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8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이지윤-
dc.creator이지윤-
dc.date.accessioned2016-08-25T06:08:28Z-
dc.date.available2016-08-25T06:08:28Z-
dc.date.issued2002-
dc.identifier.otherOAK-000000026746-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159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6746-
dc.description.abstractThis thesis targets to investigate 'No Ahn Do', or paintings of wild geese in reed fields, which started out in the Koryo Dynasty and have formed distinct periodical characteristics while being continuously created in the Chosun Dynasty as well as the Modem Era, but have not been the focus of detailed academical attention. This thesis aims to mainly focus on the modal aspects of No Ahn Do to consider the aspects of its development while keeping in mind the changes in the classes that supplied and sought these paintings as well as the changes in consciousness related to the subject matter. Records indicate that geese have started to appear on paintings as an independent subject since the 4th century in China, and it seems that the formality of including reeds in the painting has been established during the 10th century at the latest. This formality expands to the Huu Bei (華北) region, later to spread to Korea as well. These facts can be confirmed through records in 『Dong Moon Sun 東文選 』, and the patterns seen on various craftwork allows one to conjecture that the basic formality of No Ahn Do was already established in this period. The Chosun Dynasty saw 'No Ahn (蘆雁)' become perceived as a symbol of harmonious nature as well as unworldly. It can be conjectured that the people of higher classes, known as Su Due Bu (:士大夫), produced and enjoyed No Ahn Do to feel thetaste of the ideal autumn scenery of the Kang Nam (江南) region, their spiritual home land. Such inclinations continued until around the 17th century. However, by the 18th century, the focus shifted from the existingideological focus to expressing images with the rising popularity of Kil Sung Hwa (吉祥畵, paintings of beauty and good fortune), which resulted from an increasingly larger demand for it, as well as the advent of middle class (Joong In (中人)) Yeo Hang Moon In (閭巷文人 - wealthy middle class artists)) who had quickly risen to become the class that also appreciated and produced No Ahn Do. As one can see, No Ahn Do was produced throughout the entire Chosun Dynasty, especially becoming largely popular in the mid-Chosun period, forming a wide variety of types and formality. I have categorized No Ahn Do from the Chosun Dynasty in to 3 categories - Jung Ahn Type (汀雁形, geese on water) which was popular during the beginning and middle of the Chosun Dynasty, Nak Ahn Type (落雁畵, geese landing on ground), and Hap Sung Type (合成形 geese gathered together), which both appeared in the late Chosun period to become largely popular. Such changes in motif is also related to the changes in the class of people who appreciated and produced these paintings. In the modal aspect, Jung Ahn type No Ahn Do was painted on small picture book style surfaces mainly using the So0 Mook(水墨, water and ink) method, favoring the So Gyung type composition, while the scenery description featured many characteristics of Chinese Jul Pa Hwa Poong (浙派畵風) until the 17th century. Meanwhile, since the 18th century, new Hap Sung type paintings, influenced by Chinese picture books, became the mainstream. This new trend compromised the use of Soo Mook (水墨, water and ink), and Darn Chae (淡彩, water colors), while adopting a Due Kyung type composition that enlarged the scenery. It also used a larger surface. One can realize that the changes in the classes of people that appreciated and produced No Ahn Do, and the differences of the artists' intentions are major elements in deciding the wide variety of Chosun Dynasty No Ahn Do paintings. It is not only true for the Chosun Dynasty, but also for pieces produced in the Modern era as well. Meanwhile, during the end of the 19th century, an innovative artist named Jang Seung Up appeared with the support from the Yeo Hang Moon In (閭巷文人), to provide a new opportunity for No Ahn Do to become popular once more. Worth noticing is that during this period, a large increase in demand was seen as the existing meaning and the Kil Sang style meaning of 'comfortable life during one's old age' became combined. Artists like Yang Ki Hoon (楊基薰) who exclusively painted geese appear on the scene as well. Artists of later ages eclectically accept Jang Seung Up and Yang Ki Hoon's modality to form a trend. Hyup Jang type (狹長式, long and narrow) surfaces were preferred, constituting a top-and-bottom symmetrical composition. Soo Mook Dam Chae (水墨淡彩) was the preferred style, with a balanced variety of Jung Ah, Hap Sung and Nak Ahn type paintings. However, all 3 types showed one or more pair(s) of geese, whch is thought to have relevance with the Kil Sangmeaning of No Ahn Do. Meanwhile, since the 1920s, new changes were experimented in the selection of scenery, Sul Chae methods (coloring over ink drawn backgrounds), and the modality of geese representation, which were all based on modality of the so-called civilized era, continuing its tradition until after the restoration of independence of Korea.;본 논문은 高麗時代부터 시작하여 朝鮮時代, 近代期를 통하여 뚜렷한 시대별 특성을 형성하면서 지속적으로 그려졌으나 아직까지 구체적인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은 麗雁圖를 연구의 대상으로 하여, 공급 및 수요층의 변화와 이에 따른 주제 의식의 변화를 염두에 두면서 주로 樣式的인 側面에 초점을 맞추어 그 전개 양상을 고찰한 것이다. 기록에 의하면 中國에서는 이미 4세기 무렵부터 기러기가 독립된 書目으로 그려지기 시작하였고, 늦어도 10세기 경에는 갈대와 함께 그려 넣는 형식이 성립되었던 것으로 보이며, 이는 華北 지역으로 확산되어 결국 우리나라에까지 전하여진다. 이러한 사실은 『東文選』의 기록을 통하여 확인할 수 있으며, 각종 工藝品에 나타난 문양을 통하여 이 시기에 이미 노안도의 기본 형식이 성립되어 있었다는 사실을 짐작할 수 있다. 조선시대에 들어 '蘆雁' 은 조화로운 자연세계와 脫俗의 표상으로서 인식되어 土大夫들은 노안도를 제작, 감상하면서, 자신들의 정신적 고향이기도 한 江南 지방의 이상적인 가을경을 연상하고 흥취를 느꼈던 것으로 생각된다. 이러한 성향은 17세기 무렵까지 지속되었으나, 18세기로 접어들면서 수요층의 확대에 따른 吉祥畵의 유행, 그리고 새로운 감상 및 제작층으로 급부상한 中人層 출신의 閭巷文人들의 등장으로 기존의 이념적인 부분보다는 이미지 표현에 주력하게 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이처럼 노안도는 조선시대 전 시기에 걸쳐 그려졌으며, 특히 조선 중기 이 후로 크게 성행하면서 다양한 유형과 형식을 형성하게 된다. 현존하는 조선 시대 노안도를, 初期와 中期에 유행한 汀雁形과, 後期에 새롭게 나타나 유행한 落雁形, 合成形의 세 가지로 크게 분류하였는데, 이러한 모티브의 변화 역시 감상층 및 작가층의 변화와 관련이 있다. 양식적인 면에 있어서는 17세기 무렵까지의 汀雁形에서는 畵岾 형식의 작은 화면에 水墨 위주로 제작되었으며, 小景式 構圖를 즐겨 사용하였고, 주변 경물 묘사에 있어서는 중국 의 浙派畵風의 특징들이 드러나 있다. 한편 18세기 무렵부터는 중국으로부터 유입된 畵譜類의 영향을 받아 새롭게 合成形 작품들이 주류를 이루게 되었으며, 水墨과 淡彩를 절충하였고, 주변 경물도 확대된 大景式 구도를 취하고 있으며, 화폭의 규모도 커졌다. 여기서 노안도의 수요 및 공급층 신분의 변화, 이에 따른 作畵意圖의 차이는 조선시대 노안도의 다양한 성격을 결정하는 주요 요건이었음을 알 수 있으며, 이는 조선시대뿐만 아니라, 근대기의 작품들에도 적용되는 것이다. 한편 19세기 말엽, 여항문인의 후원하에서 張承業이라는 혁신적인 화가가 등장하여 노안도가 새롭게 유행하는 계기를 마련하였는데, 본 논문에서는 이를 근대기의 시작으로 보았다. 특히, 이 시기에는 기존의 의미와 '노후의 평안' 이라는 길상적인 의미가 복합되면서 수요면에서 큰 증가세를 보여 場基燕 같이 기러기만을 전문으로 그리는 화가까지 등장하기에 이른다. 후대 의 작가들은 장승업, 양기훈의 양식을 절충적으로 받아들여 하나의 흐름을 형성하였다. 화폭 형식에 있어서는 狹美式 화면이 선호되었으며, 상하 2단의 대칭 구도를 이루고 있다. 수묵담채풍이 유행하였고, 汀雁形과 合成形, 落雁形이 고루 그려졌으며, 거의 예외 없이 한 쌍 이상으로 묘사된 바, 이는 노안도가 지니는 길상적인 의미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한편, 1920년대부터는 이러한 開化期 양식을 바탕으로 구도나 주변 경물의 선택, 설채법, 기러기의 표현 양식 등에 있어서 새로운 변화들이 시도되었으며, 이러한 특성들은 광복 이후까지도 그 맥이 이어졌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論文槪要 = ⅱ Ⅰ. 머리말 = 1 Ⅱ. 蘆雁圖의 기원과 전파 = 5 1. 中國의 蘆雁圖 = 6 1) 문헌 기록상의 蘆雁圖 = 6 2) 현존 작품의 고찰 = 10 2. 高麗時代의 蘆雁圖 = 17 Ⅲ. 朝鮮時代의 蘆雁圖 = 24 1. 題畵詩에 의한 고찰 = 24 2. 형식 분류와 제반 작품의 분석 = 30 1) 汀雁形業 = 31 2) 落雁形式 = 50 3) 合成形式 = 51 Ⅳ. 近代期의 蘆雁圖 = 60 1. 開化期의 蘆雁圖 = 61 2. 植民地時期와 1950年代 = 86 Ⅴ. 맺음말 = 96 參考文獻 = 99 圖版目錄 = 108 圖版 = 112 ABSTRACT = 13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638694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한국-
dc.subject노안도-
dc.subject미술사학-
dc.subjectNo ahn Do-
dc.title韓國 蘆雁圖 硏究-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No ahn Do-
dc.format.pageiii, 136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미술사학과-
dc.date.awarded2003.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미술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