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23 Download: 0

중증와상(臥床)환자복 개발에 관한 연구

Title
중증와상(臥床)환자복 개발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Clothing for Severely Bed-ridden Patients
Authors
공혜정
Issue Date
2007
Department/Major
대학원 의류직물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This study aims to develop severely bed-ridden patient clothing that upgrades its function, the convenience of dressing/undressing and the respect for the patients’ human rights by identifying complaints and problems that exist with the current patient clothing. The caregivers and nurses of severely bed-ridden patients were surveyed regarding the status of dressing the patients with the current patient clothing. Upon identifying the problems with their input, new patient clothing with appropriate material, design, and pattern was developed. To compare the experimental patient clothing with the existing one, both subjective and objective evaluations were conducted. The following expounds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1. Survey of the Caregivers It was determined that most of the bed-ridden patients hospitalized in each hospital suffer from neurosurgical diseases including cerebral hemorrhage and cerebral apoplexy. In addition, most of them were in stupefied mental state with systemic paralysis which prevents independent mobility. Furthermore, they were receiving treatments using insertion instruments including L-tube, intravenous injection, tracheotomy tube, foley catheter, and others. It was also determined that patients usually wore the general patient clothing which are two-piece with pants. Patients usually had their top on (83.3%) but many did not have their pants on (73%). The current patient clothing was found to cause much inconvenience in dressing and undressing the patients. In addition, because the neckline in the top was cut less, it was uncomfortable when suction movements are necessary for patients. The foley catheter also caused inconvenience in dressing pants. Besides these, the material used for the patient clothing also had problems of slow drying and contamination after washing. 2. Interview of the Nurses It was determined that there was a need for patient clothing that protects the privacy of the unconscious patients and maintains their body temperature. The nurses also expressed the inconvenience of having patients with stiff limbs putting their arms and legs into the clothing and also mentioned the material’s stiffness, low perspiration absorption, and weak durability as some of its problems. The nurses preferred two-piece with pants as the appropriate form of the patient clothing and buttons or rubber bands for a zipping device. They also suggested ¾ sleeve for the top and below calf for the length of the pants. A miscellaneous comment include more consideration for the convenience in dressing/undressing the patients due to the current inconvenience. 3. Development of the Experimental Patient Clothing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urvey of the caregivers and interview with the nurses, patient clothing with an upgraded function and convenience in dressing/undressing was developed. (1) Planning the material: CVC fabric which has closest property to pure cotton but strong durability with 53.6% cotton and 46.4% polyester is used. (2) Planning the design: Considering the convenience in dressing/undressing, the top is designed to separate into two with openings in the front and the back. When a patient is lying down, they can have the back open, but as they transport to a different place, they can button it up to cover the back. The neckline is in v-shape and there is an opening from the shoulder to the sleeve to give convenience in dressing/undressing. The pants is made to have the legs inserted in with an opening in the buttocks where it may be kept open when a patient is lying down, but it is possible to button it in the backside for transporting. Further, it is designed in a combined form of pants and a skirt. The waist can be adjusted by sectional rubber bands as well as buttons. The crotch part of the pants is left open and the front crotch length is purposely made long to cover the patient’s body. In order to keep foley catheter from causing problems in dressing/undressing, it adjusted the level of backside pants line low and gave an opening in the front. (3) Planning the pattern: The top is composed of 2 sheets with a 10cm cut for the frontal neckline and an opening from shoulder to the end of sleeve with 4.5cm inside from the centerline of sleeve, and with a round cut in the back. The front crotch length of the pants is 8cm long; the length of the back leg from the side is 41.3cm with a 58cm wrap skirt that can cross over from the back. 4. Dressing Evaluation The experimental patient clothing was rated high on the appropriate on-site dressing evaluation with the convenience of dressing/undressing with intravenous injection, changing the patient’s physical position, taking care of bowel movement, urination, or changing diapers, and withdrawing foley catheter from the pants. In addition, many were satisfied with the cut level of the frontal neckline and the appropriate length of the top/pants (length of the top front/back, sleeves, and the overall length of the pants) for the suction movements as well as managing and preventing bedsores on buttocks. According to external appearance evaluations, caregivers agreed that the length of the front/back of the top, the cut level of frontal neckline, the length of sleeves, and overall appearance of the experimental patient clothing was more appropriate than the current patient clothing. Same evaluation was given from the professionals. The results of evaluating the flexibility of dressing/undressing showed that the experimental patient clothing received outstanding mark over the current one. Furthermore, objective evaluation was made by comparing the total time spent and the steps of movements needed on dressing/undressing the patients for the experimental and the current patient clothing. The results showed that the experimental patient clothing reduced the time by half or more and in the steps of movements eliminated 8 steps from 21 steps to 13 steps, thus supporting the results of the subjective evaluation.;본 연구의 목적은 병원에 입원 중인 중증와상환자를 대상으로 환자복 착용실태 조사를 통해서 기존 환자복의 불편사항과 문제점을 파악하여 조사대상 환자의 특성에 적합하도록 기능성과 착탈의 편리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입원환경 내에서 환자의 인권이 최대한 존중될 수 있는 환자복을 개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중증와상환자를 돌보는 간병인과 간호사를 통해 환자복의 착의실태를 조사하였고,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현재 환자복의 불편사항과 문제점을 파악하여 소재, 디자인, 패턴을 고려한 환자복을 제작하였다. 제작된 실험복과 기존복을 비교하기 위하여 주관적인 평가와 객관적인 평가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간병인 설문조사 각 병원에 입원 중인 중증와상환자의 병명은 뇌출혈과 뇌졸중 등의 신경외과적 질환에 의한 경우가 많았으며 의식상태는 혼미상태로 환자 스스로 전혀 움직일 수 없는 전신마비 상태가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콧줄, 정맥주사, 기관절개관, 배뇨관 등의 여러 가지 삽입기구 처치술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환자는 바지투피스 형의 일반 환자복을 주로 착용하며 상의는 제대로 입히는 경우(83.3%)와 하의는 입히지 않는 경우(73%)가 많았고, 현 환자복의 착탈의 시 불편함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치료 및 간병동작 시 상의의 목둘레가 덜 파여 환자에게 석션 동작을 행할 때 불편하며, 하의 착용 시 배뇨관 줄 처리가 불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밖에 환자복의 소재에서는 건조속도와 세탁 후 오염 등의 문제점이 나타났다. 2. 간호사 면담조사 의식 없는 환자의 프라이버시(privacy)를 보호하고 체온을 유지하기 위해 제대로 입힐 수 있는 환자복이 필요한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간호 시 환자복의 불편사항으로 경직이 심한 환자의 경우 팔, 다리를 끼우기가 불편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소재에서는 뻣뻣함, 땀 흡수성 부족, 약한 강도 등이 문제점으로 나타났다. 환자에게 적합한 환자복 디자인으로 전체형태는 바지투피스 형, 여밈 부자재는 단추 및 고무줄, 소매길이는 7부 길이, 바지 길이는 9부 길이가 선호되었으며, 환자복에 대한 기타의견으로는 현 환자복은 입히고 벗기기에 불편하므로 착탈의 시 편리성이 고려되어야 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3. 실험복 설계 간병인 대상의 설문조사와 간호사 대상의 면담조사 결과를 토대로 기능성과 착탈의 편리성을 향상시킨 중증와상환자에게 적합한 실험복을 제작하였다. (1) 소재설계 : 순면과 가장 비슷한 물성을 가지면서도 내구성은 우수한 면 53.6%와 폴리에스테르 46.4% 섬유가 혼용된 CVC 원단을 사용하였다. (2) 디자인설계 : 상의의 전체 형태는 착탈의 편리성을 고려하여 앞트임과 뒤트임이 있는 2장 분리형으로 하였으며, 누워있을 때는 뒷자락을 펼쳐 놓았다가 이동 시에는 뒷 여밈이 가능하여 환자의 몸을 충분히 가려줄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네크라인은 v-neck으로 하였으며 어깨에서 소매까지 트임을 주어 착탈의 시 편리성을 주었다. 하의의 전체 형태는 다리는 끼울 수 있게 하고 뒤쪽의 엉덩이 부위가 트여 있어 누워있을 때는 뒷자락을 펼쳐놓고 이동시에는 뒷 여밈이 가능하도록 바지와 치마가 혼합된 형태로 설계하였다. 허리둘레는 부분적인 고무처리와 단추조절을 통해서 조정할 수 있게 하였으며, 바지 가랑이 부위는 트인 형태로 밑위부분을 길게 하여 환자의 몸이 가려질 수 있게 하였고, 배뇨관 줄이 착탈의 시 문제가 되지 않도록 뒤쪽 바지선 높이를 낮게 조정하고 앞트임을 주었다. (3) 패턴설계 : 상의는 총 2장으로 구성되며, 앞목깊이는 10cm 내리고 소매 중심선에서 4.5cm 앞쪽으로 어깨부터 소매까지 트임을 주었으며 상의 뒷길이를 곡선형으로 줄여주었다. 하의는 앞 밑위길이를 총 8cm 내려 주었으며 옆선 쪽의 뒷다리선 높이는 41.3cm로 하고 58cm길이의 랩 스커스가 뒤쪽에서 교차되도록 설계하였다. 4. 착의 평가. 현장 착의 적합성 평가결과, 정맥주사를 꽂은 채 착탈의 할 때, 환자 자세를 변경할 때, 대소변 관리 및 기저귀 교환을 할 때, 하의 밖으로 배뇨관 줄을 뺄 때의 편리성에서 실험복이 높게 평가되었다. 또한 석션 동작 시 앞목파임 정도와 상·하의 길이(상의 앞길이, 뒷길이, 소매길이, 하의 전체길이)의 적당한 정도, 엉덩이 부위 욕창관리 및 예방의 용이성 등에서 실험복의 만족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외관평가 결과, 간병인 집단에서는 상의 앞길이, 뒷길이, 앞목파임 정도, 소매길이, 전체적인 외관에서 실험복이 기존복보다 더 적합하다는 평가를 받았으며 전문가 집단에서도 실험복이 더 적합하다는 평가를 받았다. 착탈의 동작 수월성 평가 결과에서는 환자복을 입히고 벗기는 모든 동작항목에서 실험복이 기존복에 비해 우수한 평가를 받았다. 또한 객관적 평가는 착탈의 동작 소요시간 측정과 착탈의 동작과정을 비교하였으며 그 결과 실험복의 동작소요시간이 2배 이상 단축되고, 동작과정 또한 총 21단계에서 13단계로 8단계가 단축되는 것으로 나타나 주관적 평가 결과를 뒷받침 해 주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의류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