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5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석말숙-
dc.creator석말숙-
dc.date.accessioned2016-08-25T06:08:28Z-
dc.date.available2016-08-25T06:08:28Z-
dc.date.issued2003-
dc.identifier.otherOAK-00000002881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158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8812-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임상장면에서 종교적인 고려의 중요성이 제기되고 있는 바, 인생의 중도에 갑작스런 '장애'를 경험한 자들을 대상으로, 종교(기독교로 제한하여)적 특성이 장애 발생 이후에 변화한 심리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고자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중도지체장애인의 장애수용, 배우자적응, 정신건강 등의 심리적 적응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종교의 여러 측면들을 반영하기 위해 종교성과 종교적 동기에 따른 영향력의 정도를 살펴보았다. 또한 중도지체장애인의 심리적 적응과 종교적 특성 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장애관련 특성 등을 살펴보았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연구질문을 갖는다. [연구질문 1] 중도지체장애인의 종교적 특성(종교성과 종교적 동기)은 중도지체 장애인의 장애수용정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연구질문 2] 중도지체장애인의 종교적 특성(종교성과 종교적 동기)은 중도지체 장애인의 배우자 적응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연구질문 3] 중도지체장애인의 종교적 특성(종교성과 종교적 동기)은 중도지체장애인의 정신건강(스트레스와 우울)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본 연구의 조사는 2002년 12월부터 2003년 2월까지 중도에 지체장애를 가지게 된 기혼자 312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조사도구로는 종교성 척도, 종교적 동기 척도, 장애수용 척도, 배우자적응 척도를 사용하였고, 정신건강을 측정하기 위해 우울 척도와 스트레스 척도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PC+ 10.0을 사용하여 기술적 분석, t검증과 F검증,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연구대상의 일반적인 특성에 따른 측정변인의 차이 연구대상의 특성에 따라 주요 측정변인별로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본 결과, 대상자 가족의 소득정도가 중도지체장애인의 사적인 종교행위에 차이를 가져옴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장애기간에 따라 대상자의 공적종교성과 주관적 종교성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종교를 믿는 목적 가운데 개인적 동기는 장애기간에 따라 차이를 나타낸 반면 사회적 동기는 장애기간에 따른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상자의 장애수용에 차이를 주는 요인으로는 학력, 가족 월평균소득, 고용상태, 장애정도, 장애기간 등이 지적되었다. 특히 대상자의 학력과 고용상태는 장애를 특출하게 여기지 않는 것에, 가족 월평균소득은 자기만족과 보상적 행동의 질에 차이를 보여주었다. 또한 장애정도는 자기만족과 장애를 특출하게 여기지 않는 것에, 장애기간은 자기만족 및 보상적 행동의 질에 차이를 주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인 변인 중에서 연령과 최종학력이, 장애관련 변인 중에서는 장애 정도가 배우자적응에 차이를 주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먼저 대상자의 연령은 부부일치도에, 대상자의 학력은 부부의 결합도에, 대상자의 장애 정도는 부부간의 애정표현에 차이를 나타내었다. 대상자의 스트레스 수준은 연령, 가족의 월평균소득, 장애정도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먼저 연령의 증가가 대상자의 스트레스 수준에 차이를 가져왔으며 가족의 월평균 소득에 50만원 이하인 경우 스트레스가 가장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고, 200만원 초과의 고소득 집단에서는 스트레스가 가장 낮았다. 또한 장애정도가 심해질수록 스트레스가 높게 나타났다. 중도지체장애인의 우울 수준에 차이를 가져오는 요인으로는 대상자의 연령, 최종학력, 가족의 월평균소득, 장애정도가 지적되었다. 60세 이상의 고령자 집단과 장애정도가 심한 집단에서 우울점수가 가장 높게 나타난 반면, 대학원 이상의 고학력 집단과 고소득 집단에서의 우울 점수는 가장 낮게 나타났다. 2. 연구질문 분석결과 1) 종교적 특성이 장애수용에 미치는 영향력 중도지체장애인의 종교적 특성(종교성과 종교적 동기)이 대상자의 장애수용과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를 보고자 상관관계 분석을 한 결과, 공적 종교성과 장애수용 정도가 비교적 높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도지체장애인의 종교성과 종교적 동기요인이 장애수용에 미치는 순수한 영향력을 보고자 대상자의 성별, 연령, 학력, 가족의 월평근소득, 장애정도, 장애기간을 통제변수로 설정하고 분석한 결과 공적종교성과 종교의 사회적 동기요인이 유의미한 변수로 채택되었다. 특히 사회적 동기는 장애수용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 외에 대상자의 가족 소득도 유의미한 변수로 나타났다. 즉 중도지체장애인의 공적종교성과 가족의 월평균 소득이 높고, 사회적 동기가 낮을수록 장애수용의 정도가 높게 나타났다. 이들의 장애수용에 대한 설명력은 32.8%였다. 2) 종교적 특성이 배우자적응에 미치는 영향력 중도지체장애인의 종교적 특성과 배우자적응간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종교성의 모든 하위요인들에서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특히 공적 종교성과 사적종교성이 배우자 적응 정도와 높은 상관관계를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결과는 중도지체장애인의 종교성이 높을수록 배우자에 대한 적응이 높아짐을 알 수 있게 해 준다. 종교적 특성의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종교성의 하위요인 중 공적 종교성이 높을수록 배우자에 대한 적응이 향상됨을 알 수 있었고 전체 설명력은 10.7%로 나타났다. 3) 종교적 특성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력 중도지체장애인의 공적 종교성과 스트레스 수준간에 부적(-)상관관계가 있었다. 즉, 공적 종교성의 점수가 높을수록 스트레스의 점수가 낮아짐을 알 수 있다. 또한 중도지체장애인의 공적종교성이 이들의 우울 수준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공적종교성이 높을수록 우울점수가 낮아지는 부적 상관관계를 보이고 있다. 대상자의 공적종교성, 평균소득, 장애정도순으로 스트레스에 영향을 많이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중도지체장애인의 공적종교성과 가족의 월평균소득이 높고, 장애정도가 경할수록 스트레스의 정도가 낮음을 알 수 있다. 이들의 스트레스에 대한 설명력은 16.5%로 나타났다. 또한 중도지체장애인의 장애정도, 공적종교성, 평균소득순으로 우울에 영향을 많이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중도지체장애인의 공적종교성과 가족의 월평균소득이 높고, 장애정도가 경할수록 우울의 정도가 낮음을 알 수 있었다. 이들의 우울에 대한 설명력은 31.2%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대상자의 종교적 동기보다는 종교성 변인이 중도지체장애인의 심리적 적응을 더 잘 설명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기초로 실천적 함의를 도출하여 보면 다음과 같다. 1. 이론적 함의는 종교성과 종교적 동기의 개념을 중도지체장애인에게 최초로 적용해 봄으로써 장애인연구의 영역을 넓히고, 종교적 특성이 중도지체장애인의 심리적 적응에 어떠한 기능을 하는지 밝혀내었다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종교성 요인이 중도지체장애인의 심리적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인임을 밝혀내었다. 이러한 결과는 종교성의 개념이 본 연구를 통하여 확인되며, 종교성을 개인의 강점으로 보는 개인탄력성 이론, 그리고 종료단체가 사회적지지 자원으로서 기능을 한다는 사회적지지 이론의 재검증이라는 측면에서 이론 구축에 기여할 수 있다. 2. 임상적 함의로서 종교적 문제나 영적인 문제가 클라이언트의 심리적 적응을 위해 논의되어야 하고 특히 종교를 가진 클라이언트에게는 이것이 매우 중요한 자원이자 강점이 될 수 있다는 것이 본 연구를 통하여 입증되었다. 또한 본 연구는 중도지체장애인의 심리적 적응에 영향력이 있는 종교관련 변인을 구체적으로 제시함으로써, 장애인복지실천의 종교 관련프로그램 다양화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공적 종교활동에의 참여 정도가 중도지체장애인의 심리적 적응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밝혀냄으로써 종교활동을 포함하는 집단 프로그램의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다. 3. 정책적 함의로는 중도지체장애인들의 심리적 문제의 완화를 통한 재활의욕의 고취와 능력장애의 예방은 장애인의 전인재활을 위해서 뿐만 아니라 가족해체의 예방을 위해서도 중요한 분야이므로 중도장애인을 위한 재활정책에 반영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특히 종교를 중재로 하는 전인적인 개입을 위한 서비스가 국가의 공적 기관에 의해 지원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연구를 통하여 중도지체장애인의 장애정도와 가족의 소득이 대상자의 심리적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임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저소득층이며 장애정도가 심한 중도지체장애인 가족들에게는 수급권 여부와 관계없이 장애수당이 지급되어야 함을 시사한다고 할 수 있다. 또한 가족 내 역할에 대한 분담을 촉진하고 자원봉사자를 활용하여 배우자에게 정서적 지지를 제공하고 가사노동과 보호부담을 덜어줄 수 있는 가족지원 서비스의 제도화가 필요하다.;In clinical situations, the importance of religiosity has been emphasized. This study pursues the influence of religious factors (limited to Christianity) in psychological adaptation of the physically disabled by accidents or diseases. In order to measure the degree of religiosity and religious factors influencing psychological adaptation, this thesis examines the acceptance of disabilities, adaptation to spouse, and the mental health of the disabled. In addition, this study pursues the population sociological factors which could influence the psychological adaptation and religious factors of those physically disabled by accidents or diseases. To achieve the goal, this study suggests following questions: Study question 1. To what degree do the religious factors (religiosity and religious motives) influence the acceptance of disabilities of those physically disabled by accidents or diseases? Study question 2. To what degree do the religious factors (religiosity and religious motives) influence the adaptation to spouses of those physically disabled by accidents or diseases? Study question 3. To what degree do the religious factors (religiosity and religious motives) influence to mental health (stress and depression) of those physically disabled by accidents or diseases? The survey for the study had been conducted from December of 2002 to February of 2003. The object of survey was one hundred and twelve who had already married and became physically disabled by accidents or diseases. The methods of measurement are religiosity, religious motive, acceptance of disabilities, adaptation to spouse, and mental health. The collected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by SPSS/PC+l0.0 concerning descriptive analysis, t test and F test,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etc. The followings are the outcomes of this study. 1. The difference of measuring variables by general features of the study objects. After examining if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the major measuring variables according to features of the study objects, family income showed a difference in individual religious behavior of the physically disabled by accidents or diseases. In addition, duration of the disability also showed a difference in attendance to religious activities and subjective religiosity. Among purposes of religion, while personal motives are different corresponding to duration of disabled, social motives do not bring any difference corresponding to duration of disabled. This study points out that degree of education, family income, employment, degree of disability, and duration of disability brought difference to acceptance of disability. The disabled who got high education and employment does not think their status of disability as major problems, and the disabled who had higher family income achieved a high quality of self-satisfaction and compensatory behavior. In addition, the disabled who had a lesser degree of disability think of their disability as insignificant to their lives, and the longer term disabled showed a difference in quality of self-satisfaction and compensatory behavior! Among population sociological variables, age, education, and the degree of disability shows a difference of adaptation to spouse. Age showed a difference to oneness of wife and husband, level of education to unity of wife and husband, and degree of disability to the expression of love of wife and husband. The degree of stress showed differences corresponding with age, family income, and degree of disability. Higher age brought higher stress. The family which earned less than 500,000 won per month had the highest stress, while the family which earned more than 2,000,000 won per month had the least stress. The higher degree of disability showed higher stress. The factors showing a difference of degree of depression are; age, education, family income, and degree of disability. The over 60 and which had a more severe degree of disability showed the highest degree of depression, whereas the group with higher education and higher income showed the least degree of depression. 2. Analysis of Study Questions. 1) The influence of religious factors to the acceptance of the disability. The analysis of relationship between religious factors and acceptance of a disability showed high correspondence between the two. In order to examine the pure influence of religiosity to acceptance of disability, I set; sex, age, education, family income, degree of disability, and duration of handicapped as controlling variables. As a result, attendance to religious activities and social motives for religion were very influential on the variables. Social motives are negative to the acceptance of disability. In addition to religiosity, family income was also an influential variable. Higher family income and less social motives showed a higher acceptance of disability. Influence rate of these variables to the acceptance of the disability was 32.8%. 2) Influence of religious factors to adaptation to spouse Relationship between religious factors and adaptation to spouse showed that lower variables of religiosity are very meaningful. Especially, attendance to religious activities and personal religious life revealed a high degree of relationship to the adaptation to spouse. The higher attendance to religious activities the disabled had, the higher adaptation he got to spouse. Influence rate of these variables to adaptation to spouse was 10.7%. 3) Influence of religious factors on mental health. It has been proven that there was negative correspondence between attendance to religious activities and degree of stress. In other words, the higher degree of attendance to religious activities the disabled had, the less degree of stress he had. There has been very meaningful relationship between attendance to religious activities and the degree of depression. In other words, the higher the religiosity, the lesser degree of depression Attendance to religious activities, average income, degree of handicapped, in that order, have an influence on stress levels. Accordingly attendance to religious activities, higher family income, a lesser degree of disability had lower degrees of stress. Influence rate of these variables to stress was 16.5%. The degree of disability, attendance to religious activities, average income, in that order, influence the degree of depression. Accordingly, attendance to religious activities, higher family income, and a lesser degree of disability had a lower degree of depression. Influence rate of these variables to depression was 31.2%. In summary, variables of religiousity rather than religious motives can explain the psychological adaptation of those physically disabled by accidents or diseases. Based upon the study result, I draw some practical implications as follows. 1. Theoretical usefulness of this study is to reveal that religious factors plays a significant role in the psychological adaptation of the physically disabled by accidents or diseases. It is the first attempt to apply religiosity and religious motives to the physically disabled by accidents or diseases. The above study can make a contribution to the advancement of theories of the handicapped, in that it is a reproof of the individual resilience theory in which religiosity is considered as individual's forte, and the social support theory, in which religious institutions function as social support. 2. Clinical usefulness of this study is that religious or spiritual matters should be discussed in the client's psychological adaptation, and religiosity are significant resources for a client who has religion. This study can contribute to the diversification of religious programs in social work practice for the disabled by making specific suggestions concerning influential religious variables. This study especially revealed that attendance to religious activities greatly influenced the psychological adaptation to those physically disabled by accidents or diseases, thus contributing activation of group program including religious activity. 3. Use of this study in policy is that, since encouragement of rehabilitation for lessening psychological troubles of those physically disabled by accidents or diseases, and prevention of disability are very important fields for the prevention of family disintegration, as well as the rehabilitation development of the disabled, it should be reflected in rehabilitation policy. The service of religiosity for intervention should be supported by national institutions. This study shows that the degree of disability and family income are influential variables to psychological adaptation. It indicates that allowance of disability should be distributed to the low income family, or the severe disabled irregardless of eligibility for public assistance. Additionly, family support services are necessary in order to accelerate the distribution of roles within the family, to supply spouses with emotional support, and to alleviate the burden of housework.-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ⅷ Ⅰ. 서론 = 1 A. 문제제기 = 1 B. 연구의 목적 = 4 C. 연구의 의의 및 제한점 = 5 Ⅱ. 이론적 배경 = 8 A. 중도장애인 = 8 1. 장애의 개념 = 8 2. 중도장애인의 개념 = 12 3. 중도장애인의 심리적 반응 = 13 B. 종교적 특성 = 16 1. 종교의 기능 = 16 2. 종교와 심리적 적응 = 18 C. 심리적 적응 = 25 1. 심리적 적응의 개념 = 25 2. 중도장애인의 심리적 적응 = 26 3. 중도장애인의 장애수용 = 27 4. 중도장애인의 배우자적응 = 28 5. 중도장애인의 정신건강 = 34 D. 심리적 적응을 위한 실존분석과 의미요법 = 38 1. 의미요법의 배경 = 40 2. 의미요법의 철학적 기초 = 44 Ⅲ. 조사방법 = 48 A. 연구모형 및 연구질문 = 48 B. 변수의 구성 및 정의 = 49 C. 연구대상 및 표집 방법 = 52 D. 측정도구 = 53 E. 자료분석방법 = 58 Ⅳ. 연구결과 = 59 A. 연구대상의 일반적 특성 = 59 1. 연구대상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 59 2. 연구대상의 장애관련 특성 = 61 3. 연구대상의 종교관련 특성 = 63 B. 연구대상의 일반적인 특성에 따른 측정변인과의 관계분석 = 66 1. 연구대상의 일반적인 특성에 따른 종교적 특성의 차이 = 66 2. 연구대상의 일반적인 특성에 따른 심리적 적응의 차이 = 68 C. 연구질문 분석을 위한 사전검증 = 77 D. 연구질문 분석 = 79 1. 종교적 특성이 장애수용에 미치는 영향력 = 79 2. 종교적 특성이 배우자적응에 미치는 영향력 = 82 3. 종교적 특성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력 = 85 Ⅴ. 결론 및 제언 = 92 A. 연구결과 = 93 B. 실천을 위한 함의 = 101 1. 이론적 함의 = 101 2. 임상적 함의 = 103 3. 정책적 함의 = 108 C.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 = 111 참고문헌 = 114 부록 = 130 ABSTRACT = 14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714307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중도지체장애인-
dc.subject종교적 특성-
dc.subject심리적 적응-
dc.subject기독교인-
dc.title중도지체장애인의 종교적 특성이 심리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dc.typeDoctoral Thesis-
dc.title.subtitle기독교인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Influence of Religious Factors to Psychological Adaptation to those Physically Disabled Accidents or Diseases : Focusing on Christians-
dc.format.pagexii, 152 p.-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사회복지학과-
dc.date.awarded2003.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