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9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李銀熙-
dc.creator李銀熙-
dc.date.accessioned2016-08-25T06:08:33Z-
dc.date.available2016-08-25T06:08:33Z-
dc.date.issued1984-
dc.identifier.otherOAK-00000002990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163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9909-
dc.description.abstract本槁는 판소리 春香歌를 대상으로 하여 各 時期에 형성된 異本이 어떠한 양상을 보이고 있는가를 파악하고, 판소리의 사회적 기반 및 시대적 배경과 결부시켜 변모의 원인을 究明하고자 한 연구이다. Ⅱ장에서는 판소리가 설화적 골격을 근간으로 하여 형성되었다는 기존의 연구에 근거하여, 官奪民女型 談話에서 春香歌로의 移入過程을 구체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초기 춘향가의 형태를 추정하였다. 또한 춘향가 異本이 共有하는 基本構造와 주제를 파악하였다. 여기서 파악된 주제는 '사랑' 이라는 보편적 가치였으며, 그것은 기본구조가 유지되는 한 작품의 기층적 주제로서 各 異本에 계속 존속한다고 보았다. Ⅲ장에서는 Ⅱ장에서 추출된 기본 구조에 근거하여, 세부적 內容의 변화에 따라 異本의 의미가 역사적으로 어떻게 달라지는가를 주제의 구현 양상을 中心으로 파악하였다. Ⅳ장에서는 Ⅱ·Ⅲ장에서 파악된 춘향가의 변모의 원인을 판소리의 사회적 기반의 성격 및 시대의식과 결부시켜 규명하였다. 우선, 앞에서 분석된 춘향가의 실상과 기존의 판소리史의 시기 구분에 관한 종합하며 형성기·성장기·발달기·굴절기의 네 시기로 구분하였다. 그 결과 춘향가의 변모는 판소리의 사회적 기반 및 시대적 배경과 밀접한 관련下에 놓여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것은 現場의 文學이며 개방적인 형식을 가진 판소리의 장르적 특성에 起因한다. 以上의 論議는 다음과 같이 집약될 수 있다. 춘향가로 대표되는 판소리 장르가 형성될 수 있었던 사회적 기반은 평민층이었으며, 그것은 평민문학의 부상이라는 정에서 의의를 갖는바, 춘향가 異本의 분석을 통해서 볼 수 있듯이 19세기 중엽까지의 판소리는 대체로 사회적 변화와 보조를 맞추면서 성장·발전되어 왔는 바, 그것은 평민의식의 所産이라 집약될 수 있다. 그런데, 19세기 중엽 이후에는 판소리가 일부 상층 향유층을 대상으로 상승되면서, 사대부적 가치관에 부합되는 방향으로 굴절되었다. 따라서 이 시기의 판소리는 기존의 존립근거였던 평민층에게서 유리되어 갔으며 ,지속적으로 변모해 가는 당대의 사회적 현실과 괴리되어 갈 수밖에 없었다. 이 에 따라 판소리는 고도로 세련된 하나의 唱樂的 예술로 고정화되게 된 것이다.;This thesis is on Choon Hyang Ga which makes one of the greatest dramatic narrative songs called Pan So Ri. While scrutinizing the different modes of versions at each period, it tries to get at the root of all transfigurations in relation to their social circumstances and historical background. To begin with, in chapter Ⅱ, it analyizes illustratively the process of transfiguration from Kwan Tal Min Yeo type of folktales (官奪民女型 談話 : a story of depriving woman of the lower class by an official) to Choon Hyang Ga to presume the earlier form of Choon Hyang Ga on the basis of the existing critiques which have suggested that Pan So Ri had its foundation on the framework of folktales. And it also clarifies the recurrent theme and underlying structures in various versions of Choon Hyang Ga. It turns out to be that in almost every version the former embodied the universal value of Love and continued to exist as a basic theme so long as the latter was maintained. In chapter Ⅲ, according to the fundamental structures extracted from chapter Ⅱ, it deals with the significant historical changes in versions in terms of the changes of contents in detail, focusing the varing aspects of thematic representation. Furthermore, in chapter Ⅳ, the transfigurations of Choong Hyang Ga found their causes where the social background and the spirit of the times were connected. At first, Looking into the chronological studies about Choon Hyang Ga by others, I classified their historical changes into four main stages, such as Formative, Growing, Developing, and Transfiguring ages. Consequently, it proves that the changes were closely linked with their social and historical contexts. They ascribe their sources to the generic attributes of Pan So Ri as a performance literature and a literature on the spot with its open forms. In short, it comes to the conclusion that among its many important influencing elements the audience of common people makes its particular form of Pan So Ri for which Choon Hyang Ga represents the hightest point. And it is also significant that it marks the arising of folk literature. This analytic study of Choong Hyang Ga reveals that up until the middle of the nineteenth century, Pan So Ri, in general, had been keeping step with its social changes which means that was the outgrowth of folk mind.-
dc.description.tableofcontents論文槪要 = ⅳ Ⅰ. 序論 = 1 A. 문제 제기 및 연구의 방법 = 1 B. 資料 = 8 Ⅱ. 춘향가 이본의 기본구조 및 주제 = 21 A. 초기 춘향가의 형성과 기본구조의 관계 = 21 B. 춘향가의 기본구조 및 주제 = 25 Ⅲ. 소단락의 분석을 통해 본 주제 구현 양상의 변모 = 33 A. 晩華本 = 37 B. 남원고사, 별춘향전 = 56 C. 申在孝本 男唱 春香歌 = 88 D. 烈女春香守節歌, 金世宗本 = 108 Ⅳ. 판소리의 사회적 기반의 변모 및 春香歌의 사회적 의미 = 123 A. 판소리史의 시기 구분 = 123 B. 形成期 = 129 C. 成長期 = 136 D. 발달기 = 147 E. 屈折期 = 160 Ⅴ. 結論 = 173 參考文獻 = 179 ABSTRACT = 18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585027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춘향가-
dc.subject판소리-
dc.subject판소리사-
dc.subject국어국문학-
dc.title春香歌의 歷史的 變貌와 그 意味-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historical transfiguration of Choon Hyang Ga and it's meaning-
dc.format.page186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국어국문학과-
dc.date.awarded1984.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국문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