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9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방수경-
dc.creator방수경-
dc.date.accessioned2016-08-25T06:08:39Z-
dc.date.available2016-08-25T06:08:39Z-
dc.date.issued2002-
dc.identifier.otherOAK-000000026835-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169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6835-
dc.description.abstractA tendency to pursue total fashion caused by the consumer's higher fashion mind required active developments of total fashion products and which increased the importance of fashion accessory. Market scale of shoes and handbags, which are necessary to complete fashion style, is larger than that of other products of fashion accessories. Recently, as consumer's desire is setting varied, distinctive products are required at our shoes and handbags industry. Shoes and handbags business has come to be very competitive by the appearance of new distribution channels with opening the distribution market and by the diversification of existing market. Therefore understanding consumer's behavior of shoes and handbags is necessary to deal with the extreme change of enterprise environments for example the change of consumer's consciousness structure and purchasing behavior pattern. Most of alt understanding the consumer is very important because social-psychological utility of the fashion products is more influential purchasing factor than functional utility. So tha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the basic data which could help marketers to set up a marketing strategy such as price, brand, distribution through the improvement of marketers understanding shoes and handbags consumer's purchasing behavior and strategy, and positioning for target consumers. This study was conducted 1) to analyze the purchasing behavior according to the consumer's demographic variables of each fashion accessory item, 2) to analyze the purchasing behavior according to the consumer's sore patronage type of each fashion accessory item. A questionnaire was developed and data were collected from 600 adult women living in Seoul by convenience sampling. All questionnaires were edited, and those with incomplete or unlikely responses were deleted resulting in 508 usable questionnaires. The statistics used for the data analysis were factor analysis, frequency analysis, percentage, χ^(-2)-test, ANOVA, Duncan-test by the SPSS Windows 10.0.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store attribute dimensions of fashion accessory were 'atmosphere and service' factor, 'price' factor, 'diversity and fashionability' factor, and 'approachability and location' factor. Entirely 'variety and fashionability' factor was regarded as the most important factor. Second, in terms of the important degree of store attributes according to the age, significant differences in 'approachability and location' factor were found through shoes consumers and significant differences in 'atmosphere and service' factor, and 'price' factor were found through handbags consumers. In terms of the important degree of product attributes according to the age, significant differences in 'design', 'kind and quality of material', 'sewing and gluing condition', 'comfort' and 'weight' attributes were found through shoes consumers and significant differences in 'design', 'sewing and gluing condition', 'shape and color preservation', and 'weight' attributes were found through handbags consumers. Also according to the age,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ource of information' and 'purchasing price' for shoes consumers, a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ource of information' for handbags consumers. Third, in terms of the important degree of store attributes according to the monthly average income, significant differences in 'atmosphere and service' factor, were found through both shoes and handbags consumers. In terms of the important degree of product attributes according to the monthly average income, significant differences in 'brand', and 'elegance' attributes were found through shoes consumers and significant differences in 'kind and quality of material', 'fashion sense', 'sewing and gluing condition', 'price', 'brand' and 'elegance' attributes were found through handbags consumers. Also according to the age,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purchasing frequency' and 'purchasing price' for shoes consumers, a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purchasing price' for handbags consumers. Forth, in terms of the important degree of store attributes according to the place of residence, significant differences in 'approachability and location' factor were found through shoes consumers and significant differences in 'diversity and fashion ability' factor and 'approachability and location' factor through handbags consumers. In terms of the important degree of product attributes according to the place of residence, significant differences in 'fashion sense', 'comfort' and 'brand' attributes were found through shoes consumers. Fifth, in terms of the important degree of store attributes according to the fashion accessory consumer's store typ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store patronage groups in 'atmosphere and service' factor, 'price' factor and 'approachability and location' factor were found through shoes consumers and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store patronage groups in all factors such as 'atmosphere and service' factor, 'price' factor, 'approachability and location' factor and 'diversity and fashion ability' factor were found through handbags consumers. Sixth, in terms of the important degree of product attributes according to the fashion accessory consumer's store typ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store patronage groups in 'kind and quality of material', 'price', 'comfort' and 'brand' attributes were found through shoes consumers and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store patronage groups in 'price', 'weight', and 'brand' attributes were found through handbags consumers. Seventh, according to the fashion accessory consumer's store patronage type, significant differences in 'purchasing price' were found through both shoes and handbags consumers. Eighth, according to the fashion accessory consumer's store patronage type, significant differences in 'age', 'married or unmarried', 'job', and 'academic background' were found through both shoes and handbags consumers.;소비자의 패션의식이 고조됨으로 인한 토탈 패션의 추구는 패션 산업에 대해 토탈 패션 상품의 활발한 전개를 요구하게 되었고, 이에 따라 패션잡화 시장의 중요성이 증대되었고, 이러한 패션잡화의 다양한 품목 가운데 패션연출의 완성도를 높이는데 필수적인 품목으로 구두와 핸드백이 차지하는 시장 규모는 매우 크다. 현재 우리나라 구두와 핸드백 업계는 소비자의 욕구가 점점 다양해짐으로 인해 차별화된 제품을 요구하고 있으며, 유통시장의 개방으로 인한 새로운 유통업태의 등장과 기존 시장의 다각화로 인해 구두와 핸드백 업체의 경쟁은 더욱 치열해 졌다. 이와 같은 소비자 의식구조와 구매행동 양식의 변화 등에 대처하기 위해 업계는 구두와 핸드백 소비자의 행동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게 되었다. 특히 패션 상품의 구매에는 제품의 사회심리적 효용이 제품의 기능적 효용성보다 강한 영향력을 끼치기 때문에 소비자에 대한 이해가 더욱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마케터에게 구두와 핸드백 소비자의 구매행동에 대한 다각적인 이해를 향상시키고자 하며, 목표 고객에 대한 가격 및 상표, 유통 전략, 그리고 포지셔닝 전략 둥 전반적인 마케팅 전략 수립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패션잡화 품목별 소비자의 인구통계학적 변인에 따른 구해행동을 알아본다. 둘째, 패션잡화 품목별 소비자의 애고점포유형에 따른 구매행동을 알아본다. 본 연구의 연구 대상으로 서울시에서 주로 생활하는 18세 이상의 성인여성 600명을 편의 추출하여 무성의한 응답을 제외한 508명의 자료를 분석대상으로 하였으며, 연구 방법은 이론적 고찰과 기초조사와 예비조사 및 본조사를 통해 설문지법을 이용하여 자료수집을 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SPSS Windows 10.0을 이용하여 요인분석, 빈도분석, 백분율, χ^(2)-test, 분산분석, 집단간 다중비교(Duncantest)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패션잡화의 점포 속성 차원은 '분위기 및 서비스' 요인, '가격' 요인, '다양성 및 유행성' 요인, '편이성' 요인으로 총 4 요인으로 추출되었으며, 전체적으로 구두와 핸드백의 점포 선택 시 다양성 및 유행성 요인을 가장 중요하게 평가했다. 둘째, 패션잡화 품목별 소비자의 연령에 따른 구매행동의 차이는 점포속성 중요도에 있어 구두는 편이성 요인에서, 핸드백은 분위기 및 서비스 요인과 가격 요인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제품속성 중요도는 구두는 디자인, 소재의 종류와 질, 바느질 및 접착상태, 편안함 무게의 속성에서, 핸드백은 디자인, 바느질 및 접착상태, 형태 및 색상 유지, 무게의 속성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또한 구두는 정보원과 구매가격, 핸드백은 정보원에서 연령 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패션잡화 품목별 소비자의 월평균 가계소득에 따른 구매행동의 차이는 점포속성 중요도에 있어 구두와 핸드백 모두 분위기 및 서비스 요인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고, 제품속성 중요도에 있어 구두는 상표와 품위 속성에서, 핸드백은 소계의 종류와 질, 유행감각, 바느질 및 접착상태, 가격, 상표, 품위의 속성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또한 구두는 구매회수와 구매가격에서, 핸드백은 구매가격에서 월평균 가계소득 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넷째, 패션잡화 품목별 소비자의 거주지에 따른 구매행동의 차이는 구두에 있어 점포속성 중요도는 편이성 요인에서, 핸드백은 다양성 및 유행성 요인, 편이성 요인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고, 제품속성 중요도에서 구두는 유행감각, 편안함, 상표 속성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다섯째, 패션잡화 소비자의 애고점포유형에 따른 점포속성 중요도의 차이는 구두에 있어 분위기 및 서비스 요인, 가격 요인, 편이성 요인에서 점포 애고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백화점 국내상표매장과 국내유명상표 노면점 애고 집단은 분위기 및 서비스요인을, 백화점 행사매장과 일반보세상표매장, 도매 및 재래시장 애고 집단은 가격 요인을 다른 집단에 비해 중요하게 평가하였으며, 도매 및 재래시장 애고 집단은 편이성을 다른 집단보다 중요하지 않게 평가하였다. 핸드백에 있어 모든 요인에 대해 점포 애고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고급수입상표 매장과 백화점 국내상표매장 애고 집단은 다양성 및 유행성 요인과 분위기 및 서비스 요인을 중요하게 평가하였다. 백화점 행사매장, 일반보세상표매장, 도매 및 재래시장 애고 집단은 가격을 중요하게 평가하였다. 여섯째, 패션잡화 소비자의 애고점포유형에 따른 제품속성 중요도의 차이는 구두에 있어 소재의 종류와 질, 가격, 편안함, 상표 속성에 대해 점포 애고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핸드백에 있어 가격, 무게, 상표 속성에 대해 점포 애고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일곱째, 패션잡화 소비자의 애고점포유형에 따른 정보원, 구매회수, 구매가격에 대해 알아본 결과 구두와 핸드백 모두 제품 구매 가격에서 집단 간 차이가 나타났다. 여덟째, 패션잡화 소비자의 애고점포유형에 따른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라 알아본 결과 구두와 핸드백 모두 연령, 결혼여부, 직업, 학력에서 집단 간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ⅰ Ⅰ. 서론 = 1 A. 연구의 의의 = 1 B. 연구목적 = 3 Ⅱ. 이론적 배경 = 4 A. 패션잡화에 대한 고찰 = 4 1. 구두 및 핸드백의 제품특성 = 4 2. 구두 및 핸드백의 시장 현황 = 6 3. 구두 및 핸드백 관련 선행연구 = 11 B. 소비자 구매행동의 영향 변인 = 15 1. 소비자 구매행동의 개념 = 15 2. 점포속성 = 17 3. 제품속성 = 22 3. 소비자 특성 = 26 Ⅲ. 연구방법 및 절차 = 28 A. 연구문제 및 용어의 정의 = 28 B.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 = 29 C. 측정도구 및 절차 = 30 D. 자료분석방법 = 34 Ⅳ. 결과 및 논의 = 35 A. 패션잡화 품목별 소비자의 인구통계학적 변인에 따른 구매행동 분석 = 35 1. 패션잡화 품목별 소비자의 점포속성 중요도의 차이 = 35 2. 구두 소비자의 인구통계학적 변인에 따른 구매행동 분석 = 39 2. 핸드핵 소비자의 인구통계학적 변인에 따른 구매행동 분석 = 53 B. 패션잡화 품목별 소터자의 애고점포유형에 따른 구매행동 분석 = 65 1. 구두 소비자의 애고점포유형에 따른 구매행동 분석 = 65 2. 핸드백 소비자의 애고점포유형에 따른 구매행동 분석 = 74 Ⅴ. 결론 및 제언 = 82 A. 결론 = 82 B. 제한점 및 제언 = 91 참고문헌 = 92 부록 = 100 ABSTRACT = 10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504871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패션잡화-
dc.subject소비자-
dc.subject구매행동-
dc.subject여성 구두-
dc.title패션잡화 소비자의 구매행동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여성 구두와 핸드백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 Study on Fashion Accessory Consumer's Purchasing Behavior : Focusing on Women's Shoes and Handbags-
dc.format.pagevii, 109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의류직물학과-
dc.date.awarded2003.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의류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