 및 브랜드, 적합성 및 다양성 , 품질 및 내구성, 실용성, 타인지향의 5요인이 추출되었다. 여섯째, 점포추구혜택집단에 따른 의복추구혜택을 보면 먼저 제품가치추구집단은 적합성 및 다양성요인, 스타일 및 브랜드, 타인지향 요인을 가장 중요시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점포편의추구집단은 적합성 및 다양성, 실용성, 품질 및 내구성을 가장 중요시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가격추구집단은 다른 속성은 모두 낮은 점수를 보이며, 제품의 적합성과 다양성을 가장 중요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아울렛 이용소비자의 의복만족도는 유행 및 스타일, 품질 및 내구성, 실용성, 적합성 및 다양성, 판매촉진의 5요인이 추출되었다. 여덟째, 점포추구혜택집단에 따른 의복만족도에서 먼저 제품가치추구집단은 판매촉진 요인에서 가장 만족하였고, 다른 집단에 비해 유행 및 내구성에서 가장 불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점포편의추구집단은 판매촉진에서 가장 불만족하였으며, 유행 및 스타일은 보통으로 나타났다. 가격추구집단은 유행 및 스타일에서 가장 만족하였고, 판매촉진에서 만족도가 낮았다. 아홉번째, 점포추구혜택집단에 따른 의복구매행동을 살펴보면, 먼저 정보원은 모든 집단에서 매장이나 의류상점을 돌아다니다가 구매 정보를 가장 많이 얻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매횟수는 제품가치추구집단과 점포편의추구집단은 1∼2회에 1회, 2∼3달에 1회의 순으로 나타났고, 가격추구집단은 1-2달에 1회, 1달에 1회이상으로 나타났다. 월평균의복지출비는 제품가치추구, 점포편의추구집단에서는 15만원이상 30만원 미만의 가격대의 제품을 많이 구매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에 비해 가격중시집단에서는 10만원 미만의 가격대의 제품을 주로 구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매시간대의 경우 제품가치추구집단과 가격중시집단은 오후, 저녁 시간대, 시간에 상관없음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점포편의집단은 저녁시간대, 오후, 시간에 상관없음의 순으로 나타났다. 아울렛 쇼핑시 1회 평균구매금액은 제품가치추구집단에서는 10만원 이상 20만원 미만, 점포편의추구집단은 10만원 이하, 가격추구집단은 10만원 이하가 가장 높은 비율로 나타났다. 구매처를 살펴본 결과, 모든 집단에서 1순위로 백화점을 주로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2순위, 3순위로는 아울렛·유명상표상설할인점을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제품가치추구집단은 1순위로 백화점, 2,3순위로 아울렛·유명상표상설할인점, 동대문시장을 주로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점포편의집단은 1순위로 백화점, 2,3순위로 동대문, 아울렛 유명상표상설할인점, 양품 보세 시장을 주로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가격중시집단은 1순위로 백화점을, 2,3순위로 아울렛·유명상표상설할인점, 동대문시장을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의류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