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9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전혜숙-
dc.creator전혜숙-
dc.date.accessioned2016-08-25T06:08:29Z-
dc.date.available2016-08-25T06:08:29Z-
dc.date.issued2002-
dc.identifier.otherOAK-00000002675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159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6753-
dc.description.abstractDealing with people as its main business, human service organizations not only have an unstable organizational environment a d uncertain technology, but also demand more requirements and responsibirit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rovide foundation for social workers to have the stability of job and the sense of achievement in their work. Futhermore, it is important to provide environment for social workers to develop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which motivates them toward organizational goal, even though some of jobs require beyond their role requirement. To develop the major influential factors for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s (conscientiousness, altruism, courtesy, sportsmanship, civic virtue), this study uses organizational justice(distributional justice and procedural justice) and job satisfaction (internal satisfaction and external satisfaction) as independent variables, and need for achievement and demographic variables (sex, age, education level and duration of work) as control variables. In addition to the analysis of above relationship this study also used trust in leader, which is recently widely used as lone of the major factors for effective and efficient organizational management and operation, as an independent variable and interaction variable with above two major independent variables. The customer survey used 122 samples who work as a social worker in 50 community welfare centers in Seoul.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as major analysis to determine the main and moderator effects among the variables. The major findings from the analysis were as followed. First, among the variables used, education level, need for achievement, trust in leader and internal satisfaction had main effects m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However, there were different main effects of independent variables on sub variables of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Only internal satisfaction has main effect on conscientiousness. And for the altruism, courtesy and civic virtue, both need for achievement and internal satisfaction have main effects. Finally, both education level and internal satisfaction have main effects on sportsmanship. Second, from the regression of interaction variable between trust in leader and independent variables to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external satisfaction had moderator effects on it. For the sub variables of the dependent variable, internal satisfaction had moderator effects on conscientiousness, as interaction variable with trust in leader. At the same time, external satisfaction had moderator effects on altruism and sportsmanship, as interaction variable with trust in leader. However, there's no moderator effects of interaction variables on courtesy and civic virtues. From the above results, the most significant variable to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is internal satisfaction in job satisfaction. It had not only main effects on all the sub variables of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variable, but also moderator effects on the variable. Furthermore, even though there was no main effects of external satisfaction o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external satisfaction increased altruism and sportsmanship through moderator effects with trust in leader. Therefore, to increase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it is important to develop work environment where social workers have higher job satisfaction. Such environment can be developed through providing social workers with pride as an expert as well as sense of achievement, developing learning system for self development, and structuring feedback system for interaction with peers or supervisors. And from the moderator effects of trust in leader, interaction with internal satisfaction and external satisfaction, it is indicated that supervisor should develop trust from the subordinate through continuous concerns and consideration as well as consistent behavior.;사회복지조직은 인간을 대상으로 하는 조직이기 때문에 타 조직에 비해 조직 환경이나 기술이 불안정하고 사회적으로 많은 요구와 책임감을 갖고 있다. 따라서 불확실한 조직 환경에 적응하고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 조직 내부적으로 사회복지사들 스스로에게 직무에 대한 안정감과 만족감을 가질 수 있도록 하여 장기적으로 조직의 유효성에 기여할 수 있는 근간을 마련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이를 위해 사회복지사들의 조직신민 행동을 통하여 조직 내에서 맡은 바 업무역할을 잘 수행하는 것 뿐 만 아니라, 업무역할을 벗어난 것이라도 조직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것이라면 자발적으로 기꺼이 수행하는 태도를 발전시켜나가는 것이 필요하다. 이에 조직시민행동과 관련된 기존 연구는 다양한 변수들을 살펴보고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조사 대상자의 성취욕구와 인구학적 특성(성별, 연령, 교육수준, 근무기간)을 통제 한 상태에서 조직시민행동과 관련된 연구에서 가장 많이 다루어지고 있는 변수 중 조직 공정성(절차 공정성, 분배 공정성), 직무만족(내재적 만족, 외재적 만족)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리고 최근 조직의 효율적, 효과적 관리 및 운영과 관련하여 중요한 변수로 주목되는 상사에 대한 신뢰를 함께 연구하였으며, 상사 신뢰가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직접적 영향과 함께 각 독립변수와의 상호작용을 통한 조절효과를 살펴보았다. 이는 상사에 대한 신뢰에 있어 사회복지조직은 그 어느 조직보다도 조직구성원간의 협조와 신뢰를 바탕으로 하여 조직에 대한 효율적 운영과 관리가 필요한 곳이라 할 수 있으나 사회복지조직을 대상으로 한 신뢰 연구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고, 게다가 상사신뢰의 상호작용 효과를 살핀 연구는 국 ·내외에서 거의 보고되지 않았다는 실정을 고려한다면 이에 대한 연구를 하는 것도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조직시민행동을 유도할 수 있는 방안을 살펴보고, 사치복지조직에서의 상사에 대한 신뢰의 중요성을 살펴보고자 하는데 있다. 본 연구를 통해 살펴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복지사가 인지하는 조직공정성, 직무만족, 상사신뢰가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둘째, 상사에 패한 신뢰의 조직공정성, 직무만족과 조직시민행동과의 관계에 대한 조절효과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조사대상은 서울 지역에 있는 50개의 종합사회복지관에 근무하는 일반 및 선임사회복지사로서 설문조사 방법을 이용하였으며, 총 122부의 설문지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변수들의 직접적 영향과 조절효과를 살피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이용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직시민행동의 각 하위변수별로 변수들의 직접적인 영향을 살펴보면, 먼저 양심적 행동에 있어서는 내재적 만족이 직접적 영향을 미쳤다. 이타주의 행동에 대해서는 성취욕구, 내재적 만족이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고, 예의바른 행동에는 성취욕구, 내재적 만족이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쳤다. 그리고 정당한 행동에서는 교육수준과 내재적 만족이 직접적인 영향을 보였으며, 참여적 행동에 있어서는 성취욕구, 내재적 만족이 영향을 미쳤다. 전체 조직시민행동에 대해서는 교육수준, 성취욕구, 상사신뢰, 내재적 만족이 직접적 영향을 미쳤다. 둘째, 조직시민행동의 각 하위변수별로 조직공정성과 직무만족, 상사신뢰가 상호작용을 일으켜 조절효과를 보인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양심적 행동에서는 내재적 만족과 상사신뢰가 상호작용하여 조절효과를 보였으며, 이타주의 행동에 대해서는 외재적 만족과 상사신뢰가 상호작용하여 조절효과를 나타내었다. 예의바른 행동에서는 상사신뢰 가 조절효과를 보이지 않았고, 정당한 행동에서는 외재적 만족과 상사신뢰의 상호작용항이 조절효과를 나타냈으며, 참여적 행동에서는 조절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전체 조직시민행동에서는 외재적 만족과 상사신뢰가 상호작용하여 조절효과를 보여주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들을 통해 조직시민행동에 가장 영향력 있는 변수는 직무만족 중 내재적 만족임을 알 수 있다. 내재적 만족은 조직시민행동의 모든 하위변수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었고, 상사신뢰와 상호작용을 일으켜 조절효과도 보여줌으로써 내재적 만족이 높을때 상사신뢰가 높아진다면 양심적 행동과 같은 조직시민행동이 높아진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외재적 만족은 조직시민행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추지는 않지만, 상사신뢰와 상호작용을 일으켜 조절효과를 나타냄으로써, 이타주의 행동, 정당한 행동과 같은 조직시민행동이 증가하게 된다는 것이 증명되었다. 따라서 사회복지사의 조직시민행동을 높이기 위해서는 사회복지사들에게 자신의 업무에 대한 만족감을 높여주는 것이 중요하겠다. 즉, 자신의 업무에 대한 전문가로서의 자부심과 보람을 심어주어야 하며, 개인적 능력 개발과 관련된 교육의 기회, 자기개발의 기회를 자주 가질 수 있는 학습 시스템이 확립되어야 하며, 서로의 업무와 관련된 사항에 대해 동료나 상사의 feedback을 교환할 수 있는 체계가 조직내에 자리잡히는 것도 사회복지사들의 내재적 만족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이라 할 수 있다. 그리고 상사의 신뢰가 내재적 만즉, 외재적 만족과 상호작용 효과를 보여주는 결과와 관련하여, 상사의 위치에 있는 사회복지사는 부하직원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과 배려적 태도를 가지고, 업무나 관계에 있어 일관적인 가치관과 행동을 보임으로써 책임감과 성실성을 인정받아 신뢰를 쌓아나가는 것이 중요하겠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논문개요 = ⅴ Ⅰ.서론 = 1 A. 문제제기 = 1 B. 연구 목적 = 3 Ⅱ. 이론적 배경 = 5 A. 조직시민행동 = 5 1. 조직시민행동의 개념 = 5 2. 조직시민행동의 하위차원 = 7 3. 조직시민행동의 선행요인 = 10 B. 조직 공정성 = 12 1. 조직 공정성의 개념 = 12 2. 조직 공정성과 조직시민행동 = 12 C. 직무만족 = 14 1. 직무만족의 개념 = 14 2. 직무만족의 중요성 = 16 3. 직무만족과 조직시민행동 = 16 D. 상사에 대한 신뢰 = 18 1. 신뢰의 개념 = 18 2. 상사에 대한 신뢰 = 19 3. 상사에 대한 신뢰와 조직시민행동 = 20 Ⅲ. 연구 설계 및 방법 = 25 A. 연구 모형 = 25 B. 연구 질문 = 26 C. 연구대상 및 자료 수집 방법 = 27 1. 연구대상 = 27 2. 자료수집 방법 = 28 D. 변수에 대한 조작적 정의와 측정도구 = 28 1. 종속변수 = 28 2. 독립변수 = 29 3. 조절변수 = 30 4. 통제변수 = 31 E. 자료 분석 방법 = 31 F. 척도의 구성 및 신뢰도 = 32 Ⅳ. 연구결과 = 34 A.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 34 1. 조사대상자의 인구학적 특성 = 34 2. 조사대상자의 직업경험 및 기관의 일반적 특성 = 37 B. 각 변수들에 대한 기술적 분석 = 39 C. 변수별 조직시민행동에 대한 영향 분석 = 40 1. 각 변수간의 상관관계 = 40 2. 조사대상자의 개인적 특성 및 직업경험에 따른 조직시민행동에 대한 영향분석 = 43 3. 변수별 조직시민행동에 대한 회귀분석 결과 = 49 Ⅴ. 결론 및 제언 = 61 A. 연구결과 요약 = 61 B. 연구결과에 대한 함의 및 제언 = 66 참고문헌 = 70 설문지 = 78 Abstract = 8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72712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사회복지사-
dc.subject조직-
dc.subject시민행동-
dc.subject상사-
dc.title사회복지사의 조직시민행동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상사에 대한 신뢰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dc.format.pagevii, 87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사회복지학과-
dc.date.awarded2003.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