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0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옥지원-
dc.creator옥지원-
dc.date.accessioned2016-08-25T06:08:18Z-
dc.date.available2016-08-25T06:08:18Z-
dc.date.issued2007-
dc.identifier.otherOAK-00000002836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149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8367-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뇌졸중 고위험군에게 뇌졸중 일차예방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대상자의 자기효능감, 자가간호 이행 및 위험지표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유사 실험연구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시차설계를 이용하였다. 경기도 A, B 보건소 관리 주민 중 뇌졸중 고위험군으로 판정된 A 보건소 대상자 30명을 실험군, B 보건소 대상자 19명을 대조군으로 하여 연구대상자에게 2007년 4월 20일부터 6월 15일까지 8주간 뇌졸중 일차예방 프로그램을 중재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질병관련 특성, 자기효능감, 자가간호 이행은 구조화된 설문도구로, 위험지표 중 혈압은 혈압계, BMI는 체성분 분석기로 측정하였으며, 공복 시 혈당, 혈중 지질, 혈중 호모시스테인은 12시간 공복 후 채혈하여 측정하였다. 뇌졸중 일차예방 프로그램은 Bandura(1997)의 자기효능이론과 선행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대상자의 특성을 고려하여 처방한 유산소운동요법과 식이요법을 통한 성취경험, 건강교육, 질병의 원인과 진행과정에 대한 건강정보지를 제공하여 대리적 경험, 건강상담을 통한 언어적 설득과 자가간호 모니터링을 통한 생리적·정서적 각성으로 구성하여 적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3.0 version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자의 동질성은 χ²-test, Fisher's exact test와 t-test, 연구대상자의 집단 간 자기효능감, 투약, 식이관리, 스트레스관리에 대한 자가간호 이행정도, 위험지표는 t-test, 금연, 금주, 운동에 대한 자가간호 이행정도는 χ²-test와 Fisher's exact test, 연구대상자의 중재 전·후 집단별 자기효능감과 투약, 식이관리, 스트레스관리에 대한 자가간호 이행정도, 위험지표의 차이는 paired t-test로 검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뇌졸중 일차예방 프로그램 중재 전·후 집단별 자기효능감은 실험군에서 유의하게 증가(t=20.929, p=.000)되었으며, 중재 후 실험군의 집단 간 자기효능감이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t=5.024, p=.000). 2. 뇌졸중 일차예방 프로그램 중재 전·후 집단별 식이관리에 대한 자가간호 이행은 실험군에서 유의하게 증가(t=-7.190, p=.000)되었으며, 중재 후 실험군의 집단 간 자가간호 이행은 금연(χ²=5.285, p=.043), 운동(χ²=18.054, p=.000), 투약(t=2.076, p=.043), 식이관리(t=5.241, p=.000) 영역에서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 3. 뇌졸중 일차예방 프로그램 중재 전·후 집단별 위험지표는 실험군에서 수축기 혈압(t=-4.440, p=.000), 이완기 혈압(t=-5.800, p=.000), 공복 시 혈당(t=-3.040, p=.005), LDL-콜레스테롤(t=-2.060, p=.049), 호모시스테인(t=-3.070, p=.005)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중재 후 실험군의 집단 간 공복 시 혈당은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다(t=2.398, p=.020). 본 연구에서 시행한 뇌졸중 일차예방 프로그램은 뇌졸중 위험군의 자기효능감과 식이관리, 금연, 운동, 투약에 대한 자가간호 이행정도를 증가시켰으며, 혈압, 공복 시 혈당, LDL-콜레스테롤 및 호모시스테인 개선 효과가 있었다.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으나 BMI, 총콜레스테롤, 중성지방은 감소하는 경향을, HDL-콜레스테롤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본 연구는 뇌졸중 일차예방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뇌졸중 고위험군의 자기효능감, 자가간호 이행 및 위험지표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였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따라서 뇌졸중 일차예방 프로그램이 뇌졸중 발병을 예방하기 위한 효과적인 간호중재로써 지역사회 간호 실무에서 활용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s of a primary stroke prevention program on the stroke high risk group’s self?efficacy, self?care compliance and risk indicators. A total of 49 subjects were considered as a stroke high risk group. They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by residential area: an experimental group (30) and a control group (19). The primary stroke prevention program was carried out for 8 weeks from April to June in 2007. The experiments on the subjects were measured two times, before the primary stroke prevention program and after 8 weeks. The tools for measuring self efficacy and self care compliance were developed by the expert group, and risk indicators such as blood pressure, BMI, fasting blood sugar, total cholesterol, triglyceride, LDL-cholesterol, HDL-cholesterol and homocysteine were measured. The primary stroke prevention program was composed of individual aerobic exercise and diet prescription, health education, counseling on health and self-care monitoring.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the x2 test, Fisher’s exact test, t-test and paired t-test (SPSS 13.0).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1. Self-efficacy increased significantly in the experimental group. 2. The degree of self-care compliance for diet, smoking cessation, medication and exercise increased significantly in the experimental group. 3. Systolic blood pressure, diastolic blood pressure, fasting blood sugar, LDL-cholesterol and homocysteine decreased significantly in the experimental group. The results above show that the primary stroke prevention program for this study was effective in promoting the performance of lifestyle for health improvement of the stroke high risk group, and verified that risk indicators can be improved. Therefore, it is considered that the program can be used as an efficient nursing intervention for prohibiting the onset of the stroke high risk group who need continuous health improving behavior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 1 B. 연구 목적 = 3 C. 연구의 가설 = 3 D. 용어의 정의 = 4 Ⅱ. 문헌고찰 = 7 A. 뇌졸중 위험요인 = 7 B. 뇌졸중 일차예방 프로그램 = 11 C. 자기효능감과 자가간호 이행 = 14 Ⅲ. 연구의 개념적 기틀 = 18 Ⅳ. 연구방법 = 20 A. 연구설계 = 20 B. 연구대상 및 표집방법 = 21 C. 대상자의 윤리적 측면 = 22 D. 측정변수 및 측정방법 = 22 E. 연구 진행 절차 = 25 F. 자료분석 방법 = 32 G. 연구의 제한점 = 33 Ⅴ. 연구결과 = 34 A. 집단 간의 동질성 검증 = 34 B. 가설검정 = 40 Ⅵ. 논의 = 45 A. 뇌졸중 일차예방 프로그램이 자기효능감과 자가간호 이행에 미치는 효과 = 45 B. 뇌졸중 일차예방 프로그램이 위험지표에 미치는 효과 = 47 Ⅶ. 결론 및 제언 = 51 A. 결론 = 51 B. 제언 = 53 Ⅷ. 간호학적 의의 = 54 A. 간호실무 측면 = 54 B. 간호연구 측면 = 54 C. 간호이론 측면 = 55 참고문헌 = 56 부록 = 71 Abstract = 10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02087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610-
dc.title뇌졸중 일차예방 프로그램이 자기효능감, 자가간호 이행 및 위험지표에 미치는 효과-
dc.typeDoctoral Thesis-
dc.title.translatedEffects of Primary Stroke Prevention Program on Self-efficacy, Self-care Compliance and Risk Indicators of the Stroke High Risk Group-
dc.creator.othernameOak, Ji-Won-
dc.format.pageⅸ, 102 p.-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간호과학과-
dc.date.awarded2007.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