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72 Download: 0

음주운전 수강명령교육 대상자들의 변화동기와 변화전략에 관한 연구

Title
음주운전 수강명령교육 대상자들의 변화동기와 변화전략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STUDY ON THE MORIVATION AND STRATEGY FOR CHANGE OF PARTICIPANTS IN DRUNKEN DRIVING OFFENDER'S PROGRAM
Authors
박은경
Issue Date
2003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Keywords
음주운전수강명령교육변화동기변화전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nfluence on motivation and strategy for change of participants in court-ordered drunken driving offender's program. And the other purpose is to expand the interest on alcoholics to problem drinker and to enhance intervention on court-ordered problem drink population by social worker. Traditional definition of alcohol problem which is limited in medical diagnosis enlarges to the broad definition which includes social problem because of increasing of alcohol related social problem and social economic damage. Problematic alcohol use is related to many social problem issues such as poverty, child abuse, drug abuse, crime, homelessness, delinquent. Therefore, it needs diverse study on problem drinker. Also Motivation is thought to play an important role in making the decision to change one's alcohol use and/or in seeking help. But previous study do not seem to interest to court-ordered drunken drivers as problem drinker population and their motivation as a non-voluntary clients. This study narrows the idea down into the research question. The research questions examined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Druken driving offender's program effects on shift of motivation stage for change? Drunken driving offender's program effects on using of strategy for change? Is there difference in using of strategy for change according to the motivation stage for change? The samples were 34 adult participants of drunken driving offender's program during two periods. The study employed single-subject design in examine the level of readiness and strategy for chang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cs, t-test, One-way ANOVA by SPSS PC^(+) 10.0. The summary of the result is as follows: 1. In terms of the motivation stage for change, most subjects shows in action stage, which means doing something for change, in pre-test and that result maintained to post-test. The shift of motivation stage was not significant, but the mean of each stage increase in post-test than in pretest. 2. In terms of the strategy for change, the mean of all category increased specially in reinforcement management, life management, crisis management information searching significantly. 3. According to motivation stage for change, there is significant difference in consciousness raising, cognitive evaluation, expression of negative emotion to effects of alcohol, effort to alternatives. 4. The completion group shows higher mark than failure group both of motivation and strategy for change. It suggest that participants having lower motivation have a tendency to be fail or non participate easily. Several suggestion for clinical practice and system improvement: Providing appropriate intervention considering motivation stage for change, improving the program focusing on reform of the consciousness, arrangement of administrative measure of sanction for failure, providing community based system of coordinated care, expansion of commissional offender's program to professional non-profit organization.;한 개인의 음주는 개인의 문제일 뿐 아니라 가족, 지역사회, 사회 전반에 음주와 관련된 문제를 양산하며 음주문제 관련 비용은 매년 증가하고 있는 추세에 있다. 이러한 이유로 기존의 병리적 측면에 국한된 문제음주에 대한 정의는 점차 사회적 측면의 문제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확장되어 왔다. 사회복지 실천 현장에서 빈곤, 가정폭력, 아동학대, 약물남용, 비행, 범죄 및 노숙 등의 문제들이 다양한 정도의 문제성 음주행동(problematic alcohol use)과 연관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렇듯 다양한 범주의 문제음주자들이 존재하며 이들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음주운전 수강명령자도 다양한 문제음주자의 한 범주로 고위험군인 동시에 법정에서 의뢰된 클라이언트로 사회복지전문직의 개입이 필요하나 이들에 대한 서비스에 대한 연구는 거의 전무하다. 본 연구는 동기의 중요성에 주목하는 물질남용 관련 연구들을 토대로 음주운전수강명령교육이 법정에서 의뢰된 비자발적인 대상자인 음주운전 수강명령교육 대상자들의 변화동기 및 변화전략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기존의 알코올의존자 중심의 관심을 문제음주자로 확대하고, 문제음주로 인한 법적 제재를 받는 집단에 대한 사회복지 전문직의 개입을 증진하는데 기여하는 것을 이차적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다음의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질문1>음주운전 수강명령교육이 대상자들의 변화동기에 영향을 미치는가? <연구질문2>음주운전 수강명령교육이 대상자들의 음주변화전략의 사용에 영향을 미치는가? <연구질문3> 음주운전 수강명령교율 대상자들의 변화동기 단계에 따란 변화 전략의 사용이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는 문제음주와 음주운전, 변화동기 및 변화전략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하고 있다. 첫째, 문제음주와 관련해서는 전통적일 의학적 정의와 문제 중심적 정의를 비롯하여 문제음주의 실태와 개입에 대한 고찰을 통해 음주소비와 문제에 따른 적절한 개입이 이루어져야 함을 강조하였다. 둘째, 음주 운전의 정의와 실태를 살펴보았고 음주운전수강명령제도에 대해 이론적 배경을 서술하였다. 마지막으로 초이론모델(Transtheoretical Model)을 통해 변화 동기 단계와 변화전략에 대한 개념을 살펴보았다. 문제음주정도를 측정하기 위 해 WHO에서 개발한 'Alcohol Use Disorder Identification Test(Barbor & Grant, 1989)'를 기초로 김용석(1999)이 번역한 한국판 AUDIT를 사용하였고, 동기단계의 측정을 위한 Ro1lnick 등(1992)의 개발한 'Readiness to Change Questionaire(이하 RTC)'와 음주변화전략의 척도인 Prochaska & DiClemente(1985)의 'Scale for Process of Change(SPOC)'는 유채영(2000)이 번역·수정 보완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표본은 서울보호관찰소에서 의뢰되어 서울알코올상담센터에서 수강명령교육을 받는 대상자 34명이었고, 수집된 자료는 SPSS 10.0을 사용하여 기술적 통계, 가설검증, 일원변량분석 등의 방법을 사용하여 통계처리 하였다. 연구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상자들은 변화동기 사전검사에서 대다수가 변화를 위해 무언가 하고있는 활동단계로 나타났고, 이러한 현상은 교육 종료시까지 계속 유지되었다. 둘째, 대상자들은 변화전략의 사후검실 모든 항목에서 평균값이 증가되었으며, 강화관리, 정보 탐색과 생활관리, 위기관리 등의 행동적 변화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으로 나타내고 있으나 뚜렷한 인식의 변화를 보이지는 않고 있는 것으로 인식의 변화를 위한 프로그램의 보완이 요구된다 하겠다. 그러나 수강명령대상자들이 교육이후에 음주문제 해결을 하고자 하는 자신을 칭찬하고 격려하며, 변화할 수 있다는 믿음을 강하게 가지게 되었으며, 음주의 대안을 마련하고자하는 노력이 증가하였다. 셋째, 변화동기 단계별 변화전략의 사용을 살펴보았을 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항목은 의식의 증진과 인지평가, 술의 영향에 대한 부정적 감정의 표현, 음주대안활동노력들을 포함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변화동기 단계에 따라 문제인식정도와 술의 영향에 대한 감정표현정도, 대안활동노력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수강명령교육의 이수집단과 중도이탈집단을 비교해 보았을 때 변화동기와 변화전략의 평균값이 중도이탈집단에서 모두 낮게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즉 변화동기가 낮은 대상자들은 프로그램에 참여하지 않거나 중도이탈 할 가능성이 높음을 시사하는 결과이다. 위의 연구결과를 통해 도출한 제도적 차원의 제언과 실천적 차원의 제언은 다음과 같다. 제도적 차원에서는 첫째, 수강명령프로그램의 중도이탈과 관련해 이를 방지하기 위한 행정적 조치가 필요하다. 둘째, 사례관리제도의 도입을 통해 대상자들에게 지속적으로 음주 변화동기를 부여하고, 필요한 경우 지역사회와 연계된 상담·치료서비스를 지속적으로 받을 수 있는 체계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또한 전문민간기관에 음주관련 수강명령교육의 위탁이 확대되어 대상자들에게 체계적이고 질적이 서비스를 제공하고, 예방적 차원에서 전반적인 지역사회 사례관리체계를 구축하는 것이 필요하다. 실천적 차원의 제안은 첫째, 비자발적인 클라이언트인 음주운전수강명령자에게 동기는 이후 교육의 효과를 예견하는 매우 중요한 요소임을 고려해야 한다. 그러므로 대상자들의 동기수준을 체크하고, 동기수준이 낮은 이들을 위해 교육 전에 동기부여 면담을 진행하거나 동기수준별 집단상담, 집단토론 시간을 구성하는 등의 노력이 필요하다. 둘째, 대상자들의 수강명령교율을 통해서 문제를 인식하고 정보를 탐색하고, 음주대처행동이 변화된다고 하더라고 지속적인 변화를 위해서는 인식전환이 무엇보다 필요하므로 프로그램 내에서 자기 자신과 술로 인한 개인적·사회적 부정적 영향들을 생각해 볼 수 있는 인식전환 프로그램이 보완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인식전환을 위한 프로그램이 보완된다고 하더라도 음주운전수강명령이 평균 40시간이면, 3주 동안의 단기교육으로는 인식전환을 하기에는 부족한 시간이라 여겨진다. 그러므로 외국의 사례처럼 음주운전수강명령교육이 6개월 이상의 장기적인 안목으로 한 개인의 인식의 전환에 초점이 맞추어 져야 할 필요가 있다. 또한 원조관계 즉 상담을 받거나 타인에게 도움을 구하는 것에 적극적이지 않은 대상자들이 적절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상담기관 이용과 관련한 홍보와 안내, 연계에 대한 설명이 필요할 것이다. 음주운전 수강명령 대상자는 법정에서 의뢰된 클라이언트로 수강명령치료 또는 교육에 대해 동기화되어 있지 않은 경우가 많으므로, 효과적인 개입을 위해서 이들의 변화동기에 관심을 가지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문제음주의 관점에서 이들에 대한 예방적 차원의 상담·치료 및 재활체계를 구축하기 위해 노력해야 할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