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29 Download: 0

춘향가 중 사랑가 비교연구

Title
춘향가 중 사랑가 비교연구
Other Titles
(A) Comparative Study of Sarangga among Chunhyangga : Focused on Kim Se-jong Style and Kim So-hee Style
Authors
李鮮憙
Issue Date
2002
Department/Major
대학원 음악학부
Keywords
춘향가사랑가김세종제김소희제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Chunhyangga is most frequently sung among five Pansoris, and particularly, Kim So-hee style is most favored among various styles. was developed by. Kim So-lee by synthesizing her various teachers. Among them, her Sarangga followed the genealogies of Kim Se-jong -> Jeong Eung-min -> Seong Woo-hyang -> Kim Se-jong. Currently, Kim Jong-se style is preserved well. With such basic conceptions in mind, this study was aimed at comparing Kim So-hee style with another excellent singer Seong Woo-hyang's and thereby, examining the difference between and both of which have the same root. In terms of Saseol, both songs are very similar. And there is little difference of number of beats between them. Merely, the front part of Kim So-hee's long seems to be borrowed from Jeong Jeong-ryeol's style, while all the rear part seems to be borrowed from Kim Se-jong's style. There are many cases where the same Buchimsae is found in the same Saseol, but in Seong Woo-hyang's song, Buchimsae seems to be more complicatedly due to frequent uses of Eotbuchim. Ingeogeori, Kyodaejuk and Wanjageon, while Kim So-hee's song maintains some controlled sound by using Daemadi Daejangdan primarily. In terms of musical tone, Seong Woo-hyang's song seems to remain rather unchanged despite its active Buchimsae. Since there are few variations of tone or sound, her is dominated by 'e' cheong Ujo, while her and retain 'e' cheong Gyemyeonjo. In contrast, Kim So-hee's retains e b Ujo with no variation, but her varies from 'e' cheong Gyemyeonjo to 'd' cheong Ujo, and her varies from 'e' cheong Gyemyeonjo to 'c' cheong Ujo. Since Pansoris may differ depending on their recorders, all the sounds are compared with each other in order to minimize their deviations. In Seong Woo-hyang´s , such notes as F#, G#, A, B, c#, e, f#, g#, a, b, c#`, e`, f#`emerge, while her shows such notes as G, B, c, 4, e, f#, g, a, b. And her shows such notes as A, B, d, e, f#, g, a, h, e`, d`. On the other hand, Kim So-hee´s shows such notes as A, B♭, c, e♭, f, g, at, b♭, c`, e♭`, f´, her shows such notes as A, B, c, 4, e, f#, g, a, b가 and her shows such notes as G, B, d, e, f#, g, b, c`, e`. As a result of reviewing such emergent notes, the entire musical range was F#→ f#`in case of Kim Se-jong style Seong Woo-hyang´s song and F→f`in case of Kim So-hee style Kim So-hee song.;현존하는 판소리 다섯마당에서 가장 많이 불리워지는 마당 중에 하나는 춘향가이고, 현재는 그 여러 유파 중에서도 김소희제가 많이 불리워지고 있다. <김소희제 춘향가>는 김소희가 여러 스승들의 소리를 따 새로이 한 판으로 짠 소리인데, 그 중 사랑가는 김세종-정응민-성우향에 이은 김세종제의 것을 땄다. 현재 김세종제를 가장 잘 보존하고 있고, 김소희와 같은 여류명창인 성우향 唱으로 김소희 唱과 비교를 해봄으로써, 같은 뿌리를 두고도 <김세종제 성우향 唱>, <김소희제 김소희 唱>의 사랑가가 어떻게 다른지에 대해 살펴보았다. 사설 면에서는 성우향 창본과 김소희 창본이 매우 흡사하였다. 같이 살펴본 장단 수에서도 그다지 많은 차이점을 드러내지 않았다. 김소희의 <긴사랑가>의 앞부분은 정정렬제의 것을 4각 땄으며, 뒤에는 모두 김세종제의 것으로 보여 진다. 붙임새에서는 같은 사설에 같은 붙임새를 가지고 있는 경우가 많이 나타났지만, 성우향 唱에서는 엇붙임이나 잉어걸이, 교대죽, 완자걸이가 활발히 쓰여 붙임새가 조금 더 복잡하게 사용되었고, 김소희 唱에서는 주로 대마디 대장단을 사용하여 정제된 소리를 유지하였다. 악조에서는 붙임새의 변화가 활발하였던 성우향 唱이 오히려 변화가 없이 변조·변청이 일어나지 않아서 <긴사랑가>가 e청 우조로 <자진사랑가>와 <정자노래>가 e청 계면조로 일관하였다. 김소희 唱에서는 <긴사랑가>가 변화없이 e♭우조 였지만, <자진사랑가>는 본청 e청 계면조에서 d청 우조로 변청·변조하였으며, <정자노래>에서는 본청 e청 계면조에서 c청 우조로 변조·변청을 하였다. 출현음은 판소리 채보가 채보자에 따라 주관적임을 감안하여 그 편차를 최소화 하기 위해 모든 출현음을 열거하여 비교하였다. 성우향 唱의 <긴사랑가>에서는 F#, G#, A, B, c#, e, f#, g#, a, b, c#、, e、, f#、 이 출현하였고, <자진사랑가>에서는 G, B, c, d, e, f#, g, a, b이 출현하고, <정자노래>에서는 A, B, d, e, f#, g, a, b, e、, d、가 출현하였다. 김소희 唱에서의 <긴사랑가>는 A, B♭, c, e♭, f, g, a♭, b♭, c、, e♭、, f、이 <자진 사랑가>에서는 A, B, c, d, e, f#, g, a, b가 <정자노래>에서는 G, B, d, e, f#, g, b, c、, e、 가 출현한다. 위의 출현음을 정리한 결과 전체음역은 김세종제 상우향 唱이 F#→ f、 이고, 김소희제 김소희 唱이 F→ f、 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음악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