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80 Download: 0

2-3세 아동의 용언의 논항구조 발달연구

Title
2-3세 아동의 용언의 논항구조 발달연구
Other Titles
(The) Development of Verb Argument structures in Korean Children aged 2-3 years
Authors
연미나
Issue Date
2003
Department/Major
대학원 언어병리학협동과정
Keywords
2-3세 아동용언논항구조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일반 아동들은 2세를 전후하여 용어의 어휘가 두드러지게 발달하기 시작한다. 용언은 언어습득 이론에서도 중요하며 다양한 문장유형의 발달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용언은 개별 용언의 의미와 통사적 특징에 따라 문장속에서 몇 개의 낱말들을 요구하기 때문이다. 용언이 요구하는 낱말들을 논항(argument)이라고 하고, 이 낱말들간의 관계를 논항구조(argument structure)라고 한다. 선행연구에서는 단순언어장애아동들이 일반아동들에 비해 논항구조유형의 개수가 적고 논항수가 많이 요구되는 논항구조의 산출을 어려워한다고 보고하였다. 또한 단순언어장애 아동들이 이중타동사와 비대격자동사의 논항구조 유형을 잘 산출하지 못한다는 연구가 있다. 영어권의 선행연구에서는 단순연어장애 아동들이 동사 습득을 어려워하는 이유가 동사의 논항구조유형 또는 논항구조의 복잡성과 관련이 있음을 밝혀왔다. 따라서 언어장애아동의 용언중계를 위해서는 일반아동 발화에 나타나는 논항구조 분석을 통해 아동들이 산출하는 용언의 유형을 분류하는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초기 용언들이 출현하는 시기인 2-3세 일반아동의 발화에 나타나는 논항구조의 유형 및 특징을 분석함으로써 언어장애아동의 용언중계에 기초자료가 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우리말의 주요특징인 논항의 생략을 고려하여 논항구조를 분석함으로써 우리나라 아동의 논항구조 산출의 한 특징을 밝히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2-3세 일반아동 77명들이었다. 아동의 논항구조를 분석한 방법은 각 아동에게서 용언이 나타난 발화 70개를 선정하여 각 발화의 논항구조를 분석하였다. 논항구조 분석방법은 3가지 측면에서 실시되었는데, 먼저 아동이 산출한 용언이 본래 요구하는 최대논항구조 분석과, 아동이 실제로 산출한 산출논항구조, 그리고 아동이 생략한 논항들의 생략 유형 분석으로 이루어졌다. 논항구조의 기술방식은 '행위자-대상-착점「또는 '행위자-대상'과 같이 용언이 요구하는 논항의 의미역들간의 관계로 기유형별 생략 빈도를 측정단위로 삼았다. 각 측정단위들의 연령간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일원분산분석과 Scheffe′ 사후검정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2-3세 일반아동들은 연령에 따라 최대논항구조유형수에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고, 각 최대논항구조의 자리수(1항, 2항, 3항)별 출현빈도는 연령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2. 2-3세 일반아동들은 연령에 따라 산출논항구조유형수에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각 산출논항구조의 자리수(무논항, 1항) 별 산출빈도는 연령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3.상황생략의 생략빈도는 연령에 따라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문맥생략과 구조생략, 오류생략의 생략빈도는 연령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정리하면 2-3세 한국 아동들은 최대논항구조의 복잡성 및 유형 보다는 산출논항구조의 복잡성 및 유형에서 연령에 따른 차이를 나타냈다. 또한 2-3세 아동들의 논항행략 유형 중 상황생략의 생략 빈도가 가장 높았는데 이 상황생략의 빈도는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유의하게 감소하였다.;Argument structure(AS) is used to describe the relationship between a predicate and its obligatory or optional arguments. A noun phrase is considered to be an argument of a verb when it occupies the subject or complement positions. Argument-structure complexity refers to the number and kinds of structural information arrayed against verbs in their lexical entrie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development of argument structures in 2-3 age language learners with normally developing language. In particular, we investigated whether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of the numbers and the types of argument structure among four different groups of children at the age of 2;0 to 3;31. 77 children with normally developing language served as subjects in this study. Subjects were divided into four age groups by six months and were exposed to fixed set of play sessions to produce seventy spontaneous utterances with at least one occurrence of predicates (verbs or adjectives). To examine children's ability to produce argument structure of varying complexity, three different notions were referred to for each sentence, which are maximal argument structure (MAS), produced argument structure (PAS), and types of omission of arguments (situational omissions, contextual omissions, structural omissions and error omissions). For each subject, total numbers of types of MAS and PAS were calculated and the frequency of occurrence of each different MAS and PAS was also counted according to the maximal number of arguments (MNA) a predicate requires. The frequency of different types of omission of arguments was also measur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total number of types of MAS used by each subject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s across age, but the analysis of PAS reported a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groups. This fact seems to be related to the strong tendency of the younger groups to omit arguments. (2) Within each of three different categories of predicate (one, two, or three-place predicate), the total occurrences of MAS did not provide any differences among groups. But, the total number of PAS increased significantly across the age in case of 'NULL argument' and 'one-place predicates'. (3) Regarding the types of argument omission, only the situational omission showed significant decrease among four groups. In conclusion, we can consider that argument-structure complexity is related to verb use. But, the precise manner in which this occurred is not yet clear and we should be careful consideration in applying the results to interventions. Studies of this type help us to understand what variables may contribute to children's difficulty with the use of verbs. We could possibly obtain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variability that is seen in children's difficulty in producing a grammatical sentence. Finally, it may provide us with information about intervention techniques that may be used to improve children's ability to produce well-formed sentence with less grammatical error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언어병리학협동과정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