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7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가연-
dc.creator김가연-
dc.date.accessioned2016-08-25T06:08:35Z-
dc.date.available2016-08-25T06:08:35Z-
dc.date.issued2007-
dc.identifier.otherOAK-00000002794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165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7944-
dc.description.abstractThis thesis is a study of Rosemarie Trockel (1952- ), a German female artist, at the intersection of postmodernism and feminism. Since her debut in the early 1980s, Trockel has produced works that reflect the feminist perspective and emerged as an artist that has to be treated when discussing the contemporary art. Unfortunately, few in-depth researches about her have been carried out and most of existing researches have focused on superficial characteristics of her works without treating complex meanings behind them. Trockel’s knitworks, which imply femininity, have been used for proving that Trockel is a feminist artist that proposes the possibility of essentialist feminine aesthetics. Such interpretation cannot be acknowledged as a proper approach to the works of Trockel who views femininity as a unfixed category. Contrary to the existing literature, this study shows that her works have overcome dichotomous value system that had viewed femininity as a fixed essence that was opposed to masculinity. In addition, characteristics and meaning of the works of Trockel as a feminist artist have been reviewed from a fresh perspective. In the 1980s, “feminism of equality,” which had exposed the paternal repression by emphasizing and analyzing femininity was gradually replaced by “feminism of difference” as feminism adopted post-structuralism, psychoanalysis, and semiology. In particular, Derrida’s deconstruction, which destroys dichotomous system of thought, has become a major cause of the emergence of postmodern feminism, which denies the dichotomous structure of male-female distinction and that argues unfixedness of gender symbols. The changes in feminist discussion influenced feminist art movement and unlike older generation feminists who emphasized essentialist femininity, postmodern feminist artists of 1980s challenged the essence of femininity and its contradiction. Trockel also viewed that the feminine did not conflict with the masculine and challenged the stereotype about gender difference by proving that the gender distinction was not deterministic. In her works, gender symbols, which were categorized as being heterogeneous in the West’s modern system of meaning, coexist side by side and the definition of their meanings are not resolutely fixed as the task of defining them are continuously delayed. Trockel destroys exclusive borders between the two symbols and negates the concept of fixed femininity, which was made separate and exclusive by the dichotomous structure. Derrida’s strategy of deconstruction, which blurs the binomial boundary by "differance" of meaning, has been widely used in many aspects of Trockel works: image, production process, categorization of artistic genres, the problem of the definition of art. Trockel combines the images of the masculine and the feminine to expose the contraction of Western dualism and challenges the concept of gender identity, which has been considered as fixed. Furthermore, in the process of production, Trockel combines originality and copy and destroys the border between the two concepts, which were separated in the history of modernism based on paternal lineage. Furthermore, through knitwork, which belongs to pure as well as applied art, she shows indeterminism in genre. By producing works that transcend realms of art and everyday life, she challenges dualistic hierarchical structure, which has been uncritically applied to make definition of art. By focusing on such aspects of Trockel’s works, this study proves that Trockel has strategically used the logic of deconstruction to overthrow dualistic value system. Furthermore, this study purports to reevaluate her works as feminist discussions that adopted postmodernism. As a result, this study assigns a more concrete locus for Trockel, who has been vaguely categorized as feminist artist. As an artist, Trockel has kept the borders open and rejected categorization. She did not easily accept conclusive and final interpretation of her works. This also is linked with the possibility of other interpretations. The contribution of this study lies in that it created a foundation for more diverse and in-depth interpretation and study of her work.;본 논문은 독일의 여성작가 로제마리 트로켈(Rosemarie Trockel, 1952- )의 작품을 포스트모더니즘과 페미니즘이 만나는 지점에서 설명한 연구이다. 트로켈은 1980년대 초반 미술계에 등장한 이래로 페미니즘의 관점을 반영하는 작업들을 선보이며 현대미술을 거론함에 있어 빠질 수 없는 작가로 성장해 왔다. 그러나 그녀에 관한 연구는 심도 있게 이루어지지 못했을 뿐만 아니라, 작품이면에 복잡한 의미를 내포하는 그녀의 작업을 단지 피상적인 특징에만 의존하여 분석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여성성이라는 함축적 의미를 갖는 트로켈의 편물작업은 그녀를 본질주의 여성미학의 가능성을 제시하는 페미니즘 미술가로 평가하는 근거가 되어왔으나, 이는 여성성을 비고정적 범주로 보는 트로켈의 작업에 대한 진정한 접근이라고 볼 수 없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그녀의 작품이 여성을 남성과 대립되는 고정된 본질로 보아왔던 이분법적 가치체계를 극복하고 있음을 규명하고, 페미니즘 미술가로서 트로켈의 작업이 갖는 특징과 의미를 새롭게 조명해 보고자 한다. 여성성을 강조하고 탐구함으로써 부계적 억압을 노출하였던 ‘평등의 페미니즘’은 1980년대에 접어들면서 후기구조주의, 정신분석학, 기호학을 수용하며 ‘차이의 페미니즘’으로 점차 대치된다. 특히 이분법적 사고체계를 무효화하는 데리다의 해체주의 는 남녀의 이분법적 구조를 거부하고 젠더기호의 비고정성을 주장하는 포스트모던 페미니즘의 특징을 야기하는 주요 동인이 되었다. 페미니즘 담론의 이러한 변화는 페미니즘 미술운동에도 영향을 주었고, 본질적 여성성을 강조하였던 전 세대 페미니스트들과는 달리 1980년대 포스트모던 페미니즘 미술가들의 작업은 여성성의 본질과 그 모순에 도전하는 새로운 양상들로 변모하였다. 트로켈 역시 여성적인 것을 남성적인 것에 대립되는 것으로 보지 않고, 양자 사이의 구분이 결정적인 것이 아니라는 것을 입증하며 성차에 대한 고정관념에 도전한다. 그녀의 작품에는 서구의 근대적 의미체계에 의해 상호이질적인 것으로 분리되었던 젠더 기호들이 나란히 병존하며, 그 의미가 확고하게 고정되지 않고 끊임없이 지연되는 국면이 나타난다. 트로켈은 이를 통해 두 기호들 사이의 배타적 경계를 허물고, 이분법 구조에 의해 분리되고 배제되었던 확고한 여성성이라는 개념을 부정하고 있는 것이다. 이는 의미의 차연(differance)을 통해 이항 간 경계를 모호하게 하는 데리다식 해체전략으로서, 트로켈의 작품에서 이미지, 제작과정, 예술장르의 구분, 예술 개념의 문제 등에 두루 적용되어 나타난다. 트로켈은 남성과 여성의 이미지를 결합하여 서구 이원론의 모순을 지적하고, 본질적으로 고정된 것이라 여겨졌던 성 정체성의 개념에 도전한다. 그리고 작품제작 과정에서 원본성과 복제성을 결합하고, 부계적 혈통의 모더니즘 역사 속에서 분리되어 왔던 두 개념 사이의 경계를 허문다. 그녀는 또한 순수미술이자 실용미술이기도 한 편물회화를 통해 장르 구분에 있어서의 비결정성을 보여주며, 나아가 예술영역과 일상영역을 넘나드는 작품을 통해 예술의 개념을 정의하는 데 있어서도 어김없이 적용되어 왔던 이분법적 위계 구조에 도전한다. 본 논문은 이러한 측면에 주목함으로써 트로켈의 작업이 해체논리를 전략적으로 사용하여 이원론적 가치체계를 전복하려는 시도라는 점을 밝히고, 그녀의 작업을 포스트모더니즘을 수용한 페미니즘의 경향으로 재평가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로써, 막연히 페미니즘 미술가로 분류되었던 트로켈의 작가적 위상을 미술사 안에 좀 더 명확히 자리매김하고자 한다. 경계를 열어둠으로써 범주화를 거부하는 트로켈의 작가적 특성은 자신의 작업이 갖는 의미의 확실한 해석과 완결을 쉽게 허용하지 않으며, 이는 또 다른 해석의 가능성과 연결된다. 본 연구는 그녀에 대한 다양한 해석과 심화된 연구의 기반을 마련한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Ⅱ. 포스트모던 페미니즘과 여성성의 개념 = 9 1. 데리다의 '차연(differance)'과 의미의 탈고정화 = 11 2. 해체이론을 수용한 포스트모던 페미니즘 미술 = 18 Ⅲ. 트로켈의 작품에 나타나는 이분법 구조의 해체 = 27 1. 이미지의 혼성성 = 29 2. 원본성과 복제성의 결합 = 40 3. 순수미술과 실용미술의 혼용 = 49 4. 예술과 일상의 경계 흐리기 = 57 Ⅳ. 결론 = 64 참고문헌 = 68 도판목록 = 78 도판 = 83 Abstract = 9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88682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700-
dc.title포스트모던 페미니즘 시각으로 본 로제마리 트로켈(Rosemarie Trockel)의 작품-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rockel's Work from the View of Postmodern Feminism-
dc.creator.othernameKim, Ka Youn-
dc.format.pageⅴ, 100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미술사학과-
dc.date.awarded2007.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미술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