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23 Download: 0

조선소 용접복 개발에 관한 연구

Title
조선소 용접복 개발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WELDING CLOTHES TO BE WORN IN SHIPYARDS
Authors
강희정
Issue Date
2007
Department/Major
대학원 의류직물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In this study, a questionnaire was compiled by conducting interviews and preliminary surveys, and then handed out to a total of 270 welders working in shipyards to investigate their opinions on welding clothes. By which investigation, it was intended to understand their dissatisfactions and issues with conventional welding clothes and then propose of such welding clothes as may offer better fit and suitability. A total of twenty u welding suits were collected to find the locations and degrees of wear and tear. Due to too large differences in the locations and degrees of wear and tear among the clothes, the evaluation was focused on ten suits out of the twenty suits collected. The researcher’s subjective judgment was used to select the nineteen most severely damaged parts (top: the collar, collar joining, front joining, chest, lower end, armpits, sleeves, cuffs, back, and elbows; bottom: the shoulder straps, front side, crotch, thighs, knees, buttocks, backs of knees, and turnups), which were then photographed in a uniform distance and evaluated by a group of experts in terms of the degree of damage in order to locate most severely damaged parts and select adequate materials for those parts in designing an experimental suit. Based on two above evaluations, the experimental welding suit was produced in consideration of the design, materials and patterns. A lab evaluation and a site evaluation were conducted to compare the experimental suit and other conventional suits, a lab evaluation and a field evaluation were performed. The findings of the study may be summarized as follows: 1. Survey on the use of welding clothes by welders It is indicated that the welders get burns primarily around openings: the neck, wrists, ankles and front joining. The feature considered by the welders as the most important is the protection of the human body. It is also shown that freedom of movement is the most dissatisfactory aspect with conventional welding suits. The welders were the most uncomfortable with their armpits, followed by arms and shoulders in their welding jackets at the job site as well as with their knees, buttocks and crotches in pants. With regard to the fit of conventional welding suits, the welders seemed to find the neck girth, armhole girth, sleeve girth, lower end girth, sleeve length, and back length either too small or short. As for pants, they also find the waist girth, hip girth, thigh girth, turnup girth, crotch length, and pant length either too small or short. The seams often break and allow virtually no ventilation, leading to relatively greater dissatisfaction. The front joining of the top, shoulders and armpits are shown prone to more severe damages caused by welding sparks. 2. Designing of the experimental suit The questionnaire survey conducted among welders working in shipyards and the evaluation of wear and tear on waste welding clothes, resulted in the production of an experimental suit with enhanced protectiveness and freedom of movement. (1) Overall design: The front joining ― which is single―layered in the conventional design ― is formed by a double flap, enhancing the protection from welding sparks. A neck reinforcement is added to prevent burns on the neck, and a protective pad is attached to protect elbows. On the wrist part, a flap joining that is adjustable to the girth of the wrist is added. As for pants, the crotch part is reinforced by a gusset to yield extra comfort when the wearer is sitting, and knee protection pads are designed as well. The parts below knees are redesigned to make it more comfortable to put on or take off pants, eliminating the need to wear gaiters. (2) Material design: To give better heat protection for the experimental suit, the conventional leather material is used for those parts with more severe damages from welding sparks. For other parts, Nomex, a heat―resistant aramid material is partially used to reduce the overall weight of the suit. In addition, a self―reflexive safety material is partially used for enhanced visibility in darker places and at night. (3) Pattern design: Sateen sleeves with a sort of gusset under arm pits are used to allow certain room for movement, and darted elbows reduce the tightening arising from the flexing of arms. Action pleats in the center of the back of the top also give room for movement. As for pants, darted knees allow for three―dimensional patterns, and gusset in the lower part enhances freedom of movement. 3. Assessment (1) In terms of appearance, the respondents find the experimental suit much more appealing than conventional suits in the main. The experimental suit is found to have less variances in location than conventional suits, and it is shown to be much faster to put on and take off the experimental suit. (2) In terms of satisfaction at job sites, the experimental suit received better reviews than conventional suits with respect to shoulders, elbows and other parts.;본 연구에서는 조선소에서 근무하는 용접공 270명을 대상으로 면담 및 예비 조사를 통해 설문지를 작성하여 착의 실태를 조사하였으며 이를 통해 기존 용접복의 불편사항과 문제점을 파악한 후 착용감 및 적합성이 우수한 용접복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폐기된 실제 용접복의 훼손 부위와 훼손 정도를 조사하기 위해 20벌의 용접복을 수거 하였다. 수거된 20벌의 용접복 중 훼손이 심한 10벌을 중심으로 평가하였다. 그 이유는 훼손이 심한 부위와 정도가 용접복마다 너무 제각기 차이가 났기 때문이다. 각각의 용접복에서 연구자의 주관적인 판단에 따라 훼손이 심한 19부위(상의: 칼라, 목여밈, 앞여밈, 가슴, 밑단, 어깨, 겨드랑이, 소매(앞), 소매밑단, 등, 팔꿈치, 하의: 어깨끈, 앞부분, 밑위, 허벅지, 무릎, 엉덩이, 뒤무릎, 바지밑단)를 선정하여 같은 크기로 사진을 찍어 전문가들에게 훼손 정도에 대해 평가 하도록 한 후 훼손이 심한 부위를 알아내어 실험복 설계 시 훼손이 심한 부위에 대한 적절한 소재 선택을 하고자 하였다. 위의 두 가지 평가를 통해서 디자인, 소재, 패턴을 고려하여 실험복을 제작하였다. 제작한 실험복과 기존복을 비교하기 위하여 실험실 평가와 현장 평가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용접공 대상 착의 실태 조사 용접공들의 화상부위는 주로 개구부 주위인 목, 손목, 발목, 앞여밈 부위로 나타났다. 작업 시 가장 중요시 여기는 기능은 인체의 보호성이었고, 기존복에서 활동성이 가장 불만족스러운 것으로 나타났다. 작업 동작에 따른 불편부위로 상의 경우 겨드랑이, 팔, 어깨 순으로 나타났으며 하의의 경우 무릎, 엉덩이, 샅부위 순으로 조사되었다. 기존 용접복의 맞음새는 상의에서 목둘레, 진동둘레, 소매둘레, 밑단둘레, 소매길이, 뒷길이 항목에서 작거나 짧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하의에서는 어깨끈 길이를 제외한 허리둘레, 엉덩이둘레, 허벅지둘레, 밑단둘레, 밑위길이, 바지 길이 항목에서 작거나 짧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불편사항에서는 봉제선이 잘 터지고 통풍이 잘 되지 않아서 불만족도가 높았다. 용접복 상의 앞여밈, 어깨, 팔꿈치에서는 용접불꽃으로 손상이 심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2. 실험복 설계 조선소에서 근무하는 용접공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와 폐기된 용접복 훼손 부위 평가를 토대로 보호성과 활동성을 향상시킨 실험복을 제작하였다. (1) 디자인 설계: 기존의 한 겹으로만 되어 있던 앞여밈을 2중 플랩으로 처리하여 용접불꽃으로부터 방호성을 높였고, 목의 화상을 방지하기 위해 목바대를, 팔꿈치 부위에는 보호대를 만들어 팔꿈치를 보호하였다. 손목에는 플랩 형식의 여밈 처리로 손목의 치수에 맞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였다. 하의의 디자인은 앉았을 때 편안하게 만들기 위해서 샅 부위에 무를 삽입하였고 무릎 보호대를 설계하였다. 무릎 밑으로는 각반을 따로 착용하지 않아도 되게 설계하여 착탈의 시 편의성을 주었다. (2) 소재설계: 실험복에 열 보호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용접불꽃의 손상이 심한 부위는 기존의 가죽을 사용하였으며 용접복의 전체 중량을 줄이기 위해 부분적으로 열에 강한 아라미드계 Nomex원단을 사용하였다. 또한 야간이나 어두운 곳에서도 작업 시 눈에 잘 뛰도록 가시성을 향상시킨 재귀반사 안전 소재를 부분적으로 사용하였다. (3) 패턴설계: 상의의 소매는 새틴 슬리브의 형태로 겨드랑이에 무의 일종을 삽입하여 작업 시 겨드랑이 부위에 충분한 여유를 주었고 팔꿈치에 다트를 주어 팔을 구부렸을 경우 팔의 당김을 줄여 주었다. 또한 상의 뒷중심에 액션 플리츠를 주어 활동 여유분을 주었다. 하의에서는 무릎에 다트를 삽입하여 입체적인 패턴을 설계 하였으며, 밑위부위에 무를 달아 활동성을 높였다. 3. 착의 평가 (1) 외관 평가에서 상하의 전체적인 외관이 좋은가에 대한 질문에서 기존복보다 실험복이 훨씬 더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상의 밑단의 위치 변화량 평가에서 실험복이 기존복보다 위치 변화가 더 적은 것으로 나타났고 착탈의 평가에서도 기존복보다 실험복의 착탈의 소요 시간이 더 짧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2) 현장 활동 만족도 결과 어깨, 팔꿈치, 등 부위에서 기존복보다 실험복이 더 높은 평가를 받았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의류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