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59 Download: 0

漢代 畵像石의 동물 도상 연구

Title
漢代 畵像石의 동물 도상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motifs of Animals in Chinese Stone Reliefs of tombs of Han Dynasty
Authors
고운
Issue Date
2007
Department/Major
대학원 미술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Various animal icons on stone engravings of the Chinese Han dynasty are classified and studied from a viewpoint of Iconology. Stone engravings, one of the main forms of Chinese decorative tomb, are figures carved on funeral building stones in those times such as burial chamber, shrine, or Que Pillar Gate.(闕) Han people understood the concept of animal differently than modern people: they did not strictly distinguish between animals of the natural kingdom and those of the fantasy kingdom. Based on this concept, Han people created various fantastic animals recognizing them as miraculous animals(靈獸) which are important helpers to the life after death, or as auspicious animals(瑞獸). Animal icons were appropriate motifs to express their outlook on life after death or their view of religion, indicating the use of stone engravings as a funerary art. Stone engravings integrated all the traditions of animal icons accumulated from the Neolithic age, when they started appearing regularly, as well as new iconic systems created in the Han dynasty. Thus, studying animal icons on stone engravings helps illustrate their importance in ancient Chinese art history. To recognize the motifs and to grasp the meanings of various animal icons represented on stone engravings, animals are classified into actual animals and fantastic animals. The actual animals are categorized further into sheep, deer, rhinoceros, bears, birds and fish, toads, imported animals such as elephants, lions, and camels, and other animals. The origin and symbolic meaning of each icon are observed. In the Neolithic age, Neolithic people often adored and worshipped animals native to their lands, through totemism and animal sacrifice(犧牲), while later in the Han dynasty, precious imported animals from Western nations became the new objects of reverence. Also the cluster of omens, a group of those animals describing an auspicious world, was adopted and became prevalent as decorative motifs on daily implements in the West Han Period. This was an early use of imaginary seen later on the stone engravings. Fantastic animals were given significance due to their strange external appearances.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ir external appearances, the fantastic animals can be classified into hybrid animals(異種同體) and excessive-limbed(肢體過剩) animals. Hybrid animals such as the Unicorn(一角獸) or winged-beasts(有翼獸) are combinations of the body parts of multiple animals. Unicorns as guardians of tombs and winged-beasts as icons representing a desire for ascending to the world of the immortals(昇仙) were essential motifs of stone engravings. Additionally, human bodies with animal heads(獸面人身) were usually viewed as dependents of the Queen Mother of the West(西王母) or as symbols of the immortal world(仙界), while the Four Deities(四神) were illustrated as important fantastic animals, showing a long-lasting tradition of animal fantasy, influenced by the Neolithic age. On the other hand, the excessive-limbed animals appeared in various looks in good omen catalogue(前兆), created to embellish the splendid political talent of emperors, while also appearing on stone engravings as a motif to represent the Confucian Paradise. While the practice of creating fantastic animals was at its best in the Chu(楚) dynasty during the Spring and Autumn and Warring Stage Period(春秋戰國), the omen design(祥瑞圖) peculiar to Han was originated by combining the Confucian idea and the Yin-Yang and Wu-hsing theories of Han dynasty and the mystical tradition of the Chu cultural area. Consequently, one could conclude from the present study that the actual animal motifs originated with Neolithic traditions, and that the fantastic animal motifs were created by combining the local culture of the pre-Chin(先秦) period and the culture of the Han dynasty. Of the different motifs depicted in stone engraving, animal icons were given a great deal of weight. The topics that the Han people embodied with animal icons include lucky signs(吉祥) such as good health, long life, wealth, rebirth, and the prosperity of one's family; ways of eliminating misfortune(辟邪), such as guarding a tomb(鎭墓) to protect the corpse and remove obstacles to ascending to the world of the immortals, or preventing natural disasters; expressions of Paradise of the Immortality and Confucian; symbols of celestial map(天象) and cardinal points(方位) etc. In representing such topics, the animal icons were often combined and extended to new symbol systems. At each stone engraving site, certain animal icons were regionally emphasized, whereas local transforms of widespread icons were also actively taken place. At the first and second areas, stone engravings appeared in the mid and late terms of the West Han period due to high cultural level, while at the third and fourth areas, remote regions, characteristics of stone engravings were initially influenced by the center region, and later developed locally. The present study of animal icons on Han stone reliefs interprets previously undefined animal icons and contributes to the understanding of the meaning of the Han stone engravings in terms of ancient art history and its essential function as a funerary art.;본 논문은 중국 漢代의 화상석에 표현된 다양한 동물 도상을 대상으로 이를 분류하고, 도상해석학 관점에서 고찰한 것이다. 화상석은 당시의 地下墓室, 墓地祠堂, 墓闕 등과 같은 喪葬禮制적 건축석재에 그림을 조각한 것으로 중국 장식묘의 주요 형식 중 하나이다. 한대인이 인식한 동물의 개념은 현대와는 다른 것이었으며, 동물 분류상 자연계의 동물과 환상계의 동물 역시 특별히 구분되지 않았다. 이와 같은 동물분류 개념을 바탕으로 다양한 환상동물이 자유롭게 창조되었고, 자연계의 동물과 함께 사후세계의 주요 조력자인 靈獸 혹은 瑞獸로서 인식되었다. 동물 도상은 다른 제재에 비해 사후관ㆍ종교관 등을 표현하는 데에 적합한 제재로서, 장의미술로서의 화상석의 속성을 표현하고 있다. 화상석에는 신석기시대 이래로 본격적으로 등장하여 축적된 동물 도상의 전통과 한대에 창조된 새로운 도상 체계가 모두 집약되어 있다. 그러므로 화상석 동물 도상의 고찰을 통하여 중국 고대 미술품과 화상석의 유기적 관계를 고찰하고 고대 미술사의 연장선에서 화상석의 위상을 살펴볼 수 있다. 일차적으로 화상석에 나타난 다양한 동물 도상의 모티프를 인식하고 도상이 의미하는 바를 파악하기 위해서 자연계의 동물과 환상계의 동물로 분류하여 고찰해 보았다. 자연계의 동물 도상은 양ㆍ사슴ㆍ외뿔소ㆍ곰ㆍ새와 물고기ㆍ두꺼비 그리고 수입동물인 코끼리ㆍ사자ㆍ낙타 및 그 밖의 기타 동물로 분류하여, 개별 도상의 기원과 그 상징의미를 살펴보았다.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자연계의 동물들은 토템 숭배와 희생동물 숭배의 관념으로 신석기시대 이래로 神獸로서 숭배의 대상이 되었고 한대에는 서방에서 전래된 희귀한 수입동물들이 珍禽異獸로서 경외의 대상이 되었다. 또한 이들이 무리를 이루어 상서로운 세계를 묘사한 祥瑞圖는 전한시대 다양한 생활기물상에 장식제재로 채택되어 유행하였는데 이와 같은 형식이 화상석으로 계승되었음을 알 수 있다. 환상계의 동물은 기이한 외형에 의해 특별한 의미를 부여받은 동물로서 그 외형적 특징에 의해 異種同體류와 肢體過剩류로 분류할 수 있다. 이종동체의 환상동물은 두 가지 이상의 동물의 신체부위가 결합된 형태로 뿔을 가진 一角獸와 날개가 달린 有翼獸가 포함된다. 일각수는 묘실 내의 진묘수로서 기능하였고 유익수는 묘주승선의 염원을 표현한 도상으로서 상장예제적 예술인 화상석에서 필수불가결한 제재였다. 그밖에도 동물의 머리에 인간의 신체가 결합된 獸面人身의 형태가 주로 서왕모 선계의 권속 혹은 仙界의 상징물로서 표현되었고, 신석기시대로부터 비롯된 뿌리 깊은 동물 환상의 전통을 보여주는 四靈도 주요 환상동물로 등장한다. 한편 신체 기관이 정상보다 많은 지체과잉의 동물들은 제왕의 善政을 윤색하기 위해 창조된 前兆目錄에 다양한 형태로 등장하고 있으며 화상석상에서 유교적 이상향을 표현하기 위한 제재로 등장하였다. 이와 같은 환상동물 창조의 전통은 신석기시대로부터 시작되어 춘추전국시대 楚문화권에서 꽃피우게 되는데, 한대의 유교 관념과 음양오행설 그리고 초문화권의 신비주의 전통이 결합하여 한대 고유의 동물 환상을 대표하는 전조목록이 창안된 것이다. 화상석 동물도상을 자연계와 환상계로 분류함으로써 근대적 시각으로 고대의 예술품을 분석하였다는 한계에도 불구하고 이를 통하여, 자연계 동물 도상은 신석기시대 이래의 전통을 계승하였으며 환상계 동물 도상은 선진시대의 지역문화와 한대의 문화가 결합하여 완성된 도상체계라는 것을 밝힐 수 있었다. 화상석의 제재 중 동물 도상은 매우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한대인들이 동물 도상으로써 묘실 내에서 구현하고자 한 주제는 무병장수ㆍ물질적 풍요ㆍ사후재생과 자손번성의 吉祥求福의 의미, 묘주 시체를 보호하고 승선의 방해요소를 제거하는 진묘와 자연재해 등의 재앙을 피하고자 하는 염원을 담은 벽사의 기능, 그리고 선계와 유교적 이상향의 재현, 天象과 방위의 상징 등이다. 이와 같은 주제를 표현하기 위해 동물 도상 사이에 조합이 이루어지고 이것은 다시 새로운 상징체계로 확대되었다. 화상석 각 분포구에서는 지역마다 유난히 강조되고 즐겨 채택된 동물 도상들이 있었다. 또한 범지역적 도상의 지역적 변형 역시 활발하게 나타난다. 제1ㆍ2분포구는 중원지구의 수준 높은 문화를 바탕으로 전한 중ㆍ후기에 화상석이 출현하였으며 제3ㆍ4분포구는 변경지역으로서 후한 초기부터 화상석이 출현하기 시작하여, 중원지구의 영향을 받아 이를 지역적으로 발전시킨 특징을 보인다. 화상석 동물 도상의 연구는 지금까지 정리되지 못한 여러 동물 도상의 해석을 정립하고, 나아가 한대 화상석의 고대 미술사에서의 위상과 장의미술로서의 화상석의 본질적 특징을 파악하는 데 일조할 수 있을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미술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