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32 Download: 0

낙태 경험을 통해 본 '미혼' 여성의 섹슈얼리티(Sexuality) 인식 변화에 관한 연구

Title
낙태 경험을 통해 본 '미혼' 여성의 섹슈얼리티(Sexuality) 인식 변화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Study On Change Of 'Unmarried' Woman's Perspective On Sexuality Through The Experience Of Abortion
Authors
최원영
Issue Date
2002
Department/Major
대학원 여성학과
Keywords
낙태 경험미혼 여성섹슈얼리티Sexuality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논문은 여성들이 말하는 낙태 경험이 드러나지 않고 낙태에 대한 단선적 담론, 낙태반대운동 속에서 여성들의 낙태 경험의 다양한 층위가 은폐되고 획일적으로 읽혀진다는 문제제기에서 출발했다. 특히 1990년대 이후 평등하고 상호적인 관계, 주체적 자아에 대한 욕구 속에서 성 경험을 하는 여성들이 등장하고 있는데 이들이 그럼에도 불구하고 낙태를 하게 되는 과정 그리고 이들에게 낙태가 가지는 영향·의미에 주목하여 낙태의 구조적 성격과 특정 맥락에 위치한 여성들의 섹슈얼리티에 대한 인식 과정과 그것의 의의와 한계를 중점적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참여자들은 대학교 재학 이상의 학력 그리고 중산층의 20대 여성으로 혼전 임신을 하고 낙태를 하였다. 어느 수준의 성차별에 대한 비판적 인식은 있다고 스스로를 생각하는 연구참여자들에게 섹슈얼리티는 비관적 인식의 여부를 증명하는 기준이자 다른 여성과 자신을 분리하는 지점 그리고 자아를 구성하는 장으로 작동하고 있었다. 이들은 가부장적 의미체계에서 규정하듯이 무성적인 존재도 아니고, 여성 섹슈얼리티 억압에 대한 비판적인 인식도 가지고 있었다. 그러나 성 지식의 결여로 인해 혹은 성관계에 개입하는 다양한 기제로 인해 성 관계에 대한 통제권이 축소되거나 상실되었다. 연구참여자들은 남성 파트너와 이성애 연애 규범을 통해 재현되는 여성의 성과 몸에 개입하는 다양한 기제와의 갈등 속에서 낙태를 하게 되었다. 낙태는 여성의 성을 통제하는 사회적 담론과 직접적으로 충돌하는 계기이자 다층적 갈등의 촉매로 작동했다. 연구참여자들에게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주요한 갈등은 결혼 내의 성만을 허용하는 성 규범과의 갈등이다. 순결이데올로기에 대한 비판적 인식이 있었고 그것과 갈등하면서 성관계를 가졌지만 낙태는 그러한 규범에 대한 비판의식의 피상성과 추상성을 드러내었다. 생명 우선론의 개입에 대해서는 가치관, 준거집단에 차이에 따라 위축되기도 하고 그러한 담론에 '말리지 않으려는' 노력을 하는 등 다양한 대응이 나타났다 또한 스스로에 대한 기대에 못 미치는 행동의 증표로 낙태가 읽혀지면서 그로 인한 자존감과 자의식의 손상을 경험하기도 하였다. 연구참여자들은 이러한 갈등을 극복하기 위한 노력을 보이는데 이는 갈등에 대한 성찰에서부터 시작했다. 그러고 이론가, 학자들의 논의를 통해서 자신의 경험을 이론화시키고 정당화하려는 적극적인 모습을 보였다. 낙태 경험을 공유하기도 하지만 이는 제한된 대상으로 한정된다. 이는 현재의 성 억압 속에서 현실적인 전략이기도 하지만 낙태 경험 공유는 억압적 성 규범에 대한 비판과 대안적 규범에 대한 모색, 집단화된 저항으로 연결되기보다 정서 ·심리를 치유하는 역할에 그치는 한계를 보인다. 낙태로 인한 일련의 갈등과 이를 극복하고자 하는 과정을 통해 연구참여자들의 섹슈얼리티에 대한 인식 변화를 볼 수 있다. 그런데 연구참여자들은 낙태 후 피임의 철저한 시행에 지나치게 의존하는 모습을 보인다. 결혼을 안한 위치에서 임신을 했다는 것이 가장 문제적인 것으로 부각되기 때문에 미혼 여생의 성을 억압하는, '미혼' 여성의 낙태를 비판하는 성 규범에 도전하기보다 몸에 대한 규제와 통제, 피임 지식 확보와 철저한 시행을 우선적이거나 핵심적인 것으로 여기는 것이다. 그러나 한편으로 이성애 연애관계 구조와 성별권력관계에 대한 구체화된 인식 속에서 이성애 제도와의 타협을 통해 관계 내에 권력을 확장하거나 이성애 제도 자체를 거부하는 양상을 보인다. 결혼 제도를 준거로 하는 성 규범은 여전히 강력하게 여성들을 억누르고 있지만 가치관, 비판적 의식의 정도, 지지집단의 성향과 영향력 등 조건의 차이에 의해 인식의 변화 정도, 그리한 변화가 창출해내는 지점도 차등적으로 나타나는 것이다. 본 논문은 특정한 조건에 위치한 여성들에게 성은 자아를 구성하고 실현하는 핵심적인 기제로 작동하고 있음을 밝혔다. 여성들의 성 억압에 대한 비판적 인식은 추상적이고 피상적인 측면이 있으며 이로 인해 낙태로 인한 갈등을 개인적인 차원에서 해소하려 하고 결혼 제도 내의 성만을 허용하는 성 규범에 위축되는 모습이 공통적으로 보이지만, 현실과의 타협 혹은 거부 등 기존의 설 규범에 대한 대응은 연구참여자들의 다양한 위치에 따라 차등적으로 나타남을 드러내었다. 즉 연구참여자들의 조건에 차이에 따른 낙태로 인한 갈등의 다양성을 드러냄으로써 낙태는 맥락화되어 있는 구조화된 경험임을 제시하였고 여성들의 성이 놓인 모순적이고 다층적 맥락, 현재 미혼 여성들에게서 보이는 변화의 가능성과 한계절 지점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본 논문의 의와를 찾을 수 있다.;The issue of abortion rarely rose upon surface in the voice of women and too often such experience was either concealed or seen with much bigotry, what with anti-abortion campaign and fragmentary discussion concerning the issue. Having said these, and the fact that women -who've come to more equal, mutual terms with men in everyway and perform sexual intercourse out of their independent ego since 1990s- still end up having abortion these days clearly indicate that the matter shouldn't go unheeded.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meaning and limits of the process in which women recognize her sexuality by studying the influence of abortion on women under certain circumstances. The participants in this research are educated(either college graduates or undergraduates) middle-class women in their 20s who've had abortion due to premarital sex. For these women who regard themselves to be will equipped with critical power against sexual discrimination, sexuality acted as a benchmark for verifying whether such critical power actually exists or differentiates oneself from other women, and the arena in which women build her identity. They were not -as how patriarchal society put it-'asexual' creatures but had critical awareness about oppression of female sexuality. However, due to lack of contraceptive knowledge or various mechanisms intervening in sexual relationship, they have lost(or have less) control over sexual relationship. The participants end up having abortion in the wake of dilemma in which norms of heterosexual love with their male partner revives women's sexuality and diverse mechanisms intervening in women's body. Abortion flew in the face of social discourse attempting to control female sexuality and worked as a catalyst for the conflict to evolve into a more complex one. The main conflict commonly found in participants is the norm that allows sexual relations only between married couples. Although they were critical of chastity ideology and had sexual intercourse, exercising abortion revealed their critical awareness was but superficial and abstract. About the intervention of 'pro-life', the response varied as some women were cowered in accordance to their values or rules they go by while some tried their best not to be convinced to such discourse. Also, some had their sense of self-esteem and self-consciousness injured as they interpretate the experience of abortion as a behavioral failure far from their expectations.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showed efforts to overcome such conflicts which begin with self-examining the conflict. They actively try to justify their experience through consulting with scholars. In some cases, they share the experience of abortion but to limited subjects. That is the realistic strategy in current sexual oppression. However, sharing the experience of abortion has succeeded in curing emotion and psychology but was not enough to lead to criticism against oppressive sexual norms and search for alternative norms or collective protest . We can see the participant's change of perspective of sexuality through a series of struggle caused by abortion and their efforts to overcome it. Yet the participants rely heavily on practicing out-and-out contraceptive measures. Because the fact that they got pregnant out of wedlock is the reason they are most condemned for, instead of taking on the oppressive sexual norm which criticizes unmarried women's abortion, they regard regulating their body along with being fully aware of contraception measures and its thorough practice as most important. But on the other hand, being aware of structure of hetero-sexual love and power relationships according to sex distinction in a concrete way, they appeared to extend their power in relationships through compromising with the institution of hetero-sexual love or to disapprove the institution itself. Sexual norm in conformity to institutional marriage still oppresses women strongly. Nevertheless owing to different conditions such as ons's values, level of critical awareness, and the support group's tendency and influential power, certain degree of change in cognition and the results such change of perspective brought about comes to light in sequence. This study found that for women placed in particular condition, sexuality functioned as a key mechanism in developing and realizing their egos. Women's critical view toward society's oppressive sexual norm was abstract and superficial in some aspect and as a result of that, they were invariably unnerved by the sexual norm which does not tolerate sexual relation outside marriage and tried to take the matter(conflict raised by abortion) into their own hands. However, the participants' response to established sexual norm such as compromising with -or not yielding to- reality appeared to vary according to their diverse situations. In a nutshell, the study presented abortion as an organized experience by revealing diversity in conflict due to the disparity in participant's condition. Moreover, the study suggests both the possibility and limitation of changing perspective shown by unmarried women these days as female sexuality can only be understood in a complex, even contradictory context.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여성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