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3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현경-
dc.creator김현경-
dc.date.accessioned2016-08-25T06:08:37Z-
dc.date.available2016-08-25T06:08:37Z-
dc.date.issued2003-
dc.identifier.otherOAK-00000002909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168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9090-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1990년대 이후 한국 사회에서 개인성을 실현할 수 있는 핵심적인 영역으로 떠오른 연애 경험을 통해 여성들이 형성해 가고 있는 새로운 여성 주체성의 내용과 의미를, 대학이라는 공적 교육 기관에 진입해 있는 여성들의 경험을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 시도이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여성들이 연예 관계에서 느끼는 힘과 자신감을 표현하면서 여성을 사적 존재로 규정하였던 연애, 결혼, 성의 통합을 다르게 만들어가고 있는 현상에 대해 여성학적 관점에서 어떠한 재검토가 필요한지를 드러내고자 한다. 즉 본 연구는 일상과 관계맺음을 프로젝트화하게 만드는 사회적 변화와 공적 영역으로 진입하는 젊은 여성들의 삶의 과정 변화, 여기에서 가능한 여성 행위성을 어떻게 페미니즘적으로 문제화할 것인가를 고민해 보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본 연구는 이러한 연애 경험을 통해 재구조화되고 있는 친밀 관계 속에서 문화 자원과 문화적 경험을 기준으로 형성되는 남성과 여성간의 차이, 여성들간의 차이를 살펴봄으로써 여성들의 행위성이 어떠한 방향으로 나아갈 것인지를 고민하고 페미니즘이 구체적으로 어떠한 지점에 개입할 수 있을지를 드러내고자 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대학 문화를 충분히 경험하고, 연애와 결혼, 취업에 대한 고민을 하기 되는 4년제 대학 고학년 여성들을 주된 연구 대상으로 하여, 이들의 경험을 심층 면접을 통해 분석하였다. 또한 같은 학년대의 남성들과 1980년대 대학생이었던 여성들의 경험, 각종 대중 매체 자료를 보조 자료로서 참고하였다. 본 연구의 내용 및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해, 여성들이 연애를 결혼으로 가는 자연스러운 과정이 아니라 관계 자체를 위한 계획과 노력이 필요하고 과정에 목적을 둔 일종의 프로젝트로서 경험하게 되는 것은 후기 근대라는 시대적 조건 하에서 증가하는 삶의 불확실성, 여성 삶의 기회의 증가라는 사회적 변화에서 가능한 것이다. 이 때 글로벌화되는 소비 대중 문화와 또래 집단은 프로젝트로서의 연애에 대한 구체적인 이미지와 언어를 제공하는 문화적 기제가 된다. 둘째, 프로젝트로서의 연애에 대한 여성들의 욕망은 연애를 세분화된 과정으로 이루어진 이벤트의 연속으로 만드는 소비 문화 속에서 더욱 구체화 된다. 로맨스를 매뉴얼로 남성성과 여성성을 유희하는 형태로 연행하게 되는 연예 관계에서 여성들은 특정 코드를 유희할 수 있는 스타일로 외모 중심의 남성성을 욕망하게 되고 의식적으로 여성성을 연출하는 경험을 통해 자아를 발견/확장하는 경험을 하고 있다. 연애 관계를 발전시켜가는 과정에서 필요한 이벤트로서 경험되는 성은 여성들의 이러한 자아 인식을 강화한다. 셋째 이와 같은 연애 경험의 변화에도 불구하고 대학생 시절 경제적으로 독립하는 경험을 하지 않은 여성들은 계급적 기반으로서의 결혼의 의미를 수용하고 있다. 이 때 연애 관계에서 쾌락과 주체성으로 의미화된 성경험은 관계의 경계를 넘어서는 지점에서는 다르게 의미화되기도 한다. 넷째, 이러한 연애 관계에 대한 지식과 욕망을 가능하게 하는 문화자원과 자원적 경험의 차이로 인해 남성과 여성의 차이는 심화된다. 또한 여성들 사이에서도 스스로를 차별화된 존재로 여기는 기제가 다양해지고 있다. 여성들은 이러한 경험을 통하여 연애, 결혼, 성이 개별적인 사건임을 알아 가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계급적 기반으로서의 결혼을 포기하기 어려운이들 여성들의 특정한 배경은 연애 경험을 통해 증대된 자의식과 행위성이 어떤 방향으로 나아갈 것인가를 질문하게 한다. 페미니즘적 관점에서 이에 대한 구체적인 개입은 첫째, 한국 사회 남성성의 형성을 보다 구체적이고 비판적으로 드러내는 작업과 이를 통해 더욱 갈등적인 양상을 띠게 될 남녀관계에 대한 탐구, 둘째, 여성을 둘러싼 삶의 변화와 여성 주체 구성에 대한 다른 의제설정, 셋째, 젊은 여성들의 증가하는 삶에 대한 기대와 이에 못 미치는 현실의 거리에 대한 페미니즘적 성찰과 전략이라는 측면에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This study is to examine the feminist implication of women subjectivities that women have been making through Yeon-ae' experiences which have been generalize as an important field form individuality, especially focusing on women university students experiences. It seems that women have been making the natural process of love/marriage/sexuality in a different way through expressing pride and power in 'Yeon-ae' experiences This study is to consider feminist reexamination about this phenomenon In other words,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social transformations and women's agency can be problemized in a feminist way. Examining men and women differences and women's differences because of culture resources and cultural experiences in restructuring intimate relationships through 'Yeon-ae' experiences,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women's agency will be directed and in which position feminism can participate in. The main research technique used for this study is the depth-interview of women university students who have been experiencing university culture and considering 'Yeon-ae', marriage and job And as supplementary materials, this study referred men university students' 'Yeon-ae' experiences, women university students' experiences in 1980's and the materials dealing with related issues in printing and visual media.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nsecurity of life and higher-educated women's growing opportunities under conditions of late modem age make women's 'Yeon-ae' experiences as not the natural process for marriage but the project which need to be planned and tried for the relationship and focused on process of the relationship. Popular culture of consumption which has been globalized and peer groups have become cultural apparatuses that supply specific languages and images for 'Yeon-ae' as a project. Second, women's desire for 'Yeon-ae' as a project is constructed more specifically in consumer culture, which makes 'Yeon-ae' as a process of events Women are experiencing a kind of feminity performance based on romance scripts. Women desire maleness focused on appearance and style in this relationship And they are experiencing enlargement of their own self-identity Sexuality as a kind of an event in 'Yeon-ae' relationship can grow this self-identity Third, in spite of this 'Yeon-ae' experiences, women university students accept the class-based marriage. They don't experience independence economically while they are students. They signify their sex experiences in a different way beyond a boundary of 'Yeon-ae' relationship. Forth, because of differences of culture resources and cultural experiences which make desire and knowledge of the relationships, men and women's differences have become intense. And cultural apparatuses of distinction among women also have become diversified. Women have been understanding that 'Yeon-ae', marriage and sexuality can be different cases through this kind of 'Yeon-ae' experiences. Yet direction of women's agency is a difficult problem because they can't give up the class-based marriage easily. Therefore, feminist position on this phenomenon can be suggested as follows First, examining on making of Korean maleness in a more specific and contextual field and differences between men and women are essential to see women's agency in the relationship with men Second new agenda for transformation of women's lives and construction of women subjectivities is needed. Third, feminist reflectivility and strategies on distance between women's growing desire of their own lives and reality which they should face are also essential.-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ⅲ Ⅰ. 서론 = 1 A. 문제제기 및 연구목적 = 1 B. 연구과정 및 연구방법 = 6 Ⅱ. 이론적 배경 = 11 A. 근대 사적 영역의 제도화에 대한 페미니즘의 비판 = 11 1. '낭만적 사랑'의 이데올로기와 '성의 각본' = 11 2. 제도로서의 이성애 비판 = 17 B. 후기 근대 사회의 관계성에 관한 연구 = 20 C. 분석틀 = 24 1. 연애 = 24 2. 연애 각본 = 25 3. 프로젝트(project)로서의 연애 = 25 Ⅲ. 여대생의 일상과 연애 = 27 A. 변화하는 한국 대학 사회와 개인의 등장 = 27 1. 집합적 주체에서 다중적 정체성으로 = 27 2. 여대생 주체 형성 과정의 변화 = 33 B. 준거틀로서의 소비 대중 문화 = 39 1. 글로벌 소비 대중 매체를 통한 연애의 지식화 = 39 2. 성적 주체성과 자아 의식 = 44 C. 연애 공동 기획자인 또래 친구들 = 49 1. 또래 집단을 통해 유지되는 연애 관계 = 49 2. 집단적인 성 지식의 획득 = 54 Ⅳ. 연애 프로젝트의 구성 요소 = 59 A. 산업화/이벤트화되는 연애 과정 = 59 1. 연애 매뉴얼로서의 로맨스 = 59 2. 연애 과정의 이벤트로서의 성 (性) = 66 B. 연애 연행을 위해 연출되는 성별성 = 73 1. 스타일로 재구성되는 남성성 = 73 2. 자아연출력으로서의 여성성의 연기 = 79 C. 자아정체성 프로젝트로서의 '관계' = 84 1. 사회적 교류와 협상권의 훈련 = 84 2. '관계'를 통한 자아 발견 = 91 Ⅴ. 연애 경험을 통해 재구조화되는 친밀 관계 = 98 A. 계급적 기반으로서의 결혼의 의미 수용 = 98 1. 가족 의존적인 소비 주체의 전략 = 98 2. 결혼과 결부된 성의 의미 변화 = 106 B. 연애의 여성화 = 109 1. 남성과 여성의 차이 심화 = 109 2. 여성들간의 차이 심화 = 113 Ⅵ. 결론 및 종합논의 = 117 참고문헌 = 121 ABSTRACT = 13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924247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프로젝트-
dc.subject연애-
dc.subject여성 주체성-
dc.subject여성학-
dc.title프로젝트로서의 '연애'와 여성 주체성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여자 대학생의 경험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 Study on Women's Experiences of 'Yeon-ae' as a Project and Women Subjectibities : With a Focus on Women University Subhectivities : With a Focus on Women University Students-
dc.format.pageiv, 132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여성학과-
dc.date.awarded2003.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여성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