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72 Download: 0

노인여성의 요실금 및 수면장애와 삶의 질에 관한 연구

Title
노인여성의 요실금 및 수면장애와 삶의 질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urinary incontinence and sleep disorder, quality of life of elderly women
Authors
이명자
Issue Date
2007
Department/Major
대학원 간호과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and prevalence of urinary incontinence and sleep disorder, quality of life of elderly women and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between urinary incontinence(UI) & sleep disorders(SD), and quality of life(QOL), and to provide basic data for nursing intervention of elderly women’s health management. The study subjects were over 65 years old in Seoul urban area, and the data were chosen from the large dataset on health related factors of the elderly for the Second Phage of Brain Korea 21, under the consent of the person in charge of the study. The duration of data collection was from the 7thApril in 2007 to 20th May in 2007. The subjects were interviewed using measurement tool incontinence, sleep disorders & quality of life. The data were analayzed through Chi-squire test, t-test, ANOVA, using SPSS 12.0 program. The result of study were as follows. 1. General characteristics of UI, SD and QOL It was reported that 62.50%(n=40) of the subject have experienced urinary incontinence; Mixed, Stress, and Urge type incontinence was 31.25%, 17.19%, 14.06%. The high rating score of Urinary frequency was ‘Once for a week’, and for urinary leakage was ‘several leakage’. The study shown that mean duration sleep time is 6.07±1.16 and mean duration sleep latency is 32.50±47.03 minute, the reason of sleep disorder is ‘urination during nighttime’(57.80%). It was reported that 70.30%(n=45) of the subject have experienced sleep disorder; 40.62% of those have insomnia. The study of quality of life showed that mean duration of vitality is best (4.01±1.05), otherwise role physical is worst(1.67±0.43). 2. The difference of UI, SD, and QOL in the general and health related characteristics The study analyzed UI, SD, and QOL's gap i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and it shows that there is a no significant statistical gap in UI. There is significant statistical UI gap in frequency(χ²=6.689, p=.035), nocturia (χ²=8.873, p=.003), regular exercise(χ²=4.266, p=.039), obstetric operation(χ²=4.172, p=.041). The study analyzed SD's gap in the health related characteristics, regular exercise (χ²=9.288, p=.002), but there is no significant statistical gap i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Significant relationships were also found general characteristics and QOL as follows; age and physical function(F=2.334, p=.012), marital status and role-emotional(F= 3.097, p=.033), marital status and health-status cognition variation(F=5.472, p=.002), education level and role-physical(F=5.351, p=.000). Significant relationships were also found health related characteristics and QOL as follows; frequency and social functioning(t=2.764, p=.016), nocturia and social functioning(t=2.954, p=.011), regular exercise and general health(t=4.820, p=.032), regular exercise and physical function(t=8.601, p=.005), regular exercise and role-physical(t=5.947, p=.018), regular exercise and social functioning(t=5.514, p=0.022). 3. The relationships between SD, QOL by UI Between UI and SD, as a significant statistical variable, presence of UI appeared to be factors to impact sleep disorder(χ²=3.993, p=.046). Also between UI and QOL(SF-36-K), as a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 by presence of UI as follows: physical function (t=14.788, p=.000), health-status cognition variation (t=9.437, p=.003), role-physical (t=7.784, p=.007), social functioning (t=9.199 p=.004), bodily pain (t=27.109, p=.000), vitality (t=6.961, p=.011). As a result of this study, UI and QOL, SD and QOL indicated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 It was suggested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between UI & SD, and QOL by the present of UI and the proper nursing intervention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elderly women;여성노인은 다른 연령층에 비해 신체상태와 기능이 저하되어 있고 사회적으로 고립되기 쉬우며 경제적 능력도 낮아 전반적으로 삶의 질이 낮아질 우려가 있다. 특히 여성노인의 건강문제 중 요실금과 수면문제는 단순한 노화의 과정으로 인식하고 일상생활에서 쉽게 간과할 수 있는 문제이므로 본 연구에서는 노인여성의 요실금 실태와 수면장애 및 삶의 질 정도를 파악하고 그 관계를 확인하여 노인여성의 요실금, 수면문제 및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간호중재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하였다. 본 연구는 서울시내 K 도시지역에 거주하는 65세 이상 노인을 대상으로 2단계 BK21 핵심사업팀의 연구사업인 노인의 건강관련특성 DB구축 프로젝트에서 수집된 자료를 해당 연구 책임자의 동의 하에 사용하였다. 2007년 4월 7일부터 5월 20일까지 노인여성 64명을 대상으로 수면, 요실금 및 삶의 질 측정 도구를 사용하여 설문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자료 분석은 SPSS WIN 1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Chi square test, t-test, ANOVA를 시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요실금 실태 및 수면장애와 삶의 질 연구대상자 중 요실금이 있는 대상자는 62.50%(40명)를 차지하였고 혼합성 요실금이 31.25%로 요실금 유형 중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복압성 요실금이 17.19%, 절박성 요실금이 14.06%로 나타났다. 대상자의 요실금 빈도는 ‘1주일에 한번’이, 요실금 양은 ‘몇 방울 흘린다’가, 요실금 대처방법은 하루에 1회 이하가 ‘속옷만 갈아 입는다’에 가장 높게 응답하였다. 대상자의 수면시간은 평균 6.07±1.16시간이었고 잠들 때까지의 시간은 32.50±47.03분으로 나타났으며 수면장애요인은 57.80%가 야간 소변을 가장 높게 응답하였다. 수면장애군은 45명인 70.30%였고 이 중 불면증(40.62%)이 수면장애의 가장 높은 유형이었다. 대상자의 삶의 질은 육체적 역할(1.67±0.43)이 가장 낮았고 활력도(4.01±1.05)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및 건강관련 특성에 따른 요실금 실태 및 수면장애 와 삶의 질의 차이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요실금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대상자의 건강관련 특성 중 빈뇨(χ²=6.689, p=.035), 야뇨(χ²=8.873, p=.003), 규칙적 운동(χ²=4.266, p=.039), 산부인과 수술경험(χ²=4.172, p=.041)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수면장애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건강관련 특성 중 규칙적인 운동(χ²=9.288, p=.002)은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삶의 질은 연령에 따른 신체적 기능상태(F=2.334, p=.012), 결혼 상태에 따른 정서적 역할(F=3.097, p=.033)과 건강상태 변화에 대한 인식변화(F=5.472, p=.002), 교육 수준에 따른 육체적 역할(F=5.351, p=.000)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상자의 건강관련 특성에 따른 삶의 질은 야뇨에 따른 사회적 기능상태(t=2.884, p=.015), 빈뇨에 따른 사회적 기능상태(t=2.954, p=.011), 흡연에 따른 건강상태 변화에 대한 인식변화(t=4.147, p=.046), 규칙적 운동에 따른 전반적 건강상태(t=4.820, p=.032)와 신체적 기능상태(t=8.601, p=.005), 육체적 역할(t=5.947, p=.018), 사회적 기능상태(t=5.514, p=0.022)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 대상자의 요실금에 따른 수면장애와 삶의 질의 차이 대상자의 요실금 유무에 따른 수면장애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χ²=3.993, p=.046), 대상자의 요실금 유무에 따른 삶의 질의 차이에서는 전반적인 건강상태(t=14.788, p=.000), 건강상태 변화에 대한 인식변화(t=9.437, p=.003), 육체적 역할(t=7.784, p=.007), 사회적 기능상태(t=9.199, p=.004), 통증(t=27.109, p=.000), 활력도(t=6.961, p=.011)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 요실금 유무에 따라 수면장애와 삶의 질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므로 노인 여성의 수면장애와 삶의 질 향상을 위해 간호사들은 요실금 및 수면장애에 대한 예방 및 관리에 대한 인식과 아울러 간호중재를 제공해야 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