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61 Download: 0

여성의 고위험 임신에 대한 경험

Title
여성의 고위험 임신에 대한 경험
Other Titles
Womans experience of Risk Situation on the High-Risk Pregnancy
Authors
김경원
Issue Date
1997
Department/Major
대학원 간호학과
Keywords
여성고위험임신간호학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고위험 임신과 관련하여 치료·의학적 측면의 괄목할 만한 진보를 가져 왔음에도 불구하고 임상에 있는 간호사들은 고위험 임부를 어떻게 도와야 할지에 대한 적절한 정보를 갖고 있지 못하다. 비록 임산부의 이환율과 사망률은 감소되었다 할지라도 3차 진료기관에 고위험 요인을 가지고 입원하는 임부들의 수는 줄어들지 않고 있다. 이에 따라 임상에서 고위험 임부를 간호하고 있는 간호사들은 임신에서 출산에 이르기까지 고위험 임신을 경험하고 있는 여성이 어떤 간호를 원하고 있으며 어떤 도움이 필요한지 그들의 입장에서 깊이 있게 탐색할 필요가 있다. 사실 그동안 임상에서는 고위험 임부들의 표면적인 증상이나 질환에 따른 간호만 주어졌을 뿐 장기간의 입원, 가족과의 이별 그리고 의미도 모르면서 행해지는 반복되는 검사에서 오는 갈등에 대해서는 등한시해왔다. 그래서 고위험 임부가 경험하고 있는 심리적 갈등을 이해하고 따뜻한 정서적 지지와 위험상황에 대한 올바른 인지능력을 길러주는 간호중재가 필요하다는 생각이 점차 확대되고 있다. 고위험이라고 판정된 임부는 다른 정상 임부처럼 임신과 관련된 발달과업을 수행해야 하지만 본질적으로 위험상황이라는 도전에 직면한 상태에서 이를 수행하기 어렵다. 임부의 건강과 태아의 건강을 위협하는 위험상황은 신체적 상태 뿐 아니라 심리적 상태에도 영향을 끼친다. 최신의 치료 계획을 통해 신체적 위험은 다소 감소될 수 있으나 이 과정 내에서 겪게 되는 심리적 스트레스는 계속적으로 지속된다. 따라서 고위험 임부는 심리적으로 안정되지 못하고 대처능력의 결여로 위기 상태로까지 가게 된다. 이러한 고위험 상태로 입원한 임부들이 자신들의 상태에 대해서 어떻게 느끼는가에 대한 물음은 중요하다. 이는 임부 당사자가 자신의 고위험 임신 상태를 어떻게 인지하고 해석하는가에 따라 대처양상이 달라질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여성이 고위험 임신을 경험하면서 느끼고 생각하고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를 그들의 입장에서 그들의 말을 통해 확인해 보는 것은 고위험 임부의 총체적 간호를 위해 중요한 자료가 된다. 이에 본 연구는 고위험 임부를 현상학적 방법으로 접근하여 고위험 임신상황에 대한 그들의 경험을 파악함으로써 그들을 보다 잘 이해하고 고 위험 임부 간호를 위한 지식을 증가시키는데 일익을 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종합병원인 서울의 S대학 병원 산과에 입원한 임부로서 Neeson & May등에 의해 고안된 단순화된 산전 위험득점 체계를 통해 7점 이상을 얻어 고위험으로 판정된 임부이다. 본 연구의 대상자들은 위험득점체계에 의해 9점에서 16점까지에 해당되며 대상자의 반이 14점이었다. 임부의 연령은 최소 25세에서 40세까지였으며 임신횟수는 1회에서 8회까지이다. 대부분의 대상자들은 산전진찰을 정기적으로 받았으며 현재 고위험으로 입원하게 된 진단명은 임신성 고혈압, 조기진통, 조기파수, 질출혈, 자궁경관 무력중이다. 또한 이 임부들은 습관성 유산, 1차적 불임으로 인한 체외 수정과 시험관 아기 시술, 쌍태아 임신, 자궁근종, 양수과소증 등의 과거력을 가지고 있다. 자료수집 방법은 고위험 임부가 현재 경험하고 있는 위험상황에 대한 느낌과 생각을 이야기하도록 일대일(face to face) 면담을 통해 이루어졌다. 연구자는 판단이나 비판적 태도를 보이지 않는 경청자로서 스스로 자신의 생각을 이야기하도록 하였으며 면담 내용은 대상자의 동의를 얻어 녹음하였다. 자료분석은 Van Kaam(1969)이 제시한 현상학적인 분석 방법을 근거로 하였다. 분석은 그 타당도를 높이기 위해 간호학 교수 1인, 박사 과정생 1인, 석사 학위를 취득한 간호사 1인과 함께 진행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8명의 연구 참여자에게서 나타난 의미있는 진술은 187개였으며 1차 분석에 의해 42가지의 명확한 의미가 나타났다. 이것은 다시 추상화 과정을 통해 8가지의 하부주제와 3개의 주제군으로 범주화되었다. 즉, 불확실성에 대한 불안감, 위험상황에 대한 예견, 병원에 대한 불신감, 극복에 대한 의지력, 병원이 주는 안도감, 낙관적인 생각, 가족의 지지, 현 상황에 대한 회피라는 8가지의 하부주제와 불길한 예감, 낙관적인 안도감, 현상황에 대한 회피라는 3개의 주제군으로 범주화되었다. 이를 종합하여 진술하면 위험상황을 경험하고 있는 고위험 임부는 상황을 예견할 때 임부나 아기의 미래에 대한 불확실성에 불안감을 느끼며 병원에 대한 불신감을 갖는다. 그러나 가족들의 지지, 병원에서 주는 안도감으로 편안해하며 임부 스스로 극복에 대한 의지를 갖고 있다. 한편 지나치게 낙관적인 생각을 하기도 하며 현재의 위험상황을 전혀 의식하지 못하고 회피하는 반응을 보인다. 이러한 진술에 내포된 임부의 위험상황에 관한 경험은 서로 다른 3가지의 주제로 나타난다. 첫째, 임부들은 위험상황에 대해 지나치게 불안해하고 절망한다. '조산이 될까?', '아기가 정상일까?'와 같은 미래에 대한 불확실한 생각들로 임부 스스로 지각하고 수행해야 될 역할들을 깨닫지 못한다. 둘째, 임부들이 임신은 누구나 겪는 정상 생리 과정으로 받아들여 현재의 위험상황이 임부는 물론 태아에게도 치명적인 손상을 줄수있다는 것을 대수롭지 않게 여긴다. 그래서 실제로 위험상황이 어떤 것인가를 바로 알지 못하는 반응을 나타내었다. 셋째, 임부들은 현재의 위험상황을 직면하지 않고 회피하려고만 한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임부들의 고위험 임신상황의 경험에 대한 반응들은 모두 부정적인 의미를 갖기 때문에 간호중재가 필요하다. 이러한 결과로 보아 고위험 임부는 신체적으로 뿐만 아니라 심리적인 불안과 공포, 임부와 태아에 대한 불확실성으로 어려움을 당하고 있으며 그에 대한 대응기전으로 지나친 낙관이나 현 상황에 대한 회피라는 부정적인 기전을 사용하므로 적절한 대처를 못하고 있다. 그러므로 고위험 임신을 경험하고 있는 여성을 간호하고 있는 간호사들은 임부의 위험상황과 태아의 상태에 대해 정확한 지식을 갖고 임부의 개별적인 입장에 따라 올바른 지식과 정보를 제공해야 한다. 그 결과 임부들은 위험상황 대해 지나치게 불안해하거나 대수롭지 않게 간과하거나 회피하는 태도에서 위험상황을 정확히 인식하여 스스로 대처능력을 가지므로 자가간호할 수 있는 능력을 갖도록 한다. 그리고 임부들이 위기상황을 스스로 극복하는데 도움이 되도록 개별적이고 전문화된 간호중재가 이루어져야 한다.;In spite of the great progress of the theory and skill of the Nursing Care & Medical area in relation to pregnancy, nurses in clinics face up to many challenges in maternity nursing care areas. The reason is that the mobility and motality of mothers was sharply decreased and the unknown high-risk diseases of pregnancy woman in the past is made public. That's why it is difficult to meet the pegnancy woman in natural process from pregnacy to delivery in recently. Adrmssion rooms are filled with high-risk pregnancy womem. As a matter of fact, we have done nursing care into the surface symptoms and diseases of high-risk pregnancy womem so far. We have been indifferent to a long period hospitalization, separation from family, and conflict of repeated examination. Therefore, it is widely spread to understand the emotioanl conflict experienced by high-risk pregnancy women and to need for nursing intervention to bring up about emotional support and the ability of perception in psycholigical crisis. Although the pregnancy woman judged m high-risk should carry out normal task of pregnancy, she have to be confronted with secondary risk situation. The health of self & fetus threatened by ths risk situation could be decreased through care plan, but psychological stress increases. Therefore, the pregnancy brings into non-control state. It is important to ask that what the hospitalized pregnancy women in high-risk think of themselves status. Because misunderstanding or serious anxiety of themselves status put into mother and fetus in danger. And adaptation mode makes all the difference. I would like to consider how nurses could deal with this high-risk circumstances in the position of pregnancy woman on the basis of the above fact. This study uses phenomenoligical method to suggest the basis material for nurses to do nursing intervention in view of pregnancy woman. Because this method understands the nature of true life of pregnancy woman throughly. The phenomenoligical method is the sources to describe or explain affluntly the process generated in confirmation areas and environment and is the application for readers to understand and recognize clinic reality and then apply this method to reasoning study place or other places. Specifically, the phenomenon study method, one of the phenomenoligical method, is applied. The use of that method is to describe and generalize the experience in environment exactly. The objects of this study consists of the pregnancy women who are hospitalized in S.N.U.N. and are proved in high-risk according to the high-risk assessment tool that designed by Neeson & May. The collection method of data is non-structure, open minded written inquiry and face to face interview. The researchers in the process don't have judgement and critical attitude and let research objects say their thought freely. The interview materials are recorded to agreement with research objects. The analysis of collected materials is on the basis of Van Kaam' pehnomenoligical method. The analysis is done by one professor, one doctoral degree student, and one nurse (Master degree) together to enhance the propriety. The study of this study is as follows: Among 187 descripptive staments from 8 study participents are classified into 42 theme cluster at the stage of the first analysis. Those theme is categorized into 8 sub-subjects such as anxiety of uncertainty, foreknowledge about risk circumstance, will power about overcome, unsettled feeling about hospital, relief, optimistic thought, family support, and indifferences. At the last stage of analysis, those things are categorized into 3 subjects. When high-risk pregnancy woman fortell the situation, they feel unsettlement about uncertainty and untrust feeling about hospital. But they are ease with family support and hospital support. On the other hand, they express indifferent 3-way stucture response to the situation having will of overcome and exceedmg optimistic thought. In those statements, the experience by pregnancy woman shows 3 respect subjects. 1. They are anxious of this situation and are in desperatin and don't recognize their role to be carried out 2. They think of this situation as normal process of pregnancy and are not concerned that this can give themeselves and fetus fatal damage. 3. The pregnancy women will never confront this situation. This study shows that pregnancy woman has anxiety and optimistic relief about the situation, and ignores many things. Therefore, nurses in clinic should give pregnancy woman knowledge and information about the high-risk and help them to deal with the situation spontaneously. High-risk pregnancy woman should have the care plan in respect of the right perception. And the nurse must know that their support help out pregnancy woman overcome the crisis in ths respect of the special nursing intervent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