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25 Download: 0

자전적 글쓰기 교육과정을 통한 여성주의 기독교교육 연구

Title
자전적 글쓰기 교육과정을 통한 여성주의 기독교교육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Christian Feminist Education through Autobiographical Curriculum
Authors
김혜숙
Issue Date
2007
Department/Major
대학원 기독교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bstract
This study aims to conceptualize autobiographical curriculum and to suggest an autobiographical writing model as one of feminist Christian curricula which help women learners lead a creative and holistic life. The traditional man-centered curriculum has treated women learners as invisible being and has disregarded women learners' selves or the characteristics of their learning styles. In this sex-discriminating curriculum, women learners have been marginalized so that their selves have been damaged and have not developed fully. It seems that feminist Christian curriculum is needed which seeks to understand and heal women learners' hurted selves due to the oppression and discrimination in patriarchy in the manner of reflecting women learners' experiences excluded in Christian main stream. One of the feminist Christian curriculum to accomplish these purposes is the autobiographical curriculum. In order to establish autobiographical curriculum as one of feminist Christian curricula, the characteristics of women learners' selves are discussed from the perspectives of feminist theology, feminist psychology, and feminist philosophy in chapter 2. This discussion shows that women learners as human beings with creativity, relationship, wholeness, and relational autonomy have developed their selves through interactions by accepting differences and diversities, and that they have been to get out of the alienation of the body and to lead a life to achieve the wholeness by constructing holistic knowledge. In chapter 3, the theories and practices of autobiographical writing are discussed in the perspective of feminist literature and feminist education. Through the discussion, it is found that autobiographical writing deconstructs phallogocentrism and it can be an aesthetic and political activity for women learners to reflect themselves in constructing women subjectivity. It seems that women learners experience themselves as knowledge creators and come to get self-perception and self-esteem in the process of taking part in autobiographical curriculum. They also come to improve efficiency of studying and to be healthy both mentally and physically due to the reflecting their attitude positively and actively in autobiographical curriculum. In chapter 4, Autobiographical Curriculum is conceptualized as one of Feminist Christian curricula. Autobiographical curriculum makes women learners disorganize the distorted values and attitudes formed in patriarchy, and find themselves via making self-finding journeys with others and God in learning community. The contents of autobiographical curriculum are made up of women learners' experience, bible stories, and social biography. Teaching-learning process in autobiographical curriculum is performed through Conscientization education method, aesthetic education method, dialogue education method, and spirituality education method. Teachers' roles required in autobiographical curriculum are those of partners, patrons, and knowledge creators in the journey for women learners to find their selves. In chapter 5, autobiographical writing model is set to be practiced in the feminist Christian education field. the autobiographical writing model is made up of the first step ‘journey by myself’ to mature a creative self, the second step ‘journey with others’ to mature a relational self, and the third step ‘rejourney by myself’ to mature a holistic self. A lesson plan of autobiographical writing and an example of autobiographical writing are suggested. The results of participation in autobiographical curriculum are analyzed after in-depth interview. In-depth interview shows that by way of autobiographical writing, women learners met their selves, found the meaning of their existence, recovered pride and at last formed active and positive selves. According to the self-perception transformed, the relationship with God was reformed, in which women learners reflected their own lives, realized God's will, and interpreted and acted it in their lives. In other words, the change of relationship with God not only gives birth to that of relationship with others, but also forms women learners' new lives. Women learners set to be free from mental and physical oppression by enlarging the positive factors in their lives and finding beauties in the world. It is expected that these holistic changes make women learners become self-conscious and self-creative, and that they go toward wholeness given by God. In conclusion, chapter 6, it is pointed out some tasks that should be supplemented in expecting to make good use of this autobiographical curriculum in Christian community.;이 논문의 목적은 여성 학습자들로 하여금 삶의 주체로 서서 타자와의 관계 안에서 창조적이며, 통전적인 삶을 살도록 돕는 여성주의 기독교교육과정으로서의 자전적 글쓰기 교육과정을 개념화하고 교육모형을 제시하는데 있다. 종래의 전통적인 남성중심주의 기독교교육에서 여성은 불가시적인 존재였으므로 여성 학습자의 자아나 학습 형태상의 특성은 고려되지 않았다. 이 같은 성차별적인 교육과정에서 여성 학습자는 주변화 되고 자아는 손상되어 제대로 성숙하지 못한다. 따라서 여성의 자아특성에 대한 바른 이해를 추구하고, 이 이해를 토대로 하여 구성되는 교육과정, 즉 기독교 주류전통이나 일상의 삶에서 배제된 여성의 경험을 확인하고 성찰함으로써 가부장주의의 억압과 성차별로부터 상처 입은 여성의 자아를 치유하고 성숙하도록 돕는 여성주의 기독교교육과정이 필요하다. 이러한 요청에 부합되는 여성주의 기독교교육과정의 하나가 자전적 글쓰기 교육과정이다. 여성주의 기독교교육과정으로서의 자전적 글쓰기 교육과정을 구성하기 위해 연구자는 Ⅱ 장에서 여성 학습자에 대한 자아 특성을 여성신학적, 심리학적, 철학적 입장에서 탐구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여성은 창조성, 관계성, 통전성을 지닌 존재이자 관계적 자율성을 지닌 주체로서 차이와 다양성을 인정하는 상호작용을 통해 자아가 성숙되고, 통전적 지식을 구성함으로써 몸의 소외에서 벗어나 온전한 인간성을 구현하는 삶을 살아갈 수 있음을 밝혔다. Ⅲ 장에서는 자전적 글쓰기에 대한 이론과 실제를 여성주의 문학과 교육학의 입장에서 탐구하였다. 이를 통해 여성의 자전적 글쓰기가 남근이성중심주의를 해체하고, 여성의 주체를 구성하기 위해 자아를 성찰하고 표현하는 심미적ㆍ정치적 활동임을 알 수 있었다. 여성 학습자들은 교육과정에 참여하면서 자신을 지식 창조자로서 경험하고 주체적인 자기인식과 자긍심을 갖게 되고, 긍정적이고 적극적인 생활태도가 제고되면서 학습능률도 향상되고 심신도 건강하게 된다. 이와 같은 여성의 자아특성과 여성의 자전적 글쓰기 특성에 대한 연구에서 통찰을 얻어, Ⅳ 장에서는 여성주의 기독교교육과정으로서의 자전적 글쓰기 교육과정을 개념화하였다. 즉 자전적 글쓰기 교육과정은 전통적인 기독교교육에서 여성들에게 잘못 전수한 가치와 삶의 양식을 해체하고, 학습공동체 안에서 나와 타자, 그리고 하나님이 함께 하는 여행을 통해 자아를 찾으며, 그 자아를 성숙하게 하는 교육적이고 영적인 여정이다. 자전적 글쓰기 교육과정의 교육 내용은 여성의 경험, 성서 이야기, 사회적 전기로 구성되며, 교수-학습과정은 의식화 및 심미적 교육방법, 대화 및 영성교육 방법을 통해 진행된다. 그리고 이러한 자전적 글쓰기 교육과정에서 요청되는 교사의 모습은 자아를 찾는 여행의 동반자, 후원자, 지식창조자이다. Ⅴ 장에서는 Ⅳ 장에서 개념화한 자전적 글쓰기 교육과정이 여성주의 기독교교육의 장에서 시행될 수 있도록 ‘자전적 글쓰기 교육모형’을 설계하였다. 이 자전적 글쓰기 교육모형은 첫 번째 단계인 창조적 자아를 성숙하게 하는 ‘혼자 하는 여행’, 두 번째 단계인 관계적 자아를 성숙하게 하는 ‘함께 하는 여행’, 세 번째 단계인 통전적 자아를 성숙하게 하는 ‘다시 혼자 하는 여행’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렇게 세 단계로 설계된 자전적 글쓰기 교육모형에 근거하여 이루어지는 자전적 글쓰기 수업의 이해를 돕기 위해 교수-학습활동안을 구성하고, 글쓰기 수업의 실례를 제시하였다. 또한 자전적 글쓰기 교육모형에 따라 진행된 자전적 글쓰기 교육과정의 참여결과를 심층면접을 통해 확인하였다. 심층면접자료 분석결과에 따르면, 학습자들은 자전적 글쓰기를 통해 자아를 만나고 존재의 의미를 발견하면서 자긍심을 회복하고 적극적이고 긍정적인 자아를 형성하였다. 학습자들의 자아개념이 변화되면서 하나님과 관계성이 새롭게 형성되었으며, 이 관계성 안에서 자신의 삶을 성찰하고 하나님의 뜻을 파지한 학습자들은 그 뜻을 인간의 삶 속에서 해석하고 실천하고자 하였다. 즉 하나님과의 관계성의 변화가 타자와의 관계성의 변화로 이어지면서 학습자의 삶이 새롭게 구성되었다. 또한 이들은 삶의 긍정적인 요소를 확장시키고 세상의 아름다움도 발견하면서 사고도 몸도 억압으로부터 자유로워지고 있었다. 자전적 글쓰기 교육과정에 참여하면서 나타나는 이와 같은 통전적인 변화는 여성을 자기-의식적이고 자아-창조적 주체로 서게 하였다. 이 여성들은 앞으로도 이러한 과정을 혼자서 혹은 공동체 안에서 계속적으로 수행하는 가운데 여성의 존엄성을 회복하고 하나님의 형상대로의 인간의 온전함을 향해 나아갈 수 있을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기독교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