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9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李愛蘭-
dc.creator李愛蘭-
dc.date.accessioned2016-08-25T06:08:34Z-
dc.date.available2016-08-25T06:08:34Z-
dc.date.issued2003-
dc.identifier.otherOAK-00000002873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165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8730-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인구통계학적인 특성과 심리적 문화적응전략에 따라 북한 이탈주민들의 사회 문화적인 적응과정을 유형화하고 그에 따른 식생활행동이 어떠한 요인에 의해 차이가 발생하며 남북한 음식 맛에 대한 차이는 어떻게 느끼고 있는가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북한이탈주민 20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북한이탈주민의 연령 평균은 약 36세 정도로 20대와 30대가 가장 많았고 남자 47.3%, 여자가 52.7%이었다. 본 조사대상자들은 75.6%가 남한으로 입국하는 과정에 해외에서 도피생활을 한 경험을 가지고 있었고, 그 중 1~3년 정도가 45% 정도로 가장 많았으며, 단독(43.0%), 가족 전체(22.4%), 가족 일부(26.3%) 형태로 입국하였다. 그들이 지각하고 있는 북한에서의 사회경제적 지위는 중간 수준(47.7%)이 가장 많았고, 남한에서의 사회경제적 지위는 하위 수준(67.9%)이 가장 많았다. 인구통계학적인 특성과 심리적인 문화적응전략에 따라 조사대상자들을 유형화한 결과 동화형 96명(46.8%), 통합형 91명(44.8%), 주변화형 13명(6.4%) 분리형 5명(2.4%)이었다. 여기서 동화형은 북한의 문화보다는 남한의 문화를 더 많이 더 적극적으로 수용하려고 하는 반면에 통합형은 북한과 남한의 문화를 다같이 수용하면서 선택적으로 받아들이는 특성이 있음을 의미하고, 분리형은 북한문화를 더 많이 지향하면서 새로운 문화를 받아들이지 못하는 경향을 가지는 것을 말하며, 주변화형은 북한과 남한의 문화 중 어느 한쪽도 받아들이지 못하는 경향을 가지고 있는 것을 의미한다. 북한 이탈주민의 연령이 높고, 가족을 동반하고, 북한에서의 사회 경제적 지위가 높았다고 생각할수록 북한문화를 지향하고 있었다. 조사대상자들의 북한문화와 남한문화를 지향하는 정도는 정착경과 기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대부분의 북한 이탈주민들은 식생활에서 남한의 문화에 적응하기 위하여 노력하고 있었으나 이주자의 연령과 입국형태가 식생활동화에 영향을 주고 있었고, 여성이 남성에 비해, 가족 전체 입국 형태가 단독 입국 형태에 비해 남북한 음식에 대한 미각차이를 심하게 느끼고 있었으며, 정착경과 기간이 짧을수록 남북한 음식의 맛이 더 차이 난다고 느끼고 있었다. 조사대상자들은 대부분이 식품 구매 시 구매목록이나 식단 계획을 작성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고 구매정보를 TV, 라디오나 광고전단을 통해 얻고 있었으며 음주를 하는 그룹은 66.0%이었고 비음주자는 34.0%이었으며 음주이유는 주로 스트레스 해소와 사교 때문이었다. 대부분의 북한 이탈주민들은 하루 한잔정도의 커피를 마시고 있었으나 커피를 전혀 마시지 않는 사람들도 21.5%나 해당되었다. 외식을 거의 하지 그룹은 26%이었고 대부분(43.0%)이 주1~2회 정도 외식하고 있었으며 외식장소는 주로 일반음식점으로 한식(54.5%)을 선호하고 있었고 패스트푸드(6.1%)는 거의 먹지 않고 있었다. 외식 이유는 주로 친구나 이웃과 교류하거나 특별한 일 때문이었고, 외식 과정에서 음식점 등을 선택할 때 중요하게 고려하는 인물로는 자신과 친구 이웃이었으며, 직장동료나 친구와 외식 시 메뉴선택은 주로 상황에 따른다고 하였다. 조사대상자들은 북한음식보다 남한음식이 단맛, 짠맛, 신맛이 더 강하다고 느끼고 있었고, 기름진 맛과 매운맛은 북한음식이 더 강하다고 느끼고 있었으며, 외식성향이 높을수록 남북한 미각차이를 적게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북한이탈주민의 심리적인 문화적응전략에 따라 식품구매행동을 비교한 결과 동화형은 주로 광고전단을 통해 식품정보를 얻고 있었고 통합형은 TV, 라디오를 통해 식품정보를 얻고 있었으며 완전 가공식품 구입시 동화형이나 통합형 모두 맛을 기준으로 완전가공식품을 구입하고 있었다. 대부분의 북한이탈주민들은 식단계획과 구매목록을 작성하지 않고 있었는데 그 중에서도 주변화형이 식단계획과 구매목록을 가장 작성하지 않았고 식품구매 시 통합형은 외국산을 가장 적게 구입하는 반면, 분리형은 외국산을 그 중 많이 구입하고 있었다. 음주를 하지 않는 그룹은 통합형이 동화형보다 많았고, 월 1~4회 정도 음주하는 북한 이탈주민은 동화형이 가장 많았다. 커피를 마시지 않는 사람은 통합형이 많았고 하루에 2~4잔 정도의 커피를 마시는 사람은 동화형이 제일 많았다. 남한의 동료나 이웃과 외식할 때 북한 이탈주민들은 대체로 심리적인 부담을 받고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남한사람들에게 북한음식을 잘 권하지 않고 있었다. 남한의 동료나 이웃이 권해준 음식을 먹고 난 후에 동화형을 제외한 나머지 그룹은 동료가 권한 음식이 입맛에 맞지 않으면 이전보다 관계가 어색해 지는 것으로 생각하고 있었으며, 모든 그룹이 남한동료가 권해준 음식을 그 후에 다시 먹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외식 횟수는 대체로 주 1~2회가 가장 많았는데 그 중에서 동화형이 제일 많았다. 외식장소로 동화형은 일반음식점을 더 많이 이용하였고 통합형은 고급음식점과 일반음식점을 같은 비율로 이용하고 있었으며 외식 이유는 동화형이나 통합형 모두 친구나 이웃과 교류하기 위해서였다. 한식을 선호하는 것은 동화형이나 통합형이 비슷하였지만 동화형은 중국음식과 패스트푸드를 통합형보다 선호하였고, 통합형은 일식과 양식을 동화형보다 선호하였다. 외식성향은 동화형과 주변화형이 통합형이나 분리형보다 높았고 남북한음식에 대한 미각 차이는 통합형이 가장 많이 느끼고 있었다. 남한에 거주하고 있는 북한 이탈주민들은 사회 문화적인 적응과정과 식생활동화과정에 인구통계학적인 특성 즉, 연령 성별, 정착경과기간, 해외생활경험 여부, 입국형태, 남북한에서 스스로 지각된 사회경제적인 지위 등의 영향을 받고 있었으나 소수의 그룹(분리형, 주변화형)을 제외하고는 남한의 사회문화와 식생활문화에 적응하려는 의지를 갖고 있었으며 그 결과는 개인의 심리적 문화적응전략유형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고 있었다.;This research is conducted based on a survey of 205 North Korean defectors who live in Seoul, in order to categorize their social and acculturation process, to identify what causes differences in their dietary life, and to understand how different taste they have on South and North Korean foods,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psychological and acculturation strategy. Their average age is 36, most of whom are in their twenties and thirties. And 47.3% of them are men and 52.7% are women. 75.6% had overseas escape experience before they entered into South Korea. And 45% of them, the biggest group, spent 1-3 years, 43.0% of whom came atone. 22.4% of the entire group, the smallest, came in a whole family, 26.3% of whom came with some of their family members. socio-economic level which they perceive they had in North Korea is a middle one(47.7%), the biggest and that in South Korea is a lowest level(67.9%), the biggest. What is categorized according to psychological acculturation strategy is that a type of acculturation is 46.8%, a type of integration 44.8%, a type of neighboring 6.4% and a type of isolation2.4%. If they are older, they are accompanied by their families and they assume they occupied a higher socio-economic level in North Korea, they are relatively more favorable to North Korean culture. Also according to a period of settlement, their preference to North and South Korean culture is turned out to differ. Most of North Korean defectors are trying to get accustomed to South Korean culture in their dietary life. And age of settlers and a fact of bringing a family affect their pattern of dietary acculturation. If they are women, they came with their family or a settlement period is short, they answered they sense a stronger difference of taste. The subjects said that when they purchase foods they don't make a list of purchases or a menu. They obtain most of their purchase information from TV, radio and advertisement. 66.0% of them drink and 34.0% don't. They drink to get rid of stress and to meet people. Most of them drink a cup of coffee a day but 21.5% of them do not drink coffee at all. 26% of them rarely eat out and most of them, 43.0%, eat out once or twice a week. They prefer Korean food(54.5%) at general restaurants and they hardly eat fast-food(6.1%). The reason they eat out is to meet friends or neighbors and for an occasion and who matters in eating out is themselves, friends, and neighbors. The menu is decided according to a situation(71.5%). About a sense of taste difference of South and North Koreans, South Koreans are revealed to prefer a sweet taste, a salty taste and a sour taste while North Koreans do an oily taste and a hot taste. The more often they eat out, the less they feel a taste difference. According to psychological culture adaptation strategy, in their food purchasing behavior patterns, the subjects of assimilation group get information on food out of advertisements and those of integration one out of TV and radio. Both of the groups buy processed food on the basis of taste. A group of neighboring most rarely make a purchase list and a menu and an assimilation group most hardly buys imported goods and an isolation group buys ones most often. The subjects who do not drink belong to integration group rather than Assimilation and most of the subjects in assimilation group drink 1-4 times a month. Most of the subjects who do not drink coffee belong to assimilation group and the subjects who drink 2-4 cups of coffee mostly belong to assimilation group. When they eat out with South Korean colleagues or neighbors they usually feel uncomfortable and they rarely recommend North Korean food to South Koreans. After they eat what South Korean colleagues or neighbors recommend, except assimilation group, the rest groups think their relations go worse than before and all of the groups are turned out not to eat the recommended food any more. The assimilation group eat out the most, 1-2 times a week. Places they go are a general restaurant for assimilation group and a fancy restaurant and a general restaurant, at the same proportion, for integration group. The reason to eat out for both of the groups is to meet friends and neighbors. The tendency that assimilation and integration group prefer Korean food is similar but assimilation group prefers Chinese and fast-food rather than integration group does and integration group prefers Japanese and Western food rather than assimilation group does. Assimilation and marginality groups have a higher tendency of eating out than integration and isolation groups. Integration group feels most the taste difference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n food. In dietary life behavior pattern of social and culture adaptation process, North Korean defectors, residing in South Korea, are affected by demographic characteristics, such as age and gender, a length of resettlement, a period of overseas escape life, a fact of accompanying a family, and socio-economic status perceived in South and North Korea. However, except minority groups(isolation and marginality groups), the other two groups are trying to get adapted to society, culture and dietary life culture of South Korea and a resulting response is different according to psychological and acculturation strategy which each individual has. This research concludes that in social and acculturation strategy and dietary life behavior pattern of North Korean defectors, in order to help social and culture resettlement of North Korean defectors and to better their life in South Korea, culture strategy of integration group that accepts both cultures of the two Koreas and chooses a positive one selectively is considered more desirable than that of acculturation group that accepts overall South Korean cultures. This research also suggests that after a reunification in a social and culture integration process, rather than adhering to a culture and custom of one of the two Koreas, to accept South and North Korean culture together and develop more positive one is much better for a future reunited Korea's development-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ⅰ 논문개요 = ⅶ Ⅰ. 서론 = 1 Ⅱ. 이론적 배경 = 4 1. 심리적 문화적응 유형과 식생활 동화에 관한 연구 = 4 (1) 심리적 문화적응유형에 관한 이론 = 4 (2) 식생활 동화에 관한 연구 = 8 2. 남한 거주 북한 주민의 사회 문화적 적응 및 식생활에 관한 연구 = 14 Ⅲ. 연구과제 및 가설 = 20 1. 연구목적 = 20 2. 연구과제 = 21 3. 연구모형 = 22 Ⅳ. 연구방법 및 내용 = 24 1. 연구대상자 = 24 2. 측정 도구 = 24 (1) 일반사항 = 24 (2) 문화적응 전략유형 분류 = 25 (3) 식생활동화 지향성 = 26 (4) 식생활행동 = 26 ① 식품구매행동 = 26 ② 음주행동 = 26 ③ 외식행동 = 26 ④ 남북한 미각차지각도 = 27 3. 통계 처리 = 27 Ⅳ. 결과 및 고찰 = 28 1. 조사대상자의 인구 통계학적 특성 = 28 2. 인구 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심리 문화적 및 식생활 동화지향성 비교 = 29 (1) 성별 및 연령별 비교 = 31 (2) 입국형태 및 정착기간별 비교 = 33 (3) 사회경제적 지위별 비교 = 35 (4) 관련 변인 간 상관관계 = 36 (5) 구조방정식 모델검증 = 37 3.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문화적응 전략유형 = 39 (1) 성별에 따른 문화적응 전략유형 = 39 (2) 사회경제적 수준에 따른 문화적응 전략유형 = 40 (3) 직업에 따른 문화적응 전략유형 = 42 (4) 입국형태에 따른 문화적응 전략 유형 = 44 4.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식생활 행동 양상 = 45 (1)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식품구매 행동 = 45 (2)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음주행동 = 52 (3) 인구통계학적인 특성에 따른 외식행동 = 59 (4) 인구통계학적특성에 따른 남북한 미각차 지각도 = 70 5. 문화적응 전략유형에 따른 식생활 행동 = 81 (1) 문화적응 전략유형에 따른 식품구매행동 = 81 (2) 문화적응 전략유형에 따른 음주행동 = 85 (3) 문화적응 전략유형에 따른 외식행동 = 88 (4) 문화적응 전략유형에 따른 남북한 미각차 지각도 = 93 Ⅵ. 요약 및 결론 = 96 참고문헌 = 104 Abstracts = 112 부록(Appendix) = 11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417338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남한 거주-
dc.subject북한이탈주민-
dc.subject식생활행동-
dc.title남한 거주 북한이탈주민의 식생활행동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인구통계학적 특성과 심리적 문화적응 전략유형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 Study on Dietary Behavior of North Korean Defectors in South Korea-
dc.format.pagex, 124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식품영양학과-
dc.date.awarded2003.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식품영양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