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43 Download: 0

한국 노인여성의 요실금에 관한 연구

Title
한국 노인여성의 요실금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Urinary Incontinence of Elderly Women in Korea
Authors
백성희
Issue Date
1997
Department/Major
대학원 간호과학과
Keywords
한국노인여성요실금간호학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I studied the urinary incontinence of elderly women in Korea.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incidence of urinary incontinence of elderly women in Korea, to identify the sexual matter and the life style for urinary incontinence. The sample consisted of 237 women of Seoul and 5 Provinces. Data for this study was collected from January 16 to June 23 by structured questionnaire. Urinary Symptom Questionnaire developed by Jackson and demographic questionnaire were used to collec the data. The data was analyzed by frequency, percentage, Chi-square test, Chronbach alpha coefficient with SPSS/PC+ program. Major finding was follows 1. It was reported that 64.5% of the subjects have experiencied urinary incontinence. And stress, urge, and mixed type incontinence was 34.0%, 8.5%, 57.5% respectively. 2. The distribution of age of subjects was as following; 60-69(57.8%), 70-79(27.4%) 80-89(12.3%), more than 90(2.5% ). The frequency of delivery, 0(4.3%), 1-2(15.1%), 3-4(30.1%), 5-6(27.6%), more than 7(22.7%). The rate of subjects with menopause was 92.0%. 3. The lower Urinary symptoms and incidence with urinary incontinence were as following. Daily frequency 28.7%, nocturia 71.5%, urgency 74.0%, bladder pain 36.7%, unexplainned incontinence 35.1%, noctural incontinence 23.5%, frequency of incontinence 23.3%. Wearing protection 42.3%, changing outer clothing 31.0%, hesitancy 17.1%, straining 24.7%, intermittent stream 27.2%, abnormal strength of stream 28.4%, retention 13.6%, burning 5.0%, incomplete emptying 13.6%, Inability to stop mid stream 32.5%. 4. The sexual matters and incidence with urinary incontinence were as following. Dry vigina 22.1%, sex life trouble 3.5%, pain during sexual intercourse 5.9%, urine leakage during sexual intercourse 3.5%. 5. The life style and incidence with urinary incontinence were as following. Fluid intake restrition 18.6%, affected daily task 30.3%, avoidance of places & situation 28.0%, interference in physical activity 22.3%, interference in relationship with other people 16.6%, interference in relationship with husband/companion 4.5%, time after attack of urinary symptoms 81.5%. In term of the feeling about the rest life with urinary symptom, perfectly happy 5.0%, pleased 10.6%, mostly satisfied 18.7% , mixed feelings 28.6%, mostly dissatisfied 20.1%, very unhappy 16.8%, desperate 0.3%. 6.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general characteristics of subjects and three type of urinary incontinence was as following.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age of subjects and three type of urinary incontinence(x^(2)=12.809, P=0.046).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frequencies of delivery of subjects and three type of urinary incontinence(x^(2)= 17.224, P=0.027). 7.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three types of urinary incontinence and lower urinary symptom.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Daily frequency(X^(2)= 17 786, P=0.000), nocturia(X^(2)=8.775, P=0.012), urgency(X^(2)=60.158, P=0.000), unexplainned incontinence(X^(2)=174.536, P=0.000>, noctural incontinence(X^(2)=34.472, P=0.000), abnormal strength of stream(X^(2)=10.839, P=0.004), Wearing protection(X^(2)=31.373, P=0.000), changing outer clothing(X^(2)=24.244, P=0.000), hesitancy(X^(2)=26.530, P=0.000), straining (X^(2)=9.563, P=0.008), intermittent stream(X^(2)=26.969, P=0.000), retention(X^(2)=8.502, P=0.014), burning(X^(2)=10.761, P=0.004), incomplete emptying(X^(2)=6.281, P=0.043), Inability to stop mid stream(X^(2)=13.712, P = 0.001 ) of lower urinary symptom and three type of urinary incontinence. 8.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three types of urinary incontinence and life styl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Fluid intake restrition(X^(2)=6.193, P=0.045), affected daily task(X^(2)=10.832, P=0.004), avoidance of places & situation(X^(2)=23.341, P=0.000), interference in physical activity (X^(2)=21.498, P=0.000>, interference in relationship with other people (X^(2)=24.432, P=0.000), interference in relationship with husband/ cornpanion(X^(2)=2.998, P=0.223), In term of the feeling about the rest life with urinary symptom(X^(2)=30.707, P=0.002) of life style and three type of urinary incontinence. 9. No Significant relation between incidence of urinary incontinence and sexual matters. 10. Significant relation between incidence of urinary incontinence and life styl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Fluid intake restrition(X^(2)=8.876, P=0.002), affected daily task(X^(2)=32.113, P=0.000), avoidance of places & situation(X^(2)=30.155, P=0.000), interference in physical activity (X^(2)=30.209, P=0.000), interference in relationship with other people (X^(2)=26.091, P=0.000), In term of the feeling about the rest life with incidence of urinary symptom(X^(2)=43.425, P=0.000) of life style and urinary incontinence. In conclusion, this study were preliminary study to provide nursing practices guidelines for elderly urinary incontinence. Nurses working with elderly should develop and provide adequate care for the incontinent elderly subjects.;요실금이란 방광과 요도괄약근의 조절기능장애로 방광내 압력이 최대 요도 저항을 초과하여 불수의적인 요유출이 있는 것으로, 요의 불수의적인 배출이 사회적 활동이나 위생상의 문제를 일으키는 상태를 말한다. 따라서 요실금은 자신의 의지와는 관계없이 웃거나, 기침, 또는 운동시에 요도를 통하여 요의 유출이 일어나는 질병을 총칭하며, 여성 요실금 자체는 새로운 질병이 아니라 과거로부터 항상 있어 왔던 질병이다. 생명을 위협하는 질병은 아니고 여성의 삶의 질을 떨어뜨리는 질병이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노인여성 요실금의 발생율을 조사하고, 이로 인한 성생활에서와 일상생활에서의 문제를 확인하여, 요실금의 양상과 정도에 따라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건강증진 대안을 마련하며, 더 나아가 여성 요실금 인구에 대한 적절한 건강관리법을 개발하는데 기여하기 위함이다. 본 연구의 대상은 한국에 거주하는 60세 이상의 노인 여성으로서 대도시 및 보건소, 보건진료소에서 임의표집(convenience sample)방법에 의해 대도시에서는 103명과 보건소와 보건지소에서는 134명을 대상으로 하여 총 237명을 선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도구는 Jackson이 1996년 영국여성을 대상으로하여 개발한 Urinary Symptom Questionnaire로서, 홍재엽(1996)이 의료계에 종사하는 전문인 중 한국어와 영어 모두에 능숙한 5인에 의하여 번역과 역번역을 실시한 후 개발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Jackson의 Urinary Symptom Questionnaire는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3문항, 요실금과 하부요로증상 20문항, 성생활문제 4문항, 일상생활문제 8문항 등 총 35개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고, 각 문항이 최소 1점에서 최대 4점, 흑은 5점까지로 측정될 수 있도록 고안된 Likert식 척도이다. 절박성 요실금은 4번 문항 '화장실에 도착하기도 전에 옷을 적신 적이 있습니까?'에 그러한 경험이 있다고 대답한 경우이며, 긴장성 요실금은 6번 문항 '기침이나 재채기, 운동 중에 소변을 흘린적이 있습니까?'에 그러한 경험이 있다고 대답한 경우이며, 혼합형 요실금은 절박성과 긴장성 요실금의 증상을 동시에 가지고 있는 경우로 각각 구분되어졌다. 본 연구에서 요실금 측정 도구의 Chronbach Alpha값은 .97이며, 성생활문제 측정 도구와 일상생활문제 측정 도구의 Chronbach Alpha값은 각각 .96과 .97로 나타났다. 자료수집기간은 1997년 1월 16일부터 6월 13일 까지 였다. 300부를 배부한 결과 대도시에서 103명, 보건소 및 보건진료소에서 134명의 설문지가 회수되어 총 237부였으며, 이를 본 연구의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 방법은 Frequency, Percentage, Chi-Square test, Chronbach alpha coefficient with SPSS/PC+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전산통계처리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연구대상자들의 일반적특성을 살펴보면, 본 연구의 대상자는 60세에서 93세까지의 연령으로 평균연령은 71세이었다. 연령분포는 60-69세가 137명(57.8%)으로 가장 많았고, 70-79세가 64명(27.4%), 80-89세가 30명(12.3%)으로 나타났으며, 90세 이상이 6명(2.5%)으로 가장 적은 비율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상자들의 분만횟수는 3-4회가 71명 (30.1%)으로 가장 많았고, 5-6회 가 67명 (27.6%), 7회 이상이 52명 (22.7%), 1-2회가 38명(15.0%), 0회가 9명 (4.6%)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 중 질분만 횟수는 3-4회가 74명 (31.0%), 5-6회가 66명(27.3%), 7회 이상이 51명(24.2%), 1-2회가 35명(14.1%), 0회가 11명(3.4%)의 순으로 나타났다 제왕절개횟수는 0회가 229명(94.5%)으로 대부분을 차지하였으며, 1회가 4명(1.7%), 2회가 3명(2.1%), 3회가 1명(1.3%)으로 나타났다 대상자들의 월경상태는 폐경이 된 경우가 216명(92.0%)이고 정상이 19명 (3.0%)으로, 비정상인 경우가 2명(0.8%)으로 나타났다 2. 요실금의 발생율은 64.5%였고, 각 유형별로는 혼합형 요실금이 57.5%로 가장 높은 발생율을 나타냈고, 긴장성 요실금이 34.0%, 절박성 요실금이 8.5%의 발생율을 나타냈다. 3 요실금이 있는 대상자들에게서 28.7%가 빈뇨, 71.5%가 야뇨, 74.0%가 절박뇨, 23.5%가 수면 중 요실금, 4203%가 요실금에 대한 대책을 세워야 하며, 31.0%가 소변을 흘리기 때문에 겉옷을 갈아 입어야 하며, 53.2%가 배뇨지체증상, 56.2%가 배뇨시 힘주기증상, 60.3%가 배뇨 도중 소변줄기가 끊기는 증상, 58.0%가 소변줄기가 비정상, 1.8% 가 인공도뇨경험. 23.1%가 배뇨시 작열감, 59.0%가 잔뇨, 36.7%가 하복부의 통증, 35.1%가 설명할 수 없는 요실금을 경험, 요실금 대상자의 42.3%가 1주일에 1회이상 요실금을 경험하는 등 다양한 하부 요로 증상이 나타났다 4 요실금 대상자들의 성생활에서의 문제로는 22.1%가 질이 건조하기 때문에 아프거나 불쾌감을 느낀다고 하였고, 3.5%가 성생활에 문제가 있다고 하였으며, 5.9%가 성행위중 동통이 있다고 하였다 그리고 3.5%가 성행위중에 소변을 흘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5 요실금 대상자들의 일상생활에서의 문제로는 18.6%가 소변증상을 좋게 하기 위해 물을 적게 마시며, 30.3%가 요실금으로 인해 일상생활에 장애를 받고, 28.0%가 쉽게 화장실을 갈 수 없는 장소나 상황 등을 피하며, 22.3%가 신체활동에 지장이 있으며, 4.5%가 남편이나 친구관계에 장애가 있고, 16.6%는 대인관계에 장애가 있는 등 요실금 대상자들은 일상생활에서 요실금으로 초래되는 다양한 문제들을 경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6 요실금 대상자들의 요실금 유형과 일반적특성간에는 유의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요실금의 유형은 요실금 대상자의 연령 (X^(2)=12.809, P=0.046), 분만횟수(X^(2)=17.224, p=0.027)와의 관계에서 일반적특성과 유의한 관계가 있었다. 7 요실금 대상자들의 요실금 유형과 하부요로증상간에는 유의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야뇨증과 배뇨조절능력이 없는 증상에 대해서만 절박성 요실금 대상자들이 가장 높은 발생율을 보일뿐, 혼합형 요실금 대상자가 모든 하부요로증상에 대해서 가장 높은 발생율을 나타냈다. 8. 요실금 대상자들의 요실금 유형과 일상생활문제와는 유의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소변 증상을 개선하기 위한 수분제한(X^(2)=6.193, p=0.045), 일상생활의 지장(X^(2)=10.832, p=0.004), 화장실에 쉽게 갈 수 없는 상황이나 장소를 피하는 등 사회활동지장(X^(2)=23.341, P=0.000), 신체활동의 장애(X^(2)=21.497, p=0.000), 대인관계지장(X^(2)=24.431, p=0.000), 남편이나 친구와의 관계지장(X^(2)=2.998, P=0.223), 그리고 소변증상이 해결되지 않을 것 같아 부정적인 반응을 보인 것(X^(2)=30.707, p=0.002) 등 요실금 대상자들 중 혼합형요실금을 가진 대상자들이 절박성이나 긴장성요실금을 가진 대상자들보다 더 많이 일상생활에서의 문제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9. 요실금 대상자들의 요실금 유무와 성생활에서의 문제는 유의한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10. 요실금 대상자들의 요실금 유무와 일상생활에서 나타나는 문제간에는 남편이나 친구관계에 지장을 준다는 것을 제외하고 모두 유의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요실금을 경험하는 대상자들은 요실금이 없는 대상자들에 비해 다양한 일상생활문제를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기반으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1) 요실금이 있는 노인의 건강증진 차원에서 적절한 간호중재를 위해 일차의료 수준에서 표준화된 진단검사와 효율적인 비수술적 치료방법을 선택하여 향후 더욱 증가될 여성요실금의 효율적인 관리모델올 개발하기 위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