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81 Download: 0

양·한방 협진병원 입원노인환자의 보완대체요법에 관한 인식 및 이용실태

Title
양·한방 협진병원 입원노인환자의 보완대체요법에 관한 인식 및 이용실태
Other Titles
A Study on the Perception and the Use of the Complementary Alternative Therapy of the elderly patients in combined of western·oriental treatment hospitals
Authors
서순복
Issue Date
2007
Department/Major
대학원 간호과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고령화 사회 진입으로 평균 수명이 증가함에 따라 만성퇴행성질환의 유병율이 증가하였고, 노인들은 만성 질환의 관리를 위하여 질병치유, 예방 및 건강증진 측면이 강조되는 보완대체요법을 많이 사용하고 있지만, 이에 대한 과학적 근거와 정보가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이로 인해 노인 환자들은 보완대체요법의 이용에 있어 가족 및 친지, 친구의 권유에 상당부분 의존하고 있고 따라서 건강관리상 문제가 된다. 본 연구는 양·한방 협진병원에 입원한 노인 환자를 대상으로 보완대체요법에 관한 이용실태 및 인식을 조사하기 위한 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경기도 소재 양·한방 협진병원인 W대학병원, A요양병원에 입원한 60세 이상인 환자 150명이었으며, 자료 수집기간은 2007년 4월 1일부터 5월 12일까지 총 6주간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직접 조사를 통해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0.0을 이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t-test, ANOVA, Tukey 사후 검증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연구대상자의 질환은 관절염과 척추질환 57.3%, 고혈압 55.3 %, 뇌졸중 32% 순이었고, 이환기간은 10년 이상이 35.3%로 가장 많았다. 2. 질환치유 목적의 보완대체요법의 이용률은 71.6%이며, 수기치료 및 척추교정 36.9%, 식이요법 28.6%, 약초요법 및 약물요법 23.8%, 심신수 련10.7% 순으로 이용하였다. 관절염, 척추질환, 뇌졸중은 주로 수기치료 및 척추교정을, 당뇨병과 고혈압은 식이요법을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 건강증진 목적의 보완대체요법 이용률은 84.7%이며, 식이요 법 54.2%, 심신수련 17.5%, 약물 및 약초요법 16.5%, 수기치료 및 척추교정11.8%순으로 이용하였다. 4. 보완대체요법의 이용 동기는 증상 완화 61.7%, 건강유지증진 53.2% 순으로 나타났고, 87.9%가 가족 및 친지, 친구, 이웃으로부터 정보를 얻었다. 보완대체요법을 처음 이용한 시기는 병원치료 중 40.4%가 가장 많았고, 보완대체요법을 이용하지 않는 대상자의 경우 돈이 없어서(44.4%), 의사의 지시대로 병원치료만 하기 위해서(33%)가 주된 이유로 나타났다. 5. 보완대체요법의 비용은 83%가 본인이 부담하였고, 소요비용은 월 평균 10만원미만이 54.6%로 가장 많았다. 보완대체요법 이용 후 47.5%가 매우 만족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심리적 안정(51.1%), 증상완화 (39.7%)의 효과가 있었다. 6. 보완대체요법이 7.1%가 부작용을 경험하였는데 ‘피부이상반응, 따끔거림, 위장장애, 염증, 과대 식욕증진, 화상, 통증, 부분마비 등이었고, 대상자의 29.8%는 사용을 중단하였는데 그 이유는 효과가 없어서 54.8%, 비용이 비싸서 16.7%의 순으로 나타났다. 7. 보완대체요법 이용시 의사소통에서 83.7%가 의료인과 상의 한 적이 없었고, 상의하지 않은 이유로 64.4%가 ‘병원의 치료와는 별개이므로 말할 필요가 없다’로 응답하였다. 8. 보완대체요법 이용시 고려사항으로 가족 및 친지의 권유가 74%, 효능경험이 71.3%로 나타났으며, 가장 바람직한 치료방법은 병원치료와 보완 대체요법의 병행(78.7%)이라고 생각했다. 보완대체요법의 문제점으로 믿을 만한 정보 제공처가 없고(80.7%),과학적으로 증명 되지 못한(44.0%)것으로 응답했다. 9. 향후 보완대체요법 이용에 대해 56.0%는 병원치료와 병행해서 사용하겠다고 하였으며, 주위에서 사용한 경우 정보를 알려주고 권장하겠다가 42.6%로 가장 많았다. 10. 보완대체요법에 대한 인식은 44점 만점에서 사용자가 33.7점, 비사용자가 28.1점이었고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01). 11. 보완대체요법 이용자의 보완대체요법에 대한 인식 점수는 인구사회학적 특성에서 직업 유무(p=.013), 질병이환기간(p=.03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12. 보완대체요법 이용자의 보완대체요법에 대한 인식 점수는 보완대체 이용 양상에서 병원 치료와의 병행여부(p=0.001), 이용 후 느낌(p=.002), 만족도와 치료효과(p=.000), 바람직한 치료방법(p=.000)과 병원에서의 정보 및 자료제공의 필요성(p=.000), 계속적 이용계획(p=.000)과 주위권유(p=.000)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이상에서 양·한방병원 입원노인환자는 만성퇴행성질환의 유병률이 높고, 질환의 이환기간이 길어서 건강유지 증진 및 증상완화를 위해 보완대체요법을 많이 사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보완대체요법에 대한 정확한 정보가 부족하고, 또한 과학적으로 증명되지 못하여 이에 대한 요구도가 높지만 실제적으로 의료진은 도움이 되지 못하고 있다. 임상에서 대상자의 요구를 가장 잘 이해하고 수용할 수 있는 의료인은 간호사이다. 따라서 보완대체요법 간호교육과정을 활성화하여 대상자들이 보완대체요법을 올바르게 사용할 수 있도록 충분한 정보를 제공해야 한다.;This study was to review the perception and the using condition of complementary alternative therapies(CAT) for the elderly patients in combined of western·oriental treatment hospitals. The date were collected from April 1 to May 12 in 2007.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ies, percentages, t-test, ANOVA, Tukey post -hoc test using SPSS 10.0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most prevalent disease suffered by the subjects was spinal cord disease(57.3%) followed by hypertension(55.3%), cerebrovascular accident(32%). 35% of the subjects have been suffered over 10 years. 2. Among the subjects, 71.6% used CATs for the purpose of treatment. The types of CATs were handicraft & chiropractic(36.9%), favoring dietary(28.6%) and herbal medication & medicine(23.8%). The subjects with arthritis, spinal cord disease and cerebrovascular accident most preferred handicraft & chiropractic, and the subjects with diabetes mellitus and hypertesion preferred favoring dietary. 3. Among the subjects, 84.7% used CATs for the purpose of health promotion. They preferred favoring dietary(54.2%), mind & body training(17.5%) and herbal medication & medicine(16.5%). 4. The main motives for using CATs were relieving symptoms(61.7%) and health promotion(53.2%). The primary information sources about CATs were family, relatives, friends and the neighborhood(87.9%). 40.4% of the subjects came to use CATs after treatment at the hospital. Those who did not use CATs couln't take it because of money(44.4%) and intention of only taking medical treatment to follow doctor's prescription(33%). 5. 83% of the subjects paid the cost for themselves with average \100,000/month(54.6%). 6. It was found that 47.5% of the subjects were satisfied with CATs, while 7.1% experienced side effects. 7. Among the subjects, 83.7% did not communicated with the physicians about their use of CATs, because it was not related with health care services of hospitals(64.4%). The main problems involing CATs were no reliable information sources(80.7%) and unproven scientifically(44.0%). 8. 56% of the subjects will take hospital care and the CATs continuously in the future, 42.6% will encourage other people to use CATs and give informations about it. 9. The perception score(0-44) of CATs users was 33.7, while non users 28.1.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p=0.001). 10. Among the CATs users,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perception score according to job(p=.013), the length of disease period(p=.031), combination with hospital treatment(p=0.001), feeling after using CATs(p=.002), satisfaction and effect of CATs using(p=.000), ideal treatment system(p=.000) and the need for hospital to give information(p=.000). In conclusion, the elderly patients in combined of western·oriental treatment hospitals were mainly suffering from chronic disease. To improve health condition and relieve symptoms, the elderly patients preferred CATs. But there is not enough information about CATs and moreover it is not scientifically proved. The nurses are the only staff to understand and communicate with patients openly. Therefore, CATs nursing courses should be activated to provide enough information about that.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