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3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황빛나-
dc.creator황빛나-
dc.date.accessioned2016-08-25T06:08:29Z-
dc.date.available2016-08-25T06:08:29Z-
dc.date.issued2002-
dc.identifier.otherOAK-00000002674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159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6747-
dc.description.abstract본 논문은 일본근대의 대표적인 남화가이자 한국근대의 대표적인 제 1세대 산수화가인 허백련과 변관식이 사사받는 등 한국근대화단과도 밀접한 관계를 맺어온 고무로 스이운(小室翠雲 1874-1945)의 작가상을 남화론과 산수화풍이라는 맥락에서 분석한 것이다. 고무로 스이운이 활동하였던 메이지(明治)에서 쇼와(昭和) 전기에 이르는 시기는 일본 내에서 각종 외국문물과 제도의 수입이 이루어져 근대국가로서의 면모와 가치관이 정비되던 시기로, 에도(江戶) 시대 중기에 수입되어 일본 내의 지식인들과 교양인들을 중심으로 유행, 확산되었던 남화는 당시 식산흥업정책과 국수주의적인 맥락에서 평단 및 화단에서 구태의 대표적인 산물로서 배척되며 급격하게 그 존재론과 지지기반이 약화되게 되었다. 이 가운데 형식화되고 남화 본래의 정신성도 약화되게된 남화는 당시 페놀로사(Ernest Fenollosa)와 오카쿠라 덴신(岡倉天心)을 중심으로 진행되었던 신일본화에 대항하여 남화가 및 일본 고유의 야마토에 제 유파들(土佐派, 住吉派, 圓山濫條派)에 속하였던 보수적인 화가들과 함께 일본미술협회를 거점으로 활동하면서 새로운 시대의 변화상을 수용한 나름의 변혁을 꾀하였다. 이 같은 이른바 일본화 舊派 중 가장 극심한 변화를 겪은 것이 남화로 1907년 개설된 文部省美術展覽會 이래의 일본 관전에서는 일부 신진 남화가들을 중심으로 기존의 화보식 구성과 표현기법에 서구의 '사생', '실경적'인 요소를 가미하여 주관과 객관을 절충시킨 개량적인 남화표현이 시도되었다. 한편 다이쇼(大正)기에 들어서 남화의 표현성과 기법- 특히 미점법을 서구의 인상주의 이후 후기인상주의 및 표현주의에서 시도된 표현양식 및 사상에 접목 시키고자 하는 일련의 신남화운동이 신진 일본화가들과 일본의 서양화가들 통해 이루어짐으로써 남화의 새로운 가치가 재평가되게 되었고 남화는 보수와 급진이라는 양극단에서 남화단 자체 내에서의 보다 적극적이고 원론적인 새로운 남화상 정립의 필요성 이 또한 대두되게 되었다. 이 같은 민감한 시대의 조류를 적극적으로 수용하며 남화개혁을 시도하였던 대표적인 화가가 고무로 스이운으로, 개인적인 작품활동을 중심으로 소극적인 활동을 하였던 당시의 남화가들과 달리 쇄퇴의 길에 접어든 남화의 진흥을 위해 당시 관동과 관서로 분리되어 각기 다른 길을 걸어온 남화단을 통합하고 대중을 대상으로 한 다수의 남화교습서 및 교습단체를 결성하여 남화의 대중화에 결정적인 역할을 담당한 것은 당시 남화가들과는 구별되는 독특한 화업이라 하겠다. 또한 일본 외 중국, 대만, 한국을 아우르는 광범위적인 교류를 형성하며 남화를 중심으로 한 동아시아의 대동단결을 도모하였던 그의 정치적인 미술활동이 동아시아국가들의 근대산수화양식 및 관전양식의 형성과정에 끼친 영향력 또한 간과할 수 없을 것이다. 따라서 1910년대부터 진행되어온 고무로 스이운의 남화진흥론과 이에 근간된 산수화풍의 변화는 당시 화단 내의 남화담론 및 양식변화상을 가장 극렬히 반영해준다고 하겠다. 따라서 그간의 일부 개개 남화가들의 화풍 연구만으로 유추 해왔던 일본근대남화상을 고무로 스이운을 매개로 보다 근본적이고 구조적으로 당시의 담론적인 측면까지를 아우를 수 있는 종합적인 연구가 가능하다고 보여 진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그간 이루어지지 않았던 고무로 스이운이라는 작가에 관해 화업 및 화론, 대표적인 산수화풍의 핵심적인 면을 종합, 고찰함으로써 이후 이루어질 일본근대남화 및 한국근대산수화 관전양식 연구에 그간 공백으로 남아있던 고무로 스이운이라는 부분을 보강함으로써 보다 근본적이고 총체적인 연구에 일조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This thesis analyzed the features of painter Komuro Suiun (小室翠雲, 1874~1945), who was a prominent Namhua(南畵) painter in modem Japan and had maintained a close relationship with Korean modem artistic circles as he gave instructions to Heo Baek-ryeon(許百鍊) and Pyo˘n Kwm-sik(卞寬植), the representative first generation landscape painters in modem Korea, in the context of the Namhua Promotion(南畵振興) and landscape painting style. Komuro Suiun's time was when Japan was improving its national features and value system as a modem country. Thus, Namhua, which had been imported in the mid Edo Period(江戶時代) and popularized among intellectuals and the cultivated, was rejected as obsolete remains and lost its ground. As a result, since the Ministry of Education Fine Arts Exhibitions (文部省美術展覽會) was launched in 1907, the Namhua group attempted an improved expression technique that compromised between subjectivity and objectivity by adding western 'sketching'(寫生) and 'realistic Landscape' (實景) to existing pictorial configuration and expression technique. On turning the Daisho period(大正期), on the other hand, 'the New Namhua Movement'(新南畵運動) was launched as an attempt to introduce the expression and technique of Namhua into western expression styles and ideas such as impressionism and expressionism, and the movement required the establishment of more active and fundamental character of Namhua. It was Komuro Suiun who led the reformation and revival of Namhua, conforming actively to the delicate trend of the age, differently from other Namhua painters who were individualistic and acted passively. In addition, his artistic activities with a political motive for unifying East Asia including China, Taiwan and Korea as well as Japan through extensive exchange based on N m h w exerted a great influence on the process of the establishment of modem landscape paining styles and the pattern of the government fine art exhibitions in East Asian countries. Accordingly, Komuro Suiun's theory of Namhua Promotion(南畵振興論) and changes in landscape painting styles based on the theory since 1910 represent discussions on Namhua and style changes occurred in the artistic circle at that time. Therefore, the present study aims at contributing to a more fundamental and comprehensive study on modem Japanese Namhua and modem Korean landscape paintings, especially study on the style of Japanese and Korean Governmental Fine Arts Exhibition(官展), through examining Komuro Suiun's paintings, theories and representative landscape painting style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論文槪要 = ⅴ Ⅰ. 머리말 = 1 Ⅱ. 小室翠雲의 生涯 = 5 1. 성장배경과 교육환경 = 7 1) 성장배경 = 7 2) 師承關係 = 13 2. 화단활동 = 23 Ⅲ. 小室翠雲의 남화진흥론 = 31 1. 일본근대남화의 흐름 = 31 2. 小室翠雲의 南畵인식 = 35 1) 사생과 개성의 강조; 大正期 新南畵運動과 南畵新論 = 35 ① 사생의 강조 = 35 ② 개성의 연마 = 41 2) 남화대중화와 화보식 이론서의 출간 = 44 3) 大同亞共榮과 南畵: 1940년대 이후 = 49 Ⅳ. 小室翠雲의 山水畵風 = 51 1. 畵脈 및 초기화풍 = 51 1) 畵脈 = 52 2) 초기화풍 = 56 ① 1900년 경 이전의 화풍 = 56 ② 1905년 이후부터 1910년 전후의 화풍 = 58 2. 1910년대; 전람회미술로서의 변용 = 60 1) 文展출품작 = 61 2) 일반화풍 = 64 3. 1920~1930대 초; 사생경의 도입과 畵題의 다양화 = 67 1) 帝展 및 日本南畵院 출품작 = 68 2) 일반화풍 = 70 4. 1930년대 후반~45년; 문인화로의 회귀 = 73 Ⅴ. 맺음말 = 75 參考資料 = 78 作家年譜 = 80 參考文獻 = 83 圖版目錄 = 96 圖版 = 100 ABSTRACT = 12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561790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소실취운-
dc.subject남화진흥론-
dc.subject산수화풍-
dc.subject미술사학-
dc.title小室翠雲의 남화진흥론과 山水畵風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Komuro Suiun's Theory of Namhua Promotion and His Landscape Painting Style-
dc.format.pagevi, 126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미술사학과-
dc.date.awarded2003.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미술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